김영수 < 企協 회장 > 정보화의 진전과 글로벌화 및 지식집약화 등으로 신산업이 출현하는 등 경제환경이 급변하고 있다. 그 속에서 중소.벤처기업은 외환위기라는 경제위기를 극복하며 경제성장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해 왔다. 그러나 최근의 빠른 경제환경 변화로 중소기업들은 체질강화의 필요성을 그 어느 때보다 절감하고 있다. 뉴라운드가 출범하고 WTO 가입과 함께 무섭게 성장하는 중국과의 경쟁, 후발개도국들의 시장잠식은 중소.벤처기업들을 두렵게 만드는 존재들이다. 특히 중소기업 보호정책의 핵심이 되어 온 단체수의계약제도의 개편도 벤처.중소기업을 힘겹게 하고 있다. 그렇다고 정부가 보조금 지급 등의 육성정책에만 집착하기보다는 우리 경제가 완숙한 시장경제질서 속에서 스스로 생존할 수 있는 자신감을 갖도록 정책방향을 전환해야 한다. 우선 일관된 중소기업 정책이 필요하다. 중소기업 관련 정책을 더 이상 독자적.고립적 정책으로 획일화해서도 안된다. 국내 가구산업은 몇몇 대기업을 제외하곤 대부분 영세 중소기업이 주축이 되고 있다. 외환위기를 거치면서 굵직한 가구업체들이 줄줄이 도산하면서 국내 가구산업이 몰락, 위기 속으로 빠져들었지만 최근들어 다시 비상하고 있다. 특히 경기회복과 월드컵 특수를 맞아 모처럼 호황를 맞고 있는 것이다. 가구산업은 건설 유통 목재 금속 플라스틱 등 관련 산업으로의 파급효과가 크다. 결국 가구산업의 호황은 타산업으로의 경기확산을 유발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이런 이유로 가구산업에 대한 정부의 시의적절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그러나 우리의 현실을 보면 가구산업에 대한 지원은 아직 멀다. WTO 양허관세 협정에 따라 의자류 완제품 수입시 관세가 없어지고 있는 반면 국내 조달이 불가능한 가구제작용 합판과 제재목은 각각 8%와 5%의 수입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이는 수출저해요인으로 작용, 국내 가구산업 발전을 가로막는 최대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젠 가구산업 발전을 위해 가구용 원부자재의 관세를 인하해야 할 때가 됐다. 해외시장 공략을 위해서도 필요하다. 중소기업 지원정책은 가구업계가 당면하고 있는 것처럼 현안을 중심으로 근원적인 것부터 해결해 나가야 한다. 중소기업의 자생력과 경쟁력을 배양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정책을 추진해야 세계 속의 기업으로 성장해 나갈 수 있다. 중소기업들은 기술 및 품질위주의 경영전략, 판로확대, 기업간 건전한 경쟁과 협력확대, 지역간 균형발전을 도모해 나가야 한다. 시장원리에 기본바탕을 두고 불공정거래 및 제도개선을 적극 도모해 중소기업의 역할을 증대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 중소기업정책은 중소기업이 가진 특유의 기동력과 적응력을 최대한 살릴 수 있는 방향으로 수립 시행돼야 한다. 그래야 중소기업이 자생력을 갖춘 경쟁의 주체가 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