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교류 확대에 대비, 제주도가 북한의 백두산연구소에 버금가는 연구기관으로 육성키위해 지난해 1월15일 개소한 한라산연구소의 운영이 겉돌고 있다. 11일 제주도에 따르면 한라산 훼손이 심각해 이를 복원.정비할 필요가 있고 한라산의 자연생태계를 체계적으로 연구하기위해 제주도훈령 제743호로 한라산연구소를 개소했으나 1년이 넘도록 인력과 예산 부족으로 연구사업을 제대로 벌이지 못하고 있다. 특히 제주도는 한라산의 모든 것을 연구하고 보호.관리사업을 체계적으로 수행하기위해 한라산연구소를 설립한다고 밝혔으나 정부로부터 기구 및 정원 승인을 받지못해 한라산국립공원관리사무소 산하 임시조직으로 국립공원관리사무소장이 한라산연구소 소장도 겸하는 기형적인 형태로 명맥만 유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한라산연구소의 연구 인력중 전임 계약직은 1명뿐이고 비전임 계약직 3명, 겸직연구원, 별정직, 기타직 각 1명 등 모두 7명에 불과한데다 비전임이 대부분으로 신분보장이 안돼 연구 활동에 전념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분야별 전문가 14명으로 자문위원회도 구성했으나 예산 뒷받침이 안돼 형식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연구사업 예산도 공식 조직이 아니어서 독립적으로 반영하지 못하고 한라산국립공원관리사무소의 일부 예산을 이용. 연구 활동을 벌이는 정도다. 실제로 지난해의 경우 한라산연구소가 쓴 예산은 백록담 담수화 방안 연구비로 지출된 2천만원 정도에 불과하고 올해도 한라산의 동물자원조사 장비 구입비로 반영된 1천300만원이 고작이다 . 이에 대해 이광춘(李光春)한라산연구소장은 "정식 행정기구가 아니라 예산 확보가 어렵고 인력이 부족한 형편"이라며 "중앙관계부처의 승인을 얻어 정식 행정기구로 발족되지 않는한 당초 목적한 사업 추진은 사실상 어렵다"고 말했다. (제주=연합뉴스) 이기승기자 leek@yonhap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