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태식씨 로비의혹을 수사중인 검찰은 윤씨가 다른 업체의 기술을 토대로 전문가를 영입, 기술력을 키웠으며 국가정보원의 기술제공을 받지 않은 것으로 잠정 결론지었다. 검찰에 따르면 윤씨는 98년 5월 지문인식기술업체 B사 사장 김모씨와 동업을 하게 되면서 지문인식 분야에 처음 발을 들여놓은 뒤 같은해 9월 별도로 패스21을 설립했다. 컴퓨터 네트워크 전문가 오모씨를 영입, B사의 지문인식과 네트워크 기술을 접목시켜 온라인 지문인증을 사업모델로 확정한 뒤 지문인식 알고리즘 및 암호화 전문가 등 전문가 10여명을 추가 영입한 뒤 99년 12월 패스폰 개발 작업을 마쳤다. 패스폰은 독자적 기술이 아니라 윤씨와 오씨가 구상한 모델을 기술적으로 통합한 것이라는 게 검찰의 설명이다. 윤씨는 지문식별에 의한 금융관리시스템과 신용카드 거래시스템 등 98년부터 작년까지 17건의 기술을 특허출원했고 98년 7월에는 지문조회 폰뱅킹을 특허등록했다. 특허출원한 기술은 대부분 전문적인 개별 기술이 아니라 주로 지문인증을 시스템으로 활용하는 방법과 아이디어라고 검찰은 설명했다. 2000년 10월 온라인 지문인증 기술 개발이 완료되고 이듬해 모 시중은행과 지문인증을 이용한 납품계약을 체결한데 이어 작년말 본격 상용화됐다. 패스21 기술은 B사 기술과 윤씨 등의 아이디어를 엔지니어들이 현실화한 것일뿐 국정원이 원천기술을 제공하거나 도와준 흔적은 발견되지 않았다고 검찰은 밝혔다. 패스21 운영에 깊이 관여한 김현규 전 의원과 김영렬 전 서울경제신문 사장 등도 "국정원이 기술을 제공한다는 건 상상할 수도 없는 상황이었다"고 진술했다는 게검찰의 전언이다. 검찰 관계자는 "패스21 기술은 정부가 민간기업에 공개한 암호화 알고리즘을 기초로 전문가들이 기술수준을 끌어올린 것"이라며 "국정원이 요시찰 인물에게 핵심기술을 제공했다고 볼만한 단서가 없다"고 말했다. 또 패스21 자회사 이사를 맡는 등 윤씨와 각별한 관계였던 것으로 알려진 전 국정원 직원 김모(52)씨도 대공수사 파트 소속으로 기술과는 거리가 멀다는 것. 윤씨는 반도체 칩 기술의 현실에 비춰볼 때 땀샘인식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에 대해 "땀샘뿐 아니라 지문융선까지 복합 인식한다"고 반박했다고 검찰은 전했다. 검찰은 시중은행이 장기간의 검증을 거쳐 상용화한 점 등을 감안하면 패스21 기술이 사기성이 있다고 보기는 힘들다고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공병설 기자 ko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