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개월 넘게 끌어온 '숭실대 사태'가 현 총장 퇴임을 요구하며 농성에 참여한 교수에 대한 학교측의 직위해제 통보와 이에 맞선 교수들의 집단사퇴 결의를 정점으로 좀처럼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 특히 양측 모두 한발짝도 물러설 수 없다는 강경한 입장이어서 교수들의 집단사표라는 초유의 사태가 표면화 될 경우 수업 파행 등 학사행정의 전면마비가 우려된다. 숭실대 학내분규는 지난해 말 재단측이 차기총장 선임과정에서 교수.학생들이 중심이 된 총장추천위원회의 의견과 달리 어윤배 총장의 연임을 결정한 것이 계기가 됐다. 이후 재단측의 어 총장 연임결정에 반발한 교수와 직원, 학생들로 구성된 '총장퇴진을 위한 범숭실인 공동투쟁위원회'가 결성, 전면적인 어 총장 퇴진운동에 돌입했다. 비대위측은 수개월간 총장 출근퇴지 투쟁과 해임청원 등을 통해 재단측에 반발해왔으며 이 과정에서 학생과 노조측이 수업거부와 파업에 돌입, 학내 사태로 심한 몸살을 앓아왔다. 비대위의 계속된 총장퇴진 요구와 이에 대한 재단측의 묵묵부답으로 '장기전'으로 치달은 숭실대 사태는 지난달 초 재단측이 분규 이후 처음으로 임시 이사회를 소집하면서 한 때 해결의 가닥을 잡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을 낳기도 했으나 이후 재단측이 입장차이를 보이지 않으면서 제자리 걸음을 면치 못했다. 이 과정에서 지난달 말 교내 전산망내 신학기 개강관련 자료가 삭제된 일을 둘러싸고 이를 비대위측의 소행으로 의심한 재단측과 '학사행정 파행의 원인을 엉뚱한곳으로 몰려는 마녀사냥'이라는 비대위측의 공방이 가속화된 것도 양측간 감정의 골을 깊게했다. 결국 전체 250명 중 100명의 교수들은 개강일인 10일 오후 무기한 단식 철야농성에 들어갔으며 이 중 2학기 강의시간표를 제출하지 않은 18명의 교수에 대한 재단측의 3개월 직위해제 통보와 이에 맞선 교수들의 집단사퇴 결의 등 양측의 초강수대응이 거듭되면서 사태는 악화일로로 치달았다. 이러한 사태 장기화로 1학기 성적표 발송과 성적증명서 발급이 이뤄지지 못했으며 상당수 교수들의 강의시간표 미제출과 전면농성으로 2학기 수업역시 파행을 면치못하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송수경 기자 hankso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