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 수요 급증 .. 벽제화장장 반입 제한
최근 화장(火葬) 문화의 급격한 확산으로 화장수요가 급증하자 서울시의 유일한 화장시설인 벽제화장장이 한계용량을 초과해 부분적인 반입 제한이 시작됐다.
이는 납골시설에 이어 서울시의 화장시설도 `포화'상태에 달했음을 드러내는 것으로, 서초구 원지동에 들어설 추모공원이 조속히 건립되지 않으면 `장묘대란'이 현실화될 것으로 우려된다.
서울시 시설관리공단 장묘사업소는 "화장건수는 점차 증가하는 추세인 반면 화장능력은 한정돼 있어 지난 6월부터 서울과 고양시, 파주시 이외의 지역에서 발생한 사산아와 개장유골의 화장을 제한하고 있다"고 19일 밝혔다.
장묘사업소는 "최근 서울시의 화장률이 50%를 넘어서면서 근본적인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라며 "시립화장장으로의 집중현상을 타지방 자치단체 화장장으로 분산시켜 시립화장장의 무리한 가동으로 인한 각종 안전사고와 이용시민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벽제화장장은 타지역에 비해 시설이 우수하고 화장비용이 저렴해 수도권이외 여타 지역에서 찾아오는 화장수요가 1일 평균 약 5건에 달하고 있다.
지난해 벽제화장장에서 처리된 사산아중 서울지역에서 발생한 것은 27.2%에 불과했고 나머지는 모두 다른 지역에서 올라온 것이며, 일반화장도 40%는 타지역 화장수요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로인해 적정 처리용량이 1일 61건인 벽제화장장은 최근 이보다 훨씬 많은 1일 평균 76건의 화장을 처리하고 있어 한계용량을 초과한 상태다.
장묘사업소 관계자는 "1년 365일중 하루도 쉬는 날이 없이 화장로를 가동해야 하는 `과부하' 상태가 지속되다 보니 현재 화장로 2기가 고장나 수리가 진행중인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늘어나는 화장수요를 감안해 올들어 벽제화장장의 화장로 7기를 신설했기 때문에 추가 증설은 불가능한 상태여서 오는 2004년 추모공원의 완공때까지는 현상태를 유지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에따라 서울시는 일반화장도 지역에 따라 반입을 제한하거나 화장요금을 현실화하는 방안 등을 검토중이나 화장문화 확산 추세를 저해할 것을 우려해 고심하고있다.
화장장뿐만 아니라 납골시설도 이미 포화상태에 달해 시립 추모의집은 지난해 모두 만장됐고 경기도 파주시 용미리 소재 제2추모의 집도 내년 3월이면 만장될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시 관계자는 "화장장과 납골당을 추가 확보하지 못하면 화장률이 70%를 넘어설 4∼5년 이내에 장묘대란이 일어날 것으로 우려된다"면서 "서초구 원지동의 추모공원을 조속히 착공하는 것만이 유일한 대안"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지훈기자 hoonkim@yna.co.kr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