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겨드랑이에서 풍기는 불쾌한 냄새 때문에 다른 사람에게 폐를 끼칠까 전전긍긍하는 사람이 많다. 인체는 두가지 땀샘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인 땀을 내는 에크린 땀샘은 인체에 전부 2백만~3백만개나 되며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젖산 요소 포도당 등이 조금씩 녹아 있어 냄새가 별로 없다. 또 하나는 아포크린 땀샘으로 95%가 겨드랑이 부위에 밀집돼 있다. 땀을 배출하는 관이 모낭에 붙어 있어 모낭의 윗부분을 통해 체외로 배출된다. 이 땀샘에서 배출된 땀에는 글리코겐이 들어 있어 지방산과 암모니아로 분해되면서 암내를 유발하는데 심한 경우 액취증(腋臭症)으로 진단된다. 체취에 대한 상식과 액취증의 치료법에 대해 알아본다. 체취와 건강상태 =동양인은 서양사람에게서 노린내가 난다고 폄하하지만 서양인은 아시아인이나 에스키모에게서 비린내가 난다고 말한다. 이처럼 타고난 체취는 건강한 사람의 공통적 특징이다. 그러나 병에 걸리면 비정상적인 체취를 풍기게 된다. 아세톤 냄새를 풍기면 당뇨병 증세, 암모니아 같은 냄새는 신장 기능의 이상, 배설물 같은 냄새는 장기능의 이상을 의미한다. 이밖에 장티푸스는 갓 구워낸 갈색 빵 냄새, 결핵성 림프선염일 때는 김빠진 맥주 냄새, 디프테리아일 때는 달콤한 냄새, 녹농균 감염증땐 포도 냄새, 파상풍일 때는 썩은 사과 냄새 등이 난다. 이런 냄새들은 풍기는 자신들은 잘 알아채기가 힘들며 주변 사람들 의 지적으로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다. 액취증의 치료 =외과적 수술 레이저 시술 지방흡입기 시술 고바야시 절연침 등으로 고친다. 액취증의 수술적 치료는 5~10cm 안팎으로 겨드랑이를 길게 찢고 메스와 전기소작기로 아포크린선을 제거하고 다시 꿰매는 방법이다. 냄새는 확실히 없애지만 흉터가 크고 아문 자리가 불편하다. 레이저치료는 아포크린 땀샘만 골라서 태워버리는 것이다. 주로 경증의 액취증에 쓰는 치료다. 요즘에는 겨드랑이 서너군데를 5~10mm 가량 절개하고 비만치료에 쓰는 "초음파지방흡입기"를 넣어 아포크린 땀샘을 제거하는 시술이 효과를 보이고 있다. 고우석 드림피부과 원장은 "수술 뒤에 바로 활동이 가능할 정도로 부작용이 적은데다 재발률도 3%로 기존의 8~10%보다 낮다"고 말했다. 기존 외과적 수술에 비해 훨씬 흉터가 적다. 고바야시 절연침을 이용한 시술은 흉터를 더 줄일수 있어 미용을 중시하는 여성들이 선호한다. 이상준 아름다운나라 피부과 원장은 이와관련, "겨드랑이의 10여군데에 지름 18mm, 길이 6cm의 절연침을 모낭속의 아포크린선에 꽂고 전류를 통하게 해서 아포크린 땀샘을 파괴한다"며 "절연침은 일종의 초소형 전기인두로 최소한의 손상을 가하면서 아포크린선을 태워 없앤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초음파나 절연침은 수술방법은 간편하나 땀샘을 완전하게 제거하지 못해 재발률이 높다는 주장도 적지 않다. 고려대 안산병원 피부과 김일환 교수팀은 외과적 수술을 한 88명과 외과적 수술과 레이저를 병행한 6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후자가 재발률이 낮고 부작용이 적어 환자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그는 "비교적 흉터가 적게 남을 뿐만 아니라 레이저를 이용하므로 수술후 3일 이내에 샤워가 가능할 정도로 회복이 빠른게 장점"이라고 밝혔다. 한편 김 교수는 "동양인은 서양인에 비해 액취증 정도가 심하지 않은 데도 불구하고 냄새에 훨씬 민감해 액취증의 정확한 진단도 없이 수술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며 "중증 액취증으로 진단된 경우 는 전체 내원환자의 8%에 불과했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중증 환자로 진단된 환자들에 한해 아포크린 땀샘의 발달이 끝나는 16~18세때에 수술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충고했다. 정종호 기자 rumba@hankyung.com [ 내용문의 : 김일환 교수 (031)412-5180, 고우석 원장 (02)546-1613, 이상준 원장 (02)2124-199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