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이 예정대로 12일 연대파업을 강행키로 함에 따라 실제 이번 파업이 어떻게 전개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특히 사상초유의 항공대란이 벌어질 경우 국민의 불편은 물론 대외신인도 하락과 국가 이미지 실추 등 엄청난 사회적 파장이 우려된다. ▲연대파업 규모 = 민주노총에 따르면 12일 연대파업에 참여하는 사업장은 전국125개 사업장 5만5천330명. 이어 13일에는 서울대병원 등 12개 병원 1만1천여명이 가세하고 14일에는 한양대병원 등 3개병원 2천600여명, 16일에는 보훈병원 등 3개병원 2천400여명이 파업에 들어갈 예정이다. 연맹별로는 금속연맹이 삼호중공업 등 92개 사업장 2만5천400여명, 공공연맹이 대한항공 등 19개 사업장 2만200여명, 화학섬유연맹이 고합 등 10개 사업장 4천800여명, 건설 서비스연맹이 4개 사업장 4천800여명 등이다. 그러나 노동부는 이번 파업에 참가 예정인 사업장을 120개 업체, 3만3천여명으로 집계했다. 이번 파업의 핵심은 역시 양대 항공사와 보건의료노조를 꼽을 수 있다. 조합원수 1천406명인 대한항공조종사 노조의 경우 11일 본교섭과 실무교섭을 벌였지만 결렬돼 이날 오후2시 출정식을 갖는 등 파업 수순에 들어갔으며, 승무원이 중심이 된 아시아나항공노조도 파업 돌입을 앞두고 있다. 연대파업의 또다른 축인 보건의료노조의 경우 13일 서울대병원, 경희의료원, 이화의료원, 지방대학 병원 등 모두 12개 병원을 시작으로 14일에는 한양대병원과 고신의료원 등 3곳, 16일에는 보훈병원, 강원대병원 등 3곳, 20일부터는 44곳의 연쇄파업 일정을 잡아놓고 있다. ▲파장 = 예정대로 양 항공사가 파업에 들어가면 항공기 운항중단에 따른 항공대란은 불을 보듯 뻔한 상황이다. 국민들의 불편은 물론이고 한국을 찾으려는 외국인 관광객의 국내 입국 등이 사실상 봉쇄돼 내년도 월드컵 개최 등 국제적인 행사를 앞두고 대외적인 이미지 실추 등이 우려된다. 양 항공사는 비상 운항계획에 따라 주요 국제노선 등은 정상운항한다는 계획을 세워놓고 있지만 항공기의 특성상 파업이 하루 이상 길어지면 이 또한 무용지물이 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 항공업계의 지적이다. 보건의료 노조의 경우, 응급실과 수술실 등을 제외하고 파업에 들어갈 방침이지만 지난해 의료대란에 이어 또다시 파업이 벌어질 경우, 진료차질 등 시민들이 상당한 불편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전망 = 올해 연대파업은 예년에 파업을 주도했던 자동차나 중공업 등 대규모 사업장이 가세하지 않고 있는 대신 대한항공조종사노조와 여천NCC 노조 등 고임금 사업장이 주력으로 등장한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따라서 중소기업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금속연맹과 항공사 노조를 제외한 공공연맹 소속 상당수 사업장의 경우 상대적으로 조합원들의 열기가 낮아 부분 파업이나 노조 간부 중심으로 지역별 집회에 참가하는 형태의 파업이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정부는 항공사 노조와 보건의료노조의 파업 돌입 여부를 이번 연대파업의 가장 큰 관건으로 보고 있다. 대항항공의 경우 노사가 모두 교섭권을 상급단체에 위임해놓고 있는데다 상호불신의 골이 깊어져 11일 오전 열린 본교섭이 결렬되는 등 타결 가능성이 지극히 불투명한 상황이다. 관계 당국은 밤새 실무교섭 등을 벌여 막바지 타결을 유도하겠지만 12일 오전 비행기의 정상 운항은 어려울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아시아나항공노사는 기본급 인상률 등 의견차이를 상당부분 좁힌 것으로 알려졌지만 대한항공노사의 협상 결과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을 것으로 관계 당국은 보고 있다. 보건의료노조의 연쇄 파업은 연대파업 보다 하루 늦은 13일 시작되기 때문에 항공사노조 파업 돌입 여부에 따라 파업의 강도가 크게 좌우될 수 있다는 게 노동부의 분석이다. 특히 병원별 파업 찬반투표 결과를 보면 재적대비 찬성률이 50-60% 초반으로 예년에 비해 조합원들의 열기가 낮은데다 보건의료노조 차수련 위원장이 집행유예 상태라 파업에 대해 적지않은 부담을 안고 있어 실제 파업의 수위는 낮을 것으로 전망된다. 노동부 관계자는 "일단 내일 아침 항공기의 정상적인 운항은 힘들 것"이라며 하지만 "'고임금노조'라는 비난여론 때문에 노조측도 파업에 큰 부담을 느끼고 있어 극적인 타결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이성한 기자 ofcours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