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 동네의원의 집단휴진을 겪은데 이어 사상 유례없는 의료계의 집단폐업으로 불편을 겪고 있는 국민들이 가장 궁금해 하는 것은 이번 폐업사태가 얼마나 갈 것인가 하는 점이다.

여러가지 변수가 있지만 앞으로 3~4일이 고비가 될 것이라는 게 일반적인 관측이다.

의료계는 요구가 받아들여질 때까지 무기한 투쟁을 벌이겠다고 밝히고 있고 정부도 강경대응을 천명하고 있지만 이번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양측 모두 부담스러울 수 밖에 때문이다.

특히 의료계와 복지부가 물밑협상을 재개, 의외로 빨리 상황이 반전될 가능성도 있다.

가장 큰 부담은 국민여론.

의료계의 투쟁을 "국민 건강" 때문이라고 받아들이는 환자는 거의 없는 게 사실이다.

대부분이 냉담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불편과 고통을 참는 데도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

당장은 보건소 등에서 간단한 치료를 받고 비응급 질환은 치료를 미룬다 하더라도 3~4일이 지나면 불만이 폭발할 수 밖에 없다.

폐업투쟁이 시작된 20일 새벽부터 이미 각 병원 응급실에서는 "병실이 없어 입원할 수 없다"는 당직의사들과 이에 반발하는 환자 및 보호자들간에 충돌이 잇달아 벌어지고 있다.

인턴과 레지던트 등 전공의들이 떠난 자리를 전임의와 교수들이 맡고 있지만 늘어난 업무량을 계속 감당한다는 것은 무리다.

따라서 현재 일단 정상진료가 이뤄지고 있는 입원실과 중환자실,응급실 등 응급부문도 현재의 인력구조로는 3~4일이 지나면 버티기 어려워 진다.

만일 응급환자에 대한 처치 지연으로 의료사고가 발생할 경우 국민여론은 급격히 악화될 수 밖에 없다.

그렇지 않아도 건강연대 경실련 참여연대 YMCA 등 시민단체들은 이미 국민건강권 수호 차원에서 광범위한 국민행동으로 대응하겠다고 경고하고 나섰다.

또 중소병원의 경우엔 폐업투쟁에 불참하는 곳이 적지 않다.

중소 의원의 경우 3일 정도 문을 닫으면 경영에 심각한 위협을 받게 되기 때문에 이탈자가 속출할 가능성도 있다.

물론 의대교수들도 22일까지 정부의 성의있는 조치가 없을 경우 응급실의 진료를 중단하겠다고 밝히고 있는 데다 그동안 침묵을 지켜온 약사회마저 반발하고 나서 의료계의 파업사태가 장기화 될 가능성도 있기는 하다.

그러나 주변 상황이 더 심각해 지기 전에 정부와 의료계가 접점을 찾아나설 것이라는 예상이 많다.

< 정종호 기자 rumba@hankyung.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