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다 남긴 음식물쓰레기가 산하를 뒤덮고 있다.

매일 1만1천t이상의 음식물쓰레기가 악취를 내뿜으며 환경을 더럽히고 있다.

연간 8조원이 음식물쓰레기로 없어지는 셈이다.

음식물쓰레기는 전체 생활쓰레기의 약 30%를 차지한다.

음식점과 구내식당 같은 업소는 물론 가정이나 농.수.축산물 도매시장 등 곳곳에서 나온다.

이중 가장 심각한 곳이 음식점.

"푸짐하게" 주어야 손님이 모이는 잘못된 음식문화 때문에 "상다리가 부러질 만큼" 차려놓고는 모두 쓰레기로 내버린다.

다 먹지 못해도 더 달라고 아우성치는 손님들의 자세도 문제다.

한국경제신문과 YWCA가 "환경사랑음식점" 캠페인을 시작한 것도 그래서다.

<>음식물쓰레기 발생현황=지난해 하루평균 1만1천2백30t이 발생했다.

연간으로는 4백10만t.8t 트럭으로 64만2천대 분량이다.

국민 한사람이 매일 0.26 씩을 쏟아 놓는 셈이다.

미국(0.1kg)의 2배 수준이다.

음식물쓰레기는 가정에서 48%,음식점에서 42% 정도가 나온다.

가정에서 나오는 음식물쓰레기의 비중은 지난 98년 57.5%에서 최근에는 절반이하로 줄어드는 추세이지만 음식점은 98년 22%에서 오히려 급증하는 추세다.

지난해 발생한 음식물쓰레기중 가축용 사료나 퇴비 등으로 재활용된 것은 34.4%인 3천8백60t.나머지 3분의 2가 다른 생활쓰레기들과 섞여 매립되거나 소각됐다.

그나마 음식물쓰레기 재활용률이 97년 9.7%에서 98년 21.7%,지난해 30%이상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는 게 위안거리다.

<>경제적 손실=지난해 버려진 음식물쓰레기를 돈으로 환산하면 연간 8조원에 이른다.

이를 처리하는 데 5천억원의 비용이 따로 들어갔다.

결국 음식물쓰레기를 반으로 줄이면 연간 4조2천5백억원을 절감할 수 있다는 얘기가 된다.

4조2천5백억원은 어지간한 고속도로를 만들 수 있고 저소득층 3백60만 가구의 기초생활을 보장해 줄 수 있는 금액이다.

특히 음식물쓰레기는 처리과정에서도 비용이 많이 든다.

빨리 부패하기 때문이다.

평균 t당 9만원이상의 비용이 든다.

이 비용은 음식물쓰레기를 발생시킨 국민의 부담이다.

지방자치단체의 청소예산 자립도가 30%대에 머물고 있는 점을 감안할때 음식물쓰레기를 줄이지 않을 경우 국민의 부담은 더욱 늘어나게 된다.

버려지는 음식물쓰레기를 가축의 사료로 재활용하면 사료용 곡물수입도 크게 줄일 수 있다.

우리나라는 식량자급을 절반밖에 못하고 있다.

사료용 곡물을 포함하면 식량자급도는 29.1%로 뚝 떨어진다.

식탁이 "달러"로 메워지고 있지만 아까운 달러를 아무 생각 없이 쓰레기로 버리고 있다는 것이다.

음식물 낭비가 농수축산물의 가격인상으로 이어지는 것은 두말할 것도 없다.

<>음식물쓰레기 폐해=김명자 환경부 장관은 "음식물쓰레기는 당대는 물론 자손만대에 까지 후유증을 넘겨준다"고 지적한다.

음식물쓰레기가 다른 생활쓰레기와 함께 매립되면 악취는 물론 많은 양의 침출수가 발생한다.

하천과 지하수 토양오염으로 이어지는 것은 물론이다.

거기서 다시 양곡을 길러 먹어야 하기 때문에 악순환이 빚어진다.

부패하는 과정에 온갖 질병의 전염원이 되고 세균의 서직지가 되기도 한다.

그렇다고 태울 수도 없다.

젖은 쓰레기여서 잘 타지도 않지만 소각과정에서 다이옥신 같은 환경호르몬이 배출되기 때문이다.

김 장관은 "우리들의 겉모습은 선진국이지만 음식문화는 빈곤탈피가 시급하던 시절에 비해 별로 달라지지 않았다"며 "음식물쓰레기 줄이기 운동은 후손을 고려하는 의식개혁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도경 기자 infofest@k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