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보훈처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석과 초대 의정원 의장을 역임한 석오 이동녕(1869~1940)선생을 4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했다.

충남 천안시 목천면에서 명문가의 장남으로 태어난 선생은 어려서부터 한학을 공부했으며 동학농민전쟁과 청일전쟁을 겪으면서 근대적 민족의식을 갖게 됐다.

선생은 1896년 독립협회에 가담,민권운동과 국권수호운동인 만민공동회 운동에 참여하다 옥고를 치렀고 1905년 11월 "을사늑약"이 체결되자 결사대를 조직,대한문앞에서 연좌농성을 벌이는 등 일제 침략행위를 규탄하는 민족운동을 전개했다.

그후 북간도 용정으로 이주한 선생은 서전서숙을 설립,독립운동가 양성에 나섰다가 1907년 귀국,신민회를 결성해 총서기로 활동했다.

경술국치 직후 서간도 유하현 삼원포로 일가와 함께 망명한 선생은 경학사와 신흥강습소를 설립했다.

1914년 블라디보스토크로 건너가 이상설 선생 등과 함께 대한광복군을 조직하여 독립전쟁을 계획했으며 대종교를 중심으로 연해주와 만주일대에 흩어진 민족역량을 결집,1919년 2월 대한독립선언서를 발표했다.

선생은 1919년 3.1 운동이 일어나자 상하이로 건너가 임시 의정원 초대의장을 맡아 임시정부 수립의 산파 역할을 했다.

통합임시정부 내무총장,국무총리,대통령 직무대리,주석 등을 역임하면서 20여년동안 임시정부를 이끌었다.

1932년 주석에 취임한 선생은 김구 선생과 합심해 전시내각을 구성해 70세의 노구를 이끌고 광복군 창설을 위해 노심초사하다 지병이 악화되면서 1940년 3월 "민족의 대동단결만이 광복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유언을 남기고 순국했다.

정부는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