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들의 허술한 수해지원및 복구체계로 인해
수재민들이 더 큰 고통을 당하고 있다.

수해피해자들은 게릴라성 폭우속에서도 자율복구에 혼신의 힘을 다하고
있으나 중앙정부와 지자체들이 쓰레게처리 식수공급 도로복구 폐사가축처리
등을 제때 하지 못해 원성을 사고 있다.

강화 파주 등 경기북부에서 대규모로 발생한 가축폐사로 곳곳에서 썩는
냄새가 진동하고 있지만 강화군 파주시 등은 폐사가축처리에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다.

이번 호우로 이들 지역에서는 닭 1백여만마리 돼지 1만2천여마리 소
3백30여마리 등 1백13만여마리의 가축이 폐사했다.

해당 시.군은 수해마을 복구에만 장비와 인력을 집중하고 있어 가축처리가
언제 이뤄질지 알 수 없는 실정이다.

실제로 고양시 사리현동 일대의 양계장은 피해신고를 위해 닭만 세고 있을
뿐 방제는 전혀 못하고 있다.

수해발생이후 발생한 12만여t의 쓰레기와 2천t가량의 분뇨처리도 제때
이뤄지지 않고 있다.

하천범람으로 떠내려온 쓰레기는 곳곳에 쌓여 지자체들은 손을 놓고 있는
실정이다.

의정부시 동두천시 당진 등 7개 시.군의 주민 9만5천여명이 취수장 정수장
수도관 침수로 식수난에 시달리고 있다.

3개 취수장이 침수된 충남 당진에는 소방차를 이용, 제한급수를 하고 있고
고양시 정수장도 9월초나 돼야 완전복구될 것으로 보여 최악의 식수난이
예상되고 있다.

생필품지원에도 지자체와 대한적십자사 등의 손발이 맞지 않아 수재민들이
피부로 느끼지 못하고 있다.

특히 지원품중 상당수가 텔레비전화면에 자주 등장한 피해지역에 집중돼
피해지역에 대한 정확한 관리가 부족한 실정이다.

실제로 서울 노원구 수락초등학교 임시 대피소에는 구호품이 풍부하게
공급된 반면 공릉3동 용원초등학교에는 구호품이 거의 전달되지 않아
여러차례 추가지원을 요청했다.

이번 호우로 총체적 방재행정시스템이 없다는 점도 드러났다.

각 지자체들이 선거용 선심성 사업에만 몰두한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잘못이 크다는 지적이 곳곳에서 일고 있다.

당장 유권자의 눈에 띄는 골목길 포장, 도로 확충, 근린공원개선 등의
사업에만 치중하고 눈에 드러나지는 않지만 꼭 필요한 하수시설 및 하천
정비 등의 사업에는 소홀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 고기완 기자 dadad@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8월 12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