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시공 파문으로 난파위기에 놓였던 경부고속철도가 9일 수정계획 발표를
계기로 다시 정상궤도에 오르게 된다.

품질확보 대책과 함께 그동안 속앓이 해온 사업비 증액및 사업기간 연장도
이번 계획을 통해 속시원히 공개하고 사업의 정상적 추진을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

그러나 이번 수정계획에도 불구, 경부고속철도는 많은 난제를 남겨 두고
있다.

먼저 대전 대구역사의 지하화에 대한 전면 재검토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당초 지하화로 계획됐던 대전 대구역사는 지난 93년 사업비 축소에 따라
지상화로 바뀐뒤 지역주민들의 반발로 95년 다시 지하화로 번복됐다.

정부는 현재까지는 지하화 방침에 변동이 없다고 밝히고 있지만 내년
10월말에 나오는 실시설계 결과에 따라 재검토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문가들
은 보고 있다.

실제로 정부및 고속철도공단 관계자는 "선진국에도 지하역사는 없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기술적 어려움과 안전성에 대한 확신 결여및 공기지연을
들어 재검토 희망을 내비치고 있다.

다음으로는 서울시와 이해관계가 맞물려 해결을 못보고 있는 서울 중앙
역사 위치 선정및 그에따른 건설계획이다.

정부는 중앙역사의 경우 2020년 이후에 건설한다는 내부방침을 정하고
그때까지는 남서울역사(광명시)및 기존 서울역을 이용할 계획이다.

이 경우 여객및 열차 처리 능력에는 문제가 없다 하더라도 이용객들의
접근성이 크게 떨어지는등 역사 운영이 매끄럽지 못할 것이라는 지적이다.

서울~대구간을 우선 개통한다는 단계적 개통방안 역시 정치권의 반발에
부딪칠 가능성이 높다.

국민회의등 야당에서는 "어차피 단계적으로 개통할 바에는 서울~대전간만
우선 건설하고 대전~부산구간은 호남고속철도와 동시에 건설하자"는 주장을
내세우고 있다.

단계적으로 개통할 경우 남은 구간은 기존 경부선 노선을 전철화해 이용
한다는 계획이나 전철화 사업비에 대한 재정당국의 협조도 미지수로 남아
있다.

< 김상철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9월 10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