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공업 사태가 자율타결로 마무리됨에 따라 분규 당사자인 노사양측
에는 물론 현중을 문민정부의 노사정책으로 시험한 정부에게도 여러가지
의미를 되새기게 했다.

노조는 이번 분규에서 조합원의 실익과 무관한 정치적 성향의 요구는
더이상 받아들여지지 않는다는 것을 깨닫게 되는 계기가 됐다.

또 파업에 참가하는 조합원들의 정서가 그동안 많이 변했다는 것을
실감했을 것으로 보인다.

노조는 이번 임단협에서 징계위원회 노사동수구성 완전유니언숍등 인사
경영권참여와 파업기간중 무노동무임금 철회를 강력히 요구했다.

그러나 이는 회사의 경영권을 제한하는 무리한 요구로 처음부터 철저히
회사측에 의해 배제됐다.

내년이후 협상에서 다시 거론할 경우 재고의 가치도 없다고 사측은 밝히고
있다.

사측의 직장폐쇄 해제이후 정상조업을 촉구하며 노조에 등을 돌린 조합원의
태도는 노조에 큰 교훈을 남겼다.

보편타당성을 상실한 집행부의 무리한 파업을 일반 조합원들이 거부한
것은 투쟁의 방향을 이제 조합원 실리쪽으로 선회해야 명분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느꼈을 것이다.

사측의 노무관리체제도 이를 계기로 재정비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노조를 대하는 시각을 바꾸고 적극적인 노사정책을 펼쳐 파업을 사전에
막아 더이상 노동운동의 진원지란 악명을 씻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개입이 손쉬운 해결책이라는 사고방식은 이제 벗어났으나 이번에도
여전히 이에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비친 것도 고쳐야할
부문이다.

무노동무임금 원칙에 대한 정부의 일관된 정책이 잠정합의를 이끌어내는데
일조를 했다고 볼 수 있다.

협상에 임하는 사측의 운신의 폭을 좁히는 결과가 됐으나 노조도 이를
수용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을 연출케 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청와대 노동부등 정부내 노동정책의 혼선은 이번 사태에서 해결
해야할 과제로 남았다.

김영삼대통령이 언급한 "특단의 조치" 해석을 놓고 청와대와 주무부서인
노동부가 다른 목소리를 내 협상전략을 세우는 노사를 혼란에 빠트렸고
타결을 지연시켰다는 것이다.

아무튼 매출손실 4천8백61억원 수출피해 3억2천7백만달러 협력업체 손실
1천6백12억원이 말해주듯이 이번 분규는 사측에 엄청난 피해를 입혔다.

노측 또한 무노동무임금으로 1인당 평균 2백여망원 이상 임금손실을
발생하는등 노사모두에게 큰 상처를 남겼다.

노사양측 모두는 경제주체라는 인식아래 향후 노사관계를 재정립해야 할
것이다.

<울산=김문권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