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정가는 경매 개시 당시 가격
통상 6개월~1년 '시차' 발생
하락기엔 높고, 상승기 땐 낮아
'급매보다 비싼 낙찰' 사례 급증
경매시장에 저가 매수세가 몰리면서 응찰자 수가 전국 평균 8.1명으로 뛰어올랐다.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이 평균 70%대를 기록하자 시세보다 싸게 물건을 확보하려는 입찰 경쟁이 그만큼 치열해진 것이다. 하지만 경매 전문가들은 ‘감정가 착시현상’을 주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입찰 기준인 감정가는 통상 6개월~1년 전 시가를 반영하기 때문에 하락장에선 시세보다 비싼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감정가 시차 6개월…재감정도 가능
13일 부동산경매 전문업체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 2월 전국 아파트 응찰자는 평균 8.1명으로 집계됐다. 2020년 6월 이후 2년8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작년 하반기엔 전국 평균 5명 안팎에 불과했다. 경기와 인천의 평균 응찰자 수는 각각 13.7명, 10.4명에 이를 정도다. 서울도 8명으로 전국 평균 수준까지 올라왔다.
찬바람 불던 경매시장이 뜨거워진 것은 저가 매수세 때문이다. 지난달 전국 아파트 낙찰가율은 전월(75.8%)보다 1.2%포인트 낮은 74.6%를 기록했다. 2012년 8월 이후 10년6개월 만의 최저치다. 감정가보다 30% 싼 가격에 아파트 매수 수요가 몰렸다는 의미다.
하지만 낙찰가율만 보고 저가 매수 기회라고 보는 건 착시효과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낙찰가율을 정하는 기준이 감정가인데 감정가는 최소 6개월 전 시세를 반영하기 때문이다. 금리 인상 기조가 본격화한 지난 하반기부터 집값이 급격히 하락한 만큼 현재 감정가는 상승기 때 가격이 반영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감정가는 법원이 경매 절차를 개시하면서 선임한 감정평가사가 정한다. 채권자, 채무자 양쪽과 이해관계가 없는 제3자가 공정한 평가를 해야 하기 때문이다. 민사집행법상 감정평가사는 2주 안에 감정가를 넣은 평가서를 법원에 제출해야 한다. 경매 절차 개시와 감정평가서 나오는 시점은 차이가 없지만 첫 번째 매각 기일까지 최소 6개월이 걸린다. 개별 법원의 사정으로 6개월 이상 걸리는 경우도 많다. 이런 시차로 집값 상승기엔 감정가가 시세보다 낮은 편이고, 하락기엔 감정가가 시세보다 높아진다. 이주현 지지옥션 선임연구원은 “감정가가 합당하지 않다고 여겨지면 채권자, 채무자 누구나 재감정을 요구할 수 있다”며 “무조건 재감정하는 건 아니고 법원이 합리적인 이유라고 판단할 때만 요청이 받아들여진다”고 말했다.
높은 감정가…“저가 매수 맞아?” 갸우뚱
최근 경매시장에 나온 물건은 2021년 하반기 또는 작년 상반기 감정이 이뤄진 게 대부분이다. 집값이 꺾이기 전 감정가가 산정된 것이다. 집값 하락률이 높은 경기, 인천 등 수도권에선 낙찰가율이 70%인데도 낙찰가가 급매 가격보다 높은 경우가 적지 않다.
경기 수원 팔달구 화서동 A아파트 전용 84㎡는 지난 8일 낙찰가율 71.9%인 5억3300만원에 새 주인을 찾았다. 응찰자가 26명에 달할 정도로 입찰 경쟁이 치열했다. 하지만 현지 중개업소에 같은 평형 아파트는 5억2500만원(매도 호가 최저)에 나와 있다. 작년 5월 산정된 이 경매 물건의 감정가(7억4200만원)는 이 단지 최고가 7억7400만원(작년 5월)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부천 중동 B아파트 전용 34㎡도 이달 초 경매시장에서 2억3000만원에 매각돼 낙찰가율 70.6%를 기록했다. 작년 5월 산정된 감정가는 3억2600만원으로, 역대 최고가(3억4000만원·2021년 10월 금액)와 비슷했다. 이 아파트의 최근 직거래 가격은 1억6000만원이고, 중개 거래도 2억~2억3200만원에 매매됐다.
감정가가 신고가보다 높은 사례도 있다. 수원 영통구 이의동 C아파트 전용 120㎡는 이달 초 응찰자 40명이 몰려 14억여원(낙찰가율 68.6%)에 팔렸다. 이 아파트의 감정가는 20억4000만원으로, 역대 최고가(20억원)를 웃돈다.
대구 지역의 부동산 매수 심리가 얼어붙으면서 경매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이 바닥을 가늠하기 어려울 정도로 떨어지고 있다. 대구 아파트 낙찰가율은 지난 1월 70% 선이 붕괴한 이후 지난달 67%로 내려앉았다.12일 부동산경매 정보업체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달 대구 아파트 낙찰가율은 67.0%로, 지난 1월(68.9%)보다 1.9%포인트 떨어졌다. 대구 아파트 낙찰가율은 집값 상승기였던 2021년 월평균 108.9%에 이를 정도로 높았다. 2021년 10월(105.5%) 이후 100% 밑으로 내려앉으면서 1년 반 동안 하향 곡선을 그렸다. 지난 1월엔 70% 선 아래로 내려왔다.경매시장에서 새 주인을 찾지 못한 물건이 계속 쌓이다 보니 경매 진행 건수가 늘어나는 추세다. 1년 전인 작년 3월 45건 수준이던 진행 건수는 지난달 86건으로 두 배 가까이 늘었다.대부분 경매 지표가 바닥 수준으로 가라앉았음에도 여전히 바닥을 가늠하기 어렵다는 시각이 많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대구 아파트값은 이달 첫째 주 0.49% 떨어져 세종(-0.55%)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낙폭이 컸다. 이미 2년여간 내려간 집값이 여전히 큰 폭으로 조정받고 있다는 얘기다.저가 매수 기회를 노리는 입찰 경쟁만 치열하다. 지난달 달서구 본리동 ‘성당 래미안’ 전용면적 84㎡는 감정가(5억5400만원)의 반값인 2억8300여만원에 팔렸다. 이날 응찰자만 35명이 몰렸다. 지난달 새 주인을 찾은 달서구 신당동 ‘신당 한화꿈에그린’도 감정가(3억800만원)의 64.5%인 1억9800여만원에 매각됐다. 두 차례 유찰돼 최저 입찰가가 1억5000여만원까지 떨어지자 22명의 응찰자가 경쟁을 벌였다.최근 매각된 북구 칠성동 ‘오페라 삼정그린코아’ 전용 98㎡도 마찬가지다. 감정가(8억5400만원)의 절반 수준인 4억1800여만원으로 최저 입찰가가 낮아지자 대기 수요가 몰리면서 낙찰가가 6억3800여만원까지 뛰었다. 낙찰가율은 76.8%를 나타냈다.이주현 지지옥션 선임연구원은 “낙찰가율 60%대 후반도 굉장히 낮은 수준”이라면서도 “현재 부동산 시장의 변수가 많고 대구는 공급이 많은 지역이라 60%대 초반까지 떨어질 가능성도 있다”고 내다봤다.심은지 기자 summit@hankyung.com
대구 지역의 부동산 매수 심리가 얼어붙으면서 경매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이 바닥을 가늠하기 어려울 정도로 떨어지고 있다. 대구 아파트 낙찰가율은 지난 1월 70% 선이 붕괴한 이후 지난달 67%로 내려앉았다.12일 부동산경매 정보업체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달 대구 아파트 낙찰가율은 67.0%로, 지난 1월(68.9%)보다 1.9%포인트 떨어졌다. 대구 아파트 낙찰가율은 집값 상승기였던 2021년 월평균 108.9%에 이를 정도로 높았다. 2021년 10월(105.5%) 이후 100% 밑으로 내려앉으면서 1년 반 동안 하향 곡선을 그린 데 이어 지난 1월엔 70% 선 아래로 내려왔다.경매시장에서 새 주인을 찾지 못한 물건이 계속 쌓이다 보니 경매 진행 건수가 늘어나는 추세다. 1년 전인 작년 3월 45건 수준이던 진행 건수는 지난달 86건으로 두 배 가까이 늘었다.대부분 경매 지표가 바닥 수준으로 가라앉았음에도 여전히 바닥을 가늠하기 어렵다는 시각이 많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대구 아파트값이 이달 첫째 주 0.49% 떨어져 세종(-0.55%)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낙폭이 컸다. 이미 2년여간 내려간 집값이 여전히 큰 폭으로 조정받고 있다는 얘기다.저가 매수 기회를 노리는 입찰 경쟁만 치열하다. 지난달 달서구 본리동 ‘성당 래미안’ 전용면적 84㎡는 감정가(5억5400만원)의 반값인 2억8300여만원에 팔렸다. 이날 응찰자만 35명이 몰렸다. 지난달 새 주인을 찾은 달서구 신당동 ‘신당 한화꿈에그린’도 감정가(3억800만원)의 64.5%인 1억9800여만원에 매각됐다. 두 차례 유찰돼 최저 입찰가가 1억5000여만원까지 떨어지자 22명의 응찰자가 경쟁을 벌였다.최근 매각된 북구 칠성동 ‘오페라 삼정그린코아’ 전용 98㎡도 마찬가지다. 감정가(8억5400만원)의 절반 수준인 4억1800여만원으로 최저 입찰가가 낮아지자 대기 수요가 몰리면서 낙찰가가 6억3800여만원까지 뛰었다. 낙찰가율은 76.8%를 나타냈다.이주현 지지옥션 선임연구원은 “낙찰가율 60%대 후반도 굉장히 낮은 수준”이라면서도 “현재 부동산 시장의 변수가 많고 대구는 공급이 많은 지역이라 60%대 초반까지 떨어질 가능성도 있다”고 내다봤다.심은지 기자 summit@hankyung.com
부동산가격 하락세가 가팔라지면서 경매시장에서 낙찰자가 대금을 미납하는 재매각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입찰보증금(최저 입찰금액의 10%)을 포기해야 하지만 집값 낙폭이 워낙 커 시세 대비 손해를 볼 수 있다는 판단에 막판 ‘손절’에 나선 것으로 분석된다.22일 부동산 경매 전문업체 지지옥션에 따르면 인천 계양구 작전동의 A 다세대 전용면적 22㎡는 지난 20일 3차 매각일에 감정가(7700만원)의 79.3%인 6100여만원에 새 주인을 찾았다. 응찰자가 42명에 달했다.이 물건은 낙찰자의 대금 미납으로 재매각이 이뤄진 사례였다. 작년 10월 처음 경매 시장에 나온 후 2차 매각일인 같은 해 11월 낙찰가율 96.2%인 7400여만원에 팔렸지만 낙찰자가 대금 납입일인 12월까지 낙찰금액을 내지 않아 올해 2월 매각이 재개됐다.업계에선 집값 하락으로 매입을 포기한 전형적인 사례로 보고 있다. 권리 분석상 문제가 없고 임차 보증금 등 인수할 금액도 없기 때문이다. 기존 낙찰자는 입찰 보증금인 530여만원을 받을 수 없지만 입찰 보증금보다 시세 하락분이 높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추정된다.2020년 12월 첫 등장 이후 17차례 입찰이 진행된 청주 서원구 성화동 B 오피스텔 전용 21㎡짜리도 15일 감정가(1억3000만원)의 2.9%인 377만원에 매각됐다. 이 물건은 전세보증금 1억1000만원을 인수해야 하는 물건으로, 낙찰자는 1억1377만원에 산 것과 같다. 작년 3월과 같은 해 9월 각각 낙찰자를 구했지만 두 차례 모두 낙찰자가 매입을 포기했다. 당시 낙찰가율은 각각 7.1%, 4.6%였다. 최저 입찰금이 낮아 입찰 보증금은 100만원 안팎 수준이었다.경남 창원 마산합포구 수성동의 C 다세대 전용 26㎡도 16일 낙찰가율 1.8%인 326만원에 매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