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5월부터 전세가율 90% 이하 주택에만 전세금 반환보증이 적용되면 수도권 빌라 세 가구 중 두 가구는 반환보증 보험 가입이 불가능한 것으로 조사됐다.
6일 부동산 중개업체 집토스가 최근 3개월간의 서울·경기·인천 지역 전월세 실거래가와 공시가격을 분석한 결과, 빌라 전세 거래의 66%가 전세가율 90%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5월부터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전세금 보증보험에 가입할 수 있는 빌라가 세 가구 중 한 가구밖에 안 된다는 뜻이다. 이번 조사는 다음달 발표될 주택 공시가격이 현재보다 10% 하락할 것을 전제로 예측했다. 전세가율 산정 시 집값은 공시가격의 140%를 기준으로 계산한다. 현재는 수도권 빌라의 73%가 가입 가능하다.
정부는 지난 2일 ‘전세사기 예방 및 피해지원 방안’을 통해 전세금 보증보험 가입 대상을 전세가율(집값 대비 전세보증금 비율) 100%에서 90%로 조정했다. 전세가율 요건을 까다롭게 하면 3억원짜리 집에 3억원 전세를 받는 수법으로 빌라를 수백 가구 매입하는 전세 사기를 예방할 수 있다는 게 정부의 판단이다.
지역별로 보면 신규 또는 갱신계약 때 전세금 반환보증 가입이 어려운 빌라 비율은 인천이 79%로 가장 많았다. 이어 경기 68%, 서울 64% 순이었다. 서울에서는 강서구(88%)가 가장 높았고, 금천구(84%)와 영등포구(82%)가 뒤를 이었다. 인천에서는 강화군(90%), 계양구(87%), 남동구(83%), 경기에서는 광주시(86%), 의정부시(86%), 이천시(84%) 순으로 보증 가입 요건 불충족 비율이 높을 것으로 조사됐다.
3월 발표되는 공시가격이 전년보다 낮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보증보험 가입이 불가능한 주택은 더 늘어날 전망이다. 진태인 집토스 팀장은 “전세 시세가 지금보다 10% 하락하더라도 절반에 달하는 빌라가 전세보증 가입 대상에서 제외될 것”이라며 “전세 계약을 할 때 보증보험에 가입할 수 없을 경우 전세 수요가 월세 시장으로 이동해 기존 전세 세입자의 전세금 미반환 사례가 늘어나는 등 악순환이 반복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서울의 마지막 판자촌으로 불리는 강남구 ‘구룡마을’이 토지 보상 준비에 착수하고 본격적인 재개발 절차에 들어간다.7일 구룡마을 사업 시행자인 SH공사(서울주택도시공사)에 따르면, 토지주를 대상으로 보상 절차를 내기 위한 공고를 준비 중이다. 이르면 이달 보상 공고를 올릴 예정이다. 구룡마을은 총 580명의 조합원 중 차명 보유 등을 제외하면 서울시·SH공사와 토지 보상 협의를 거쳐야 할 실질적인 토지주는 118명 정도로 추산된다.구룡마을은 1980년 말 도심에서 밀려난 사람들이 구룡산과 대모산 기슭에 모여들며 형성된 총 26만6502㎡ 규모의 무허가 주거지역이다. 축구장 40여 개 면적에 달하는 대규모 판자촌이 형성돼 있다.토지 보상 문제는 구룡마을 재개발의 최대 걸림돌이다. 일부 토지주는 공시가격이 아니라 길 건너 개포동 아파트 단지 땅값 시세에 준한 보상금을 원하지만, SH공사는 감정평가에 따른 공시가격 기준으로 보상 절차를 시행할 계획이다. 보상에 대한 견해차가 여전히 크지만, 공고를 내기로 한 데는 지난달 구룡마을 화재 사건이 계기가 됐다. 더 이상 재개발을 지체해서는 안 된다는 당국의 공감대가 커진 것이다.서울시는 박원순 시장 재임 시절인 2020년 6월 아파트 2838가구(임대 1107가구, 공공분양 991가구, 민간분양 740가구)와 도로, 공원, 학교 등 기반 시설을 짓는 사업계획을 고시한 바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SH공사를 사업시행자로 한 공영개발 방식으로 추진하고 있다”며 “용적률과 용도지역 변경은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통해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비업계 관계자는 “SH주도 공영개발을 하게 되면 용적률 상향이 가능해 기존 안보다 공급을 더 늘려 3600~4000가구 규모 단지로 지을 수 있다”고 말했다.박종필 기자 jp@hankyung.com
부산에서 처음으로 리모델링 조합을 설립한 해운대 상록아파트(투시도)가 시공사 선정을 앞두고 있다. 지방 광역시 중 노후 단지가 많은 부산에서 아파트 리모델링 사업이 활기를 띠고 있다.7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해운대구 좌동 ‘해운대 상록아파트’는 오는 25일 총회를 열고 포스코건설을 시공사로 선정할 예정이다. 1998년 7월 준공된 이 단지는 지하 1층~지상 최대 20층, 9개 동, 총 1000가구 규모로 이뤄져 있다. 모든 가구가 전용면적 76㎡ 단일 면적으로 구성돼 있다.2021년 추진위원회가 설립된 데 이어 이듬해 초 조합까지 출범했다. 조합은 수평·별동 증축으로 가구 수를 1104가구로 늘릴 계획이다. 2호선 장산역이 가까워 인근 수요자의 관심이 높다는 게 현지 중개업소의 설명이다.부산에서는 또 남구 용호동 ‘LG메트로시티’, 해운대구 우동 ‘센텀센시빌’, 중구 대청동 ‘그린시티’ 등이 리모델링 조합 설립을 위한 동의서를 모으고 있다. 부산시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13개 단지가 추진위를 설립한 상태다.부산 아파트들이 리모델링 사업에 주목하는 이유는 용적률 때문이다. 부산시 주택정책과 관계자는 “1990년대 말 대규모 택지 개발 사업으로 지어진 단지의 용적률이 대부분 300~400%로 높다”며 “일반 재건축으로 정비사업을 진행할 경우 현재 기준으로 3종 주거지역 용적률인 300%로 낮춰야 한다”고 설명했다. 재건축은 용적률이 줄어들기 때문에 리모델링으로 선회하는 단지가 늘어나고 있다고 덧붙였다.노후한 아파트가 많은 것도 한몫했다. 부산은 리모델링 가능 연한(준공 15년)을 넘은 노후 아파트가 83%로 많다. 노후 단지가 속출하자 부산시는 2021년부터 ‘부산 공동주택 리모델링 기본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용역에 나섰다. 지난해 말 발표된 기본계획안에는 용적률 상향 조건으로 공공보행로 확보 등 공공성을 높이는 방안이 담겼다.김효선 농협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현재 부산은 구도심과 신도시에서 노후 단지가 크게 늘어나면서 전국에서 정비사업 수요가 가장 큰 지역”이라면서도 “지난해부터 부각된 원자재가격 등 공사비 인상 이슈가 사업 추진의 장애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이혜인 기자 hey@hankyung.com
롯데건설이 경기 구리시 인창동 일원에 들어서는 ‘구리역 롯데캐슬 시그니처’(투시도)의 견본주택을 열고 분양에 나선다고 7일 밝혔다.이 단지는 지하 6층~지상 최고 42층, 11개 동, 총 1180가구 규모(전용면적 34~101㎡)로 조성되며 이 중 679가구가 일반분양으로 공급된다. 전용 85㎡ 이하 중소형이 공급 물량의 87%를 차지한다.구리역 롯데캐슬 시그니처는 단지에서 800m 거리에 경의중앙선 구리역이 있다. 구리역은 내년 서울지하철 8호선 연장선 개통을 앞두고 있어 2개 노선의 환승역이 될 전망이다. 단지 인근에는 경춘로, 아차산로 등의 도로가 인접해 차량 이용이 쉽다.단지 인근에 롯데백화점, 롯데하이마트, 하나로마트, 구리 전통시장, CGV 등 쇼핑 및 문화 편의시설이 가깝다. 한양대 구리병원, 구리보건소, 구리우체국, 구리시 인창도서관 등 의료시설과 공공기관 이용도 편리하다.이달 20일 특별공급을 시작으로 21일 1순위, 22일 2순위 청약을 한다. 당첨자 발표는 28일이며 정당계약은 다음달 13~16일 시행한다.박종필 기자 j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