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당국이 판매할 토지의 목록과 관련 정보를 누구나 쉽게 열람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출 예정이라고 중국 경제매체 차이신이 3일 보도했다.
차이신은 중국 자연자원부가 작년 말 31개 성·시·자치구에 관련 시스템을 구축하라고 주문했다고 전했다.
이에 따르면 각 지방정부가 연간 토지 공급 계획에 따라 일정 기간 내에 양도할 토지의 구체적인 위치, 면적, 목적, 주요 계획조건, 공급 방법 등을 공개하도록 했다.
이는 기업 등 시장 참여자가 충분히 검토할 시간을 갖고서 투자 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고 차이신은 전했다.
토지 사유가 불허된 중국에서 토지 판매는 최대 70년간의 토지 사용권을 임대하는 것이다.
토지 판매로 충당하는 토지 재정은 각 지방정부의 핵심 재원이다.
2020년 전체 지방 재정 수입에서 국유토지 매각 수입이 차지하는 비중은 43.6%, 2021년에는 41.8%에 달했다.
그러나 중국 당국의 부동산 투기 단속으로 2021년 말 최대 부동산개발업체인 헝다(恒大·에버그란데)가 디폴트(채무불이행)에 처한 이후 유동성 위기가 불어닥쳐 토지 판매 급감으로 이어졌고, 지방정부의 토지 재정은 위험 수위에 도달했다.
제일재경 등 중국 매체들의 보도에 따르면 작년 중국의 국유토지 매각 수입은 4조7천300억 위안(약 868조3천억 원)으로 전년 대비 31% 감소했다.
이런 가운데 중국 당국은 작년 5월 정기적으로 모든 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상시적 PCR 검사' 체계를 갖추라고 지시했고, 지방 정부들은 작년 11월 방역 완화 조치가 나오기 전까지 3∼7일에 1회씩 모든 주민을 대상으로 PCR 검사를 하는 바람에 지출이 많이 늘어났다.
차이신은 중국 당국이 토지 판매 정보 일괄 공개시스템 구축을 통한 판매 활성화 효과도 노리고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조합, 재검증 요청방침…시공단 "공사 중단될 일 없어" 서울 강동구 올림픽파크 포레온(둔촌주공 재건축) 시공사업단이 조합 측에 통보한 추가 공사비에 대해 한국부동산원이 일부만 검증 가능하다고 회신하면서 공사비 검증을 둘러싼 논란이 이어질 전망이다. 31일 정비업계 등에 따르면 부동산원은 최근 둔촌주공 조합에 추가 공사비 1조1천385억원 중 1천630억원(14%)만 검증 가능하다는 의견을 회신했다. 다만 이는 최종 결론은 아니며 부동산원은 조합으로부터 추가 자료를 받은 뒤 검증 결과를 통보할 예정이다. 이에 부동산원이 검증하지 않은 9천700여억원은 다시 조합과 시공사업단이 협상을 진행해야 한다. 부동산원은 추가 공사비 중 분양 지연에 따른 금융비용 손실금액, 재착공에 따른 원자재 가격상승 금액, 공사 중단 기간에 따른 손실금액, 공사 기간 연장에 따른 손실금액, 공사 중단·재개 준비에 따른 손실금액 등은 검증이 불가하다고 판단했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검증이 불가하다고 밝힌 항목은 부동산원의 업무영역 범위가 아니다"라며 "검증 가능하다고 판단한 항목은 조합에 추가 자료를 요청했다"고 말했다. 부동산원 검증 결과는 강제성이 없는 권고 사항이다. 조합은 가급적 한국부동산원에서 공사비 검증을 받겠다는 입장이다. 조합 관계자는 "작년 12월 한국산업경쟁력연구원에 공사비 검증 용역을 의뢰했다"며 "자체 용역 결과가 나오면 이를 바탕으로 한국부동산원에 공사비 전체 검증을 재요청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시공사업단 관계자는 "부동산원이 검증을 제외한 항목은 해당 기관의 검증 영역이 아닐 뿐 공사를 재개하고 수행하기 위해 명백히 투입된 비용"이라면서도 "
서울 강북권 알짜 재건축 사업지로 꼽히는 마포구 공덕1구역(사진)이 착공 시점을 놓고 골머리를 앓고 있다. 조합은 공사비 인상에 동의했는데도 시공사가 차일피일 착공을 늦추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시공사업단은 최소한 일반분양 시점은 돼야 착공이 가능하다는 입장이다.공덕1구역 조합은 31일 시공사업단인 GS건설·현대건설 측과 착공 시점을 놓고 협상을 벌였지만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공사비 인상에 동의했는데도 왜 착공을 미루는지 이해할 수 없다는 게 조합 측 주장이다. 이미 지난해 7월 철거를 마친 만큼 최대한 착공을 서둘러야 하는데 시공사업단이 이에 동의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공덕1구역 재건축은 공덕동 서울서부지방법원 뒤편 5만8427㎡ 부지에 지상 최고 22층, 1101가구의 아파트를 짓는 사업이다. 단지명은 ‘마포자이 힐스테이트’다. 서울 지하철 5호선 공덕역과 애오개역을 걸어서 이용할 수 있다.이달 초 서초구 반포주공 1단지 3주구가 공사비 인상 합의 후 곧바로 착공에 나서자 공덕1구역 조합도 시공사에 착공을 독력하고 있다. 조합은 지난 2월 자재값 인상 등을 반영해 당초 3.3㎡당 448만5000원이던 공사비를 613만원으로 증액하는 데 합의해줬다. 문경래 조합장은 “당시 증액만 동의하면 바로 착공할 수 있다고 구두약속했다”며 “시공사업단이 갑자기 ‘현금이 우선’이라며 공사를 일반분양 때까지 미루겠다는 답을 했다”고 하소연했다.시공사업단인 GS건설 측은 “일반분양이 시작될 때 착공에 들어가는 게 일반적인 수순”이라며 “부동산 경기 호황기에는 조합 요청으로 미리 착공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는 이례적인 사례”
조합, 재검증 요청방침 서울 강동구 올림픽파크 포레온(둔촌주공 재건축) 시공사업단이 조합 측에 통보한 추가 공사비에 대해 한국부동산원이 일부만 검증 가능하다고 회신하면서 공사비 검증을 둘러싼 논란이 이어질 전망이다. 31일 정비업계 등에 따르면 부동산원은 최근 둔촌주공 조합에 추가 공사비 1조1천385억원 중 1천630억원(14%)만 검증 가능하다는 의견을 회신했다. 다만 이는 최종 결론은 아니며 부동산원은 조합으로부터 추가 자료를 받은 뒤 검증 결과를 통보할 예정이다. 이에 부동산원이 검증하지 않은 9천700여억원은 다시 조합과 시공사업단이 협상을 진행해야 한다. 부동산원은 추가 공사비 중 분양 지연에 따른 금융비용 손실금액, 재착공에 따른 원자재 가격상승 금액, 공사 중단 기간에 따른 손실금액, 공사 기간 연장에 따른 손실금액, 공사 중단·재개 준비에 따른 손실금액 등은 검증이 불가하다고 판단했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검증이 불가하다고 밝힌 항목은 부동산원의 업무영역 범위가 아니다"라며 "검증 가능하다고 판단한 항목은 조합에 추가 자료를 요청했다"고 말했다. 부동산원 검증 결과는 강제성이 없는 권고 사항이다. 조합은 가급적 한국부동산원에서 공사비 검증을 받겠다는 입장이다. 조합 관계자는 "작년 12월 한국산업경쟁력연구원에 공사비 검증 용역을 의뢰했다"며 "자체 용역 결과가 나오면 이를 바탕으로 한국부동산원에 공사비 전체 검증을 재요청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