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12월, 계약갱신청구권 쓴 세입자 역대 최저
부동산 중개 스타트업 '집토스' 분석
"집값 하락에 청구권 안 써도 계약 원활"
"전셋값 깎는데 갱신청구권 사용"
"집값 하락에 청구권 안 써도 계약 원활"
"전셋값 깎는데 갱신청구권 사용"

3일 부동산 중개업체 집토스가 서울과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주택의 국토교통부 전·월세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계약갱신요구권을 사용한 계약 건수는 6574건을 기록했다. 전체 갱신계약 중 36% 수준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7% 줄어들었다. 역대 최저치다.
'역전세난'이 지속되는 가운데 갱신을 원하는 세입자가 계약갱신청구권을 사용하지 않아도 집주인과 원만하게 계약이 이뤄지고 있다는 게 집토스의 설명이다.

임대차 계약을 갱신하면서 전세를 월세로 바꾸는 갱신 계약도 늘었다. 작년 하반기 수도권 임대차 갱신 계약 중 전세를 월세로 변경한 갱신계약은 5971건으로 전년 동기(3572건) 대비
67% 뛰었다.
진태인 집토스 아파트중개팀장은 "금리 상승으로 인하여 대출 부담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세입자들은 상대적으로 더 저렴한 매물을 찾아 나서고 있다"며 "집주인들은 전셋값을 줄여주거나 세입자 대출 이자를 지원해주는 경우도 있다"고 했다.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