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진단 D등급' 단지 재건축 쉬워진다
정부, 안전진단 제도 개선
구조안전성 비중 50%→30%로
주차난·노후 배관 단지도 재건축
목동·상계 '조건부 통과' 단지 등
재건축 대상 21→35곳으로 늘어
구조안전성 비중 50%→30%로
주차난·노후 배관 단지도 재건축
목동·상계 '조건부 통과' 단지 등
재건축 대상 21→35곳으로 늘어

2차 정밀안전진단 5년 만에 폐지

기존에 조건부 재건축 판정을 받아 적정성 검토를 준비하던 곳들도 완화된 규정으로 다시 판정을 받을 수 있다. 다만 서울 양천구 목동신시가지9·11단지 등 과거 2차 정밀안전진단에서 최종 탈락한 곳들은 재건축을 추진하려면 예비 안전진단 절차부터 다시 밟아야 한다.
또 안전진단 평가 구간 중 조건부 재건축 판정 비중은 줄고 ‘무조건 재건축’ 대상 구간이 대폭 늘어난다. 2차 정밀안전진단 없이 재건축을 즉각 추진할 길이 확대되는 것이다. 현행 안전진단에선 총점 30점 이하(E등급)는 무조건 재건축, 30점 초과~55점 이하(D등급)는 조건부 재건축, 55점 초과(C등급)는 재건축 불가로 판정하고 있다. 국토부는 조건부 재건축 판정 구간을 45점 초과~55점 이하로 축소하고, 무조건 재건축 대상을 현재 30점 이하에서 45점 이하로 완화하기로 했다.
‘재건축 가능’ 단지 21곳→35곳 증가

국토부 시뮬레이션 결과 안전진단 합리화 방안이 시행되면 2018년 3월 이후 안전진단을 받은 전국 46개 아파트 단지 중 35곳(무조건 12곳, 조건부 23곳)이 재건축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됐다. 현재 21곳보다 14곳 늘어난다.
이날 발표된 안전진단 완화 방안은 이달 행정예고를 거쳐 다음달 시행될 예정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안전진단이 민간 업체 책임하에 시행되는 만큼 무분별하게 허용되지 않도록 교육과 컨설팅을 강화하고, 실태 점검도 병행할 방침”이라고 했다.
하헌형 기자 hhh@hankyung.com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