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년 새 주택 매매량이 반토막 수준으로 떨어진 가운데 전국 미분양 물량은 5만 가구에 육박하고 있다.
국토교통부가 30일 발표한 ‘10월 주택 통계’에 따르면 올 들어 10월까지 전국의 주택 매매량은 44만9967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89만4238건)보다 49.7% 감소했다. 1년 만에 거의 반 토막 난 셈이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은 17만9159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58.5% 줄었고, 지방(27만808건)도 41.5% 감소했다. 서울은 5만611건으로 55.1% 줄었다. 유형별로는 아파트가 26만2084건으로 56.1% 감소했고, 아파트 외 주택(18만7883건)은 36.7% 줄었다.
극심한 ‘거래절벽’ 가운데 미분양 역시 증가하는 추세다. 10월 말 기준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총 4만7217가구로 작년 10월보다 235.5% 증가했다. 지방 미분양 주택은 209.8% 늘어난 3만9605가구에 달했다. 서울 미분양 주택은 866가구로 작년 10월(55가구)에 비해 14배 넘게 늘었다.
전월과 비교해선 10월 전북지역 미분양 주택이 1383가구로 한 달 새 122.7%(762가구) 늘어 가장 큰 증가폭을 보였다. 강원(1262가구→2287가구)과 경남(2401가구→4176가구)도 한 달 새 각각 81.2%와 73.9% 늘었다.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전국에 7077가구로 전월보다 1.6%(112가구) 줄었으나, 서울(210가구)은 12.3%(23가구) 증가했다.
10월 전·월세 거래량(신고일 기준)은 20만4403건으로 전년 동월 대비 7.6% 증가했다. 10월까지 누계 전·월세 거래에서 월세가 차지하는 비중은 51.8%로 집계됐다.
정부가 업무개시명령 발동 이튿날 445명에게 명령서를 발부하는 등 화물연대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다만 일부 화물 차주가 고의적으로 명령서를 회피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총파업이 장기화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30일 국토교통부는 업무개시명령 대상이 된 벌크시멘트트레일러(BCT) 기사 2500여 명 중 집단운송거부 사실이 확인된 445명에 대한 명령서를 발부했다. 국토부는 78개 시멘트 운송업체를 상대로 한 현장 조사를 통해 21개사는 운송업체가, 19곳은 화물 차주들이 운송을 거부한 것으로 파악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르면 1일 전체 차주의 주소지 확보를 완료할 수 있을 것”이라며 “명령서 전달 대상자도 빠르게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국토부는 일단 주소와 연락처를 확보한 화물차주를 대상으로 명령서를 우편으로 발송하고 있다. 업무개시명령서는 당사자에게 우편으로 전달하는 게 원칙이다. 이 과정이 5일 정도 걸린다. 1차 발송에도 제대로 전달되지 않으면 2차 송달을 한 뒤 공시 송달로 전환할 계획이다. 공시 송달은 관보나 일간지 등에 명령서 내용을 일정 기간 게재하면 당사자에게 직접 전달된 것으로 간주하는 제도다. 공시는 통상 14일이 지나야 효력이 발생하지만 긴급한 상황에선 3일 후 효력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는 게 국토부의 설명이다.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이날 서울의 한 시멘트 운송업체를 찾은 자리에서 “업무개시명령 송달을 회피하는 화물 차주들은 가중 처벌될 수 있다”며 “운송 거부를 선동하거나 행동으로 방해하는 경우 이번 사태가 원만하게 해결되더라도 끝까지 법에 따라 심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화물연대는 조합원들이 명령서를 송달받는 대로 법원에 업무개시명령 취소와 집행정지를 요청하는 소송을 낼 예정이다. 정부는 화물연대 조합원 7000여 명(전체의 35%)이 전국 160곳에서 집회를 벌이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이날 결렬된 화물연대와의 2차 면담을 끝으로 정부는 사실상 추가 교섭 중단을 선언했다. 유가보조금 지급 제외와 민사상 손해배상 청구까지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김은정/이혜인 기자 kej@hankyung.com
서울 강북의 대표 홍등가인 ‘미아리 텍사스’(조감도) 일대가 최고 47층 대규모 주상복합 단지로 재개발된다. 조합은 내년 2월께 주민 이주 절차를 시작해 하반기 착공할 계획이다. 단지는 롯데건설이 단독 시공한다.서울 성북구청은 하월곡동 88 일대 신월곡1구역의 재개발 관리처분계획을 인가해 고시한다고 30일 밝혔다. 건물과 토지 등 사업지에 대한 조합원 지분 비율과 분담금 등을 담은 관리처분계획 인가는 재개발·재건축 사업의 실질적인 최종 단계다.계획안에 따르면 지하철 4호선 길음역 10번 출구 북쪽에 접한 약 5만5112㎡의 저층 낙후 상업지역은 아파트만 8개 동에 2244가구(전용면적 27~155㎡) 규모 주상복합단지로 탈바꿈한다. 조합원이 445명에 불과해 일반 분양 물량이 1000가구가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선호도가 높은 전용 59~115㎡ 아파트가 1554가구로 대부분을 차지하며 27~28㎡짜리 원룸 아파트 328가구와 임대주택을 비롯해 소수의 대형 주택, 펜트하우스 등이 포함됐다. 단지에는 오피스텔 484실과 생활형 숙박시설 198실, 상가 등이 함께 들어선다. 성북2구역과 결합정비 방식을 적용해 성북2구역이 사용하지 못하는 용적률을 받아 신월곡1구역은 680%까지 용적률을 상향받았다. 향후 개발 이익 일부를 나눠주는 조건이다.신월곡1구역은 2005년 재개발 구역으로 지정된 후 조합을 설립했으나 조합원 간 120여 차례 소송전이 벌어지는 등 극심한 갈등으로 사업이 장기간 지연돼왔다. 관련 법률 개정 과정에서 성북구청이 토지 수용 절차에 추가된 ‘공익성의제협의절차’를 누락하는 해프닝도 있었다. 최근에는 컨소시엄 시공사였던 한화건설이 “사업 불확실성이 커졌다”며 시공권을 포기했으나 남은 롯데건설이 사업을 지속하기로 결정하면서 위기를 넘겼다.재개발이 이뤄지면 ‘미아리텍사스’ 집창촌은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된다. 1960년대 말부터 성매매 업소가 들어서 형성된 이곳에선 한때 350여 곳의 업소가 성업했으나 2000년대 중후반부터 온라인 기반 오피스텔 성매매 등 신종 업태에 밀려 쇠락했다. 최근 코로나19 사태까지 겹쳐 사람들의 발길이 거의 끊겼다. 현재 영업 중인 곳은 수십 곳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된다. 조합 관계자는 “이주와 세입자 보상 단계에서 무허가 불법 영업을 해온 집창촌 세입자들과의 심한 갈등이 예상되지만 협의를 통해 문제를 해결해 나가겠다”고 말했다.이현일 기자 hiuneal@hankyung.com
서울 강남구와 강북구의 아파트값이 약 세 배 차이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리인상 여파로 서울 집값이 하락세를 보이는 가운데 강남권보다 수요가 적은 강북권 집값이 더 큰 조정을 받고 있다는 분석이다.30일 부동산 정보제공업체 경제만랩이 KB부동산의 주택가격 동향을 분석한 결과 이달 서울 25개 자치구 가운데 아파트 평균 매매가가 가장 높은 곳은 강남구였다. 이달 기준 강남구의 3.3㎡당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9023만원으로, 지난 1월(8338만원)보다 8.2%(685만원) 상승했다. 이어 서초구(8758만원), 용산구 (6756만원), 송파구 (6700만원) 등 순으로 조사됐다.평균 매매가가 가장 낮은 곳은 강북구로 3198만원이다. 1월(3142만원)보다 1.7%(56만원) 오르는 데 그쳤다. 이어 도봉구(3204만원)와 중랑구(3240만원) 등이 낮은 가격을 기록했다. 경제만랩 관계자는 “강북권은 지난해 주요 수요층이던 ‘영끌족’이 크게 줄면서 더 큰 타격을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이혜인 기자 he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