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보증금 미반환 사고가 잇따르는 가운데 매매가와 전셋값의 차이가 큰 신축 아파트나 재건축 단지가 ‘깡통전세’(전세보증금이 매매가를 웃도는 주택) 우려가 작다는 분석이 나왔다.

'깡통전세' 위험, 신축보다 구축이 높다
6일 부동산R114가 지난달 말 기준 수도권 아파트 총 337만684가구를 분석한 결과, 전세가율(매매가 대비 전셋값)이 80%를 초과하는 아파트는 전체의 3.7%(12만6278가구)로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인천이 6.1%(46만1790가구 중 2만8217가구), 경기 5.5%(172만6393가구 중 9만5558가구), 서울 0.2%(118만2501가구 중 2503가구)를 기록했다.

전세가율 80%를 초과하는 수도권 가구 중에서 입주 21~30년 구축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중이 59.5%(7만5203가구)로 가장 높았다. 이어 입주 11~20년 27.2%(3만4428가구), 입주 6~10년 7.7%(9663가구), 입주 5년 이하 신축이 0.9%(1091가구) 순이었다. 연식이 오래된 단지일수록 전세가율 80%를 넘는 아파트가 많아 깡통전세 위험이 크다는 얘기다.

다만 재건축 연한이 도래한 입주 30년이 넘은 단지의 경우 전세가율 80%를 초과한 가구가 4.7%(5893가구)로 비중이 작았다. 통상 노후화가 심한 재건축 단지는 전셋값이 싸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부동산R114 관계자는 “아파트는 빌라, 단독주택보다 깡통전세 위험이 낮지만 전세가율이 높은 일부 지역과 단지는 주의가 요구된다”며 “일반적으로 전세가율은 아파트값 수준이 높은 서울보다는 인천과 경기 아파트가, 신축 아파트보다 구축 아파트에서 깡통전세 위험이 크다”고 설명했다.

심은지 기자 summi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