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양 비수기' 7월…전국 47곳서 3만3000가구 나온다
7월 아파트 분양…'내집마련' 전략
시장 불확실성 사라져
건설사, 대거 공급 나서
작년보다 61% 늘려
선택폭 넓어졌지만
입지·자금사정 따져야
인천 부평2구역
1500가구 선보여
검단 '디에트르'도
1000가구 넘는 대단지
경기 광명1구역
부산 에코델타 등 관심
서울은 청약 단지 없어
시장 불확실성 사라져
건설사, 대거 공급 나서
작년보다 61% 늘려
선택폭 넓어졌지만
입지·자금사정 따져야
인천 부평2구역
1500가구 선보여
검단 '디에트르'도
1000가구 넘는 대단지
경기 광명1구역
부산 에코델타 등 관심
서울은 청약 단지 없어

전국에서 3만3000여 가구 일반분양

청약 경쟁률은 지난해 수준에는 못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본부장은 “분양가상한제 개편에 따른 예상 분양가 상승률이 생각보다 높지 않을 것으로 보여 청약 대기자들이 급하게 청약에 참여하기보다는 당분간 관망세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일반 분양물량이 늘어난 소비자 선택의 폭은 한결 커졌다. 권 본부장은 “공급 물량이 늘어나면서 선택 폭이 넓어진 건 수요자에겐 긍정적인 측면”이라며 “상품의 입지와 특징, 개인 자금 사정 등을 고려해 청약 전략을 세워야 한다”고 조언했다.
다만 실제 분양 물량은 예정 물량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지난달에는 당초 42개 단지, 총 2만4598가구(일반공급 2만2383가구)가 공급될 것으로 예상됐지만 분양이 이뤄진 단지는 24개 단지, 총 1만4879가구(일반공급 1만2849가구)에 불과했다.

1000가구 넘는 대단지도 ‘속속’

경기에는 15개 단지, 총 1만8846가구(일반공급 1만2237가구)가 공급된다. 1000가구가 넘는 대단지가 많다. 가장 큰 사업지는 3585가구 규모의 광명시 광명동 ‘광명1구역 재개발’이다. 시공사는 GS건설·포스코건설·한화건설 컨소시엄이다. 서희건설은 남양주시 평내동에 ‘남양주 진주 재건축’(1843가구)을 선보인다. 현대건설은 평택시 현덕면에 1571가구 규모의 ‘평택 화양지구 힐스테이트’를 제공할 예정이다. 대단지는 피트니스센터, 독서실 등 다양한 커뮤니티 시설을 갖추고 있고 상대적으로 아파트값 상승 여력도 커 실수요자들이 선호하는 편이다.

부산(5개 단지·3683가구)과 경남(4개 단지·2272가구) 등에서도 분양이 잇따른다. 부산 강서구 강동동에는 대방건설의 ‘부산에코델타시티1·2차 디에트르’가 공급된다. 1차 단지(1464가구)와 2차 단지(976가구)를 합쳐 총 2440가구(전용 59~110㎡) 규모로 조성된다. 경남 창원시 가음동에는 GS건설의 ‘창원자이 시그니처’가 들어선다. 가음 8구역 재건축 사업지로 최고 30층, 8개동, 총 786가구로 구성되며 이 중 전용 59~84㎡, 453가구가 일반공급된다. 남정초, 남산중, 상남중, 중앙여고 등 주변에 학교가 많은 게 특징이다.
이혜인 기자 hey@hankyung.com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