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설의 원자력 발전소 시공 능력은 이미 글로벌 톱티어입니다. 중동 원전 시장이 본격적으로 열리면 큰 기회가 올 겁니다.”최영 현대건설 원자력사업단장(사진)은 14일 “현대건설은 글로벌 원전 시장의 게임체인저로 도약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2020년 12월부터 현대건설의 원전사업단을 총괄하는 그는 1992년 현대건설에 입사해 플랜트 현장 2년을 제외한 28년간 원전 현장에서만 근무한 원전 베테랑이다. 해외 첫 원전수출인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 현장도 진두지휘했다.무함마드 빈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의 방한 계획에 국내외 원전 업계와 투자자들이 현대건설을 주목한 이유도 UAE 원전 시공 경험 때문이다. 사우디는 지난 5월 한국을 비롯한 중국, 프랑스, 러시아 등에 1.4GW(기가와트) 규모 원전 2기의 건설 입찰 참여 요청서를 보냈다. 양국 정상회담에선 원전 건설도 핵심 의제로 검토될 것으로 알려졌다.현대건설은 사우디 원전 입찰에서도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원전 부지만 여의도 네 배 너비인 UAE 원전 4기를 시공해 이미 중동 지역에서 탄탄한 입지를 구축했다.최 단장은 “아직 입찰 초기단계라 조심스럽다”며 말을 아꼈다. 다만 그는 “UAE 원전 시공은 하루 최대 21개국 2만 명 정도가 투입되는 대규모 공사로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기 힘들었다”며 “현대건설은 이런 대규모 공사의 인력, 자재 등을 완벽히 매지니먼트할 수 있다는 점을 현지에서 이미 검증받았다”고 말했다.사우디를 포함한 중동은 최근 대규모 개발 프로젝트에 나서고 있다. 전력 수요가 크게 늘면서 효율성이 높은 원전에 주목하고 있다. 최 단장은 “
다음은 최근에 어느 지인으로부터 받은 질문이다. 아파트 임차인이 자연인 개인이 아니라 법인일 경우, 소속 직원 숙소용으로 주거용 아파트를 임차한 후 직원이 해당 주택에 주민등록했다면, 임차인인 중소기업이 주택임대차보호법상의 계약갱신요구권을 행사할 수 있을까? ★ 주택임대차보호법 제6조의3(계약갱신 요구 등)① 제6조에도 불구하고 임대인은 임차인이 제6조제1항 전단의 기간 이내에 계약갱신을 요구할 경우 정당한 사유 없이 거절하지 못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1호 내지 9호 중략>② 임차인은 제1항에 따른 계약갱신요구권을 1회에 한하여 행사할 수 있다. 이 경우 갱신되는 임대차의 존속기간은 2년으로 본다.③ 갱신되는 임대차는 전 임대차와 동일한 조건으로 다시 계약된 것으로 본다. 다만, 차임과 보증금은 제7조의 범위에서 증감할 수 있다.④ 제1항에 따라 갱신되는 임대차의 해지에 관하여는 제6조의2를 준용한다.즉답이 쉽지 않았다. 대답을 머뭇거리면서, 왜 이런 질문을 하는지 지인에게 반문했다. 지인분 왈, “중소기업이 직원숙소용으로 임차 중인 어느 아파트를 실거주용으로 매수하려고 하는데, 임차인 법인이 갱신요구권을 행사할 수 있는지에 따라 매수여부를 결정하려고 한다”는 것이다. 갱신요구권을 가지는지 여부가 매수결정에 중요한 관건이 될 수 밖에 없는 사안이라, 정확한 답변을 위해 어쩔 수 없이(?) 리서치 할 수밖에 없었고, 그 덕분에 이 칼럼까지 만들게 되었다. 법인이 직원 숙소용으로 주거용 건물을 임차하는 위와 같은 경우를 판단함에 있어 가장 먼저 떠올리게 되는 규
주택 매수 심리가 얼어붙으면서 주변 시세보다 최대 40% 저렴한 공공분양 아파트 인기마저 급속도로 식고 있다. 신혼부부 등 청약 가점이 낮은 젊은 층을 대상으로 한 특별공급 물량이 이례적으로 미달되는가 하면, 사전청약 당첨자가 본청약 때 신청을 포기하는 사례도 속출하고 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집값 고점’ 우려가 확산하는 데다 정부가 250만 가구 이상 대규모 주택 공급을 예고하고 있어 실수요자의 관망세가 갈수록 짙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공공분양 특공 1년8개월 만에 미달12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지난 8~9일 공공택지인 경기 양주시 옥정 A-4(1)블록의 특별공급 청약 신청을 받은 결과, 1195가구(전용면적 51·59㎡) 모집에 122명만 신청해 미달됐다. 전체 모집 가구 수의 90%가량을 채우지 못한 것이다. 신혼부부, 생애 최초, 다자녀 가구 등을 대상으로 하는 특별공급은 자녀 수, 거주 기간 등을 따지긴 하지만 청약 가점이 낮은 실수요자도 당첨 기회가 있어 20~30대 젊은 층의 관심이 높다. 공공분양 특별공급 물량이 미달된 것은 2020년 12월 의정부시 고산 S3블록 이후 1년8개월 만이다.총 1409가구 규모인 이 아파트는 후분양이어서 입주(2023년 9월 예정)가 빠른 데다 착공을 앞둔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C 노선 기점인 덕정역과도 가까워 청약 전 이목을 끌었다. 분양가 상한제를 적용받아 전용 59㎡ 기준 분양가는 최고 2억9620만원으로 책정됐다. 맞은편 옥정동 ‘옥정센트럴파크푸르지오’(1862가구, 2016년 준공) 전용 58㎡의 지난달 실거래가(4억2000만원) 대비 40%가량 싸다. 결혼 3년 차인 직장인 김모씨(37)는 “집값 하락세가 가팔라지는 상황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