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집값도 꺾였다
은평구 아파트 1억7000만원 '하락'
한국부동산원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은평구 집값, 1년 7개월 만 하락 전환
수도권 전셋값도 하락 지역 속출
은평구 아파트 1억7000만원 '하락'
한국부동산원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은평구 집값, 1년 7개월 만 하락 전환
수도권 전셋값도 하락 지역 속출

2018년 10월 입주한 녹번동 ‘힐스테이트녹번’ 아파트. /이혜인 기자
23일 한국부동산원이 내놓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12월 셋째 주(20일) 기준 서울 집값은 0.05% 올라 전주(0.07%)보다 상승 폭이 다소 줄어들었다. 서울 25곳 자치구 가운데 강북구(0.02%)를 제외하고는 나머지 24곳은 상승 폭이 줄어들거나 전주 수준을 유지했다.
올해 들어 처음으로 집값이 꺾인 곳도 나왔다. 은평구는 이번 주 0.03% 떨어져 지난해 5월 첫째 주(4일) 이후 1년 7개월(86주)만에 하락 전환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은평구 녹번동에 있는 ‘래미안베라힐즈’ 전용 84㎡는 지난달 12억7000만원에 거래됐는데, 지난 9월 거래된 신고가 14억4000만원보다 1억7000만원 하락한 수준이다.
응암동에 있는 ‘백련산에스케이뷰아이파크’ 전용 84㎡도 지난달 11억4000만원에 매매 계약을 맺었는데, 전월 거래된 11억6500만원보다 2000만원 낮게 팔렸다. 지난 8월 기록한 신고가 12억원보다는 6000만원 싸게 빠진 것이다.

사진=뉴스1
은평구에 있는 A 공인 중개 관계자는 “전반적으로 거래가 많이 없는 것이 사실이다. 대출 규제, 금리 인상 등으로 돈줄이 마른 영향이 크다”며 “최근엔 문의 전화도 거의 없는 상황”이라고 했다.
금천구도 보합(0.00%)으로 전환했다. 지난해 5월 둘째 주(11일) 이후 1년 7개월 만이다. 올해 들어 강북구에 이어 두 번째로 보합을 기록했다.
금천구 시흥동에 있는 남서울힐스테이트 전용 84㎡는 지난 10월 10억9000만원에 거래된 이후 두 달 째 거래되지 않았다. 이 가격도 지난 9월 기록한 신고가 11억3000만원보다 4000만원 하락한 금액이다.
독산동에 있는 ‘금천롯데캐슬골드파크1차’도 지난 10월 12억원에 매매 계약을 맺었는데, 같은 달 거래된 13억7000만원보다 1억7000만원 싸게 팔렸다. ‘금천롯데캐슬골드파크3차’ 전용 59㎡는 이달 9억8000만원에 새 주인을 찾았는데, 올해 신고가 10억5000만원보다 7000만원 저렴한 가격에 계약이 체결됐다.

경기도 화성시 동탄신도시의 모습. 사진=뉴스1
지방에서는 대구와 세종 집값이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대구는 0.03% 떨어졌는데 신규 입주와 미분양 물량 영향으로 하락세가 계속되고 있다. 다만 대구의 강남으로 불리는 수성수는 보합을 유지했다. 세종은 전주(-0.47%)보다 하락 폭을 확대, 0.57% 떨어졌다. 대출 규제가 지속하는 가운데 신규 입주 물량이 쏟아지면서 매수 심리가 위축됐고, 매물이 쌓인 탓이다.
전셋값도 하락하고 있다. 서울 전셋값은 0.06% 상승했는데, 전주보다 소폭 떨어졌다. 25개 자치구 가운데 17곳이 상승 폭을 축소했다. 성북구 전셋값은 0.02% 내렸다. 2019년 6월 넷째 주(24일) 이후 2년 5개월 만이다. 정릉동 구축 위주로 매물이 쌓이면서 하락세로 전환했단 설명이다. 금천구와 관악구 전셋값도 보합(0.00%)으로 전환했다. 전셋값이 너무 오르면서 실수요자들이 부담을 느끼자 거래가 줄었단 분석이다.

매매 및 전세가격지수 변동률 사진=한국부동산원
대구와 세종도 전셋값 하락이 지속하고 있다. 대구는 전주 보합에서 이번 주 0.03% 하락세로 전환했다. 달서구와 중구, 동구 등에서 전셋값이 내렸다. 신규 입주와 미분양 물량이 쌓이면서 부담이 커졌다. 세종은 이번 주 0.43% 떨어져 전주보다 하락 폭을 더 키웠다. ‘세종어울림파밀리에센트럴’ 1210가구가 신규 입주하면서 공급이 늘었고 매물이 쌓이고 있단 설명이다.
이송렬 한경닷컴 기자 yisr0203@hankyung.com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