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구로구 병원용 빌딩=유동인구 풍부한 상권 대지 990㎡, 연면적 1670㎡의 7층 건물의 3개 층. 10년간 공실 없었고 한방·재활·정형외과·요양병원 등과 보증금 6억원, 월 3000만원에 임차 협의 중. 60억원. 02-2086-3847 강남 케이에스에셋 이근구 (11680-2018-00463)
경기 수원시 고등지구 신축 상가 병원 임대=4500가구 아파트단지 정문 앞 5층 상가 건물의 2층 점포. 병·의원 개원하기에 적합. 내과·소아과·가정의학과·이비인후과 등 개원의에게 추천. 건축주 직접 상담. 010-3288-2750
경기 동탄신도시 메디컬상가 정형외과=2동탄 2만 가구 중심상업지 대로변 사거리 코너 7층 상가의 대로 방향 5층 점포 전용 146㎡(분양 284㎡). 보증금 4000만원, 월 340만원(부가가치세 별도)에 정형외과로 2026년까지 5년 장기임대 중. 융자 4억3000만원, 실투자 2억5000만원, 연 수익률 11.5% 가능. 안정적인 임대수익 및 향후 가치 상승 기대. 7억2000만원. 010-5305-9797 수지 동문114 이창수 (가3648-02-2333)
충남 태안군 근흥면 바다 조망 농가주택(사진)=태안반도 연포해수욕장 인근 계획관리지역 대지와 밭 658㎡. 서해바다 조망되고 주변 경관 수려한 곳. 채석포구, 골든베이CC, 정산포구, 안흥성, 갈음이해수욕장, 신진도항 등 관광명소 인근. 귀농·귀촌, 전원생활지로 적합. 9000만원. 041-666-0006 서산 장승백이 정은현 (44210-2018-00029)
경기 남양주 다산신도시 대로변 1층 상가=대규모 아파트단지 맞은편 상가 밀집지역 대로변 5층 건물의 1층 점포 전용 44㎡. 보증금 3000만원, 월 295만원(부가세 별도)에 프랜차이즈 김밥 전문점으로 임대 중. 융자 4억원, 실투자 3억7000만원. 안정적인 임대수익형. 8억원. 010-3759-2500 강남 서울공인 이석규 (9250-10933)
정부가 ‘LH 사태’ 이후 투기 근절 대책으로 내놓은 비사업용 토지에 대한 양도소득세 중과 방안이 국회에서 불발된 것으로 확인됐다. 시장에선 정부가 지난 3월 말 발표한 이 방안이 내년 1월부터 적용될 것이라고 받아들여 온 만큼 혼란은 불가피할 전망이다.더불어민주당 관계자는 1일 “양경숙 민주당 의원이 대표발의하고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에 계류 중인 소득세법 개정안에 대해 더 이상 논의하지 않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소수의 투기꾼을 잡자고 다수의 토지 보유자를 규제해서는 안 된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해당 법안은 내년 1월부터 비사업용 토지의 양도세율 중과를 기존 10%에서 20%로 상향하고 장기보유특별공제를 배제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정부가 지난 3월 29일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한 ‘부동산 투기근절 및 재발방지대책’을 반영해 민주당 의원 명의로 청부 발의한 법이다. 비사업용 토지란 임야, 농사를 짓지 않는 농지, 잡종지 등을 가리킨다.그동안 부동산업계는 비사업용 토지에 대한 양도세 중과가 내년 1월 예정대로 시행될 것을 가정하고 토지 보유자에게 처분을 권고하는 등 ‘세금 폭탄’에 대비해왔다. 한 세무업계 관계자는 “세무사들도 지난달까지만 해도 법 통과를 가정해 비사업용 토지 처분을 권고한 사람이 많았다”며 “토지를 급하게 처분하는 과정에서 손해를 본 사람도 적지 않다”고 전했다.최근 보유했던 비사업용 토지를 처분한 A씨는 당초 예상보다 낮은 금액에 급매로 땅을 팔았다. 2005년 4억원에 구입한 비사업용 토지를 계속 보유할 계획이었지만 정부의 부동산 대책에 장기보유특별공제가 폐지된다는 내용이 들어가면서 올해 중 땅을 처분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계산이 나왔기 때문이다.A씨가 땅을 5억원에 처분해 1억원의 양도차익을 거둔다고 가정하면 현재는 15년 초과 장기보유 공제 30%(3000만원)에 연 1회 기본공제 250만원 등 3250만원이 공제돼 과세표준이 6750만원이 된다. 34%(4600만~8800만원 구간)의 세율이 적용돼 지방소득세까지 총 납부 세금은 1950만원 수준이다. 반면 법 개정 후 똑같이 1억원의 양도차익을 가정하면 장기보유특별공제 30%가 사라져 과세표준이 9750만원으로 훌쩍 뛴다. 세율 적용 구간도 높아진 데다 세율이 10%포인트 중과되며 양도차익에 대한 세금은 55%(8800만~1억5000만원)가 된다. 총 산출 세액은 4260만원으로 불어난다.정부가 제대로 된 검토 없이 대책부터 급하게 내놓으면서 시장에 혼란만 야기했다는 비판이 끊이지 않는다. 한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투기를 방지하겠다는 정부의 의지는 이해하지만, 결과적으로 시장에 혼란만 안겨준 셈”이라며 “이렇게 된다면 누가 정부 정책을 신뢰할 수 있겠느냐”고 꼬집었다.김소현 기자 alpha@hankyung.com
정부가 한국토지주택공사(LH)발(發) 투기 사태 대책으로 내놓은 비사업용 토지에 대한 양도소득세 중과 안이 국회에서 무산된 것으로 확인됐다. 시장은 정부가 지난 3월 발표한 비사업용 토지 양도세 중과가 내년 1월부터 적용될 것이라고 확정적으로 받아들여 온 만큼 혼란은 불가피할 전망이다.1일 더불어민주당 관계자는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에 계류 중인 양경숙 의원 대표발의 소득세법 개정안은 더 이상 논의하지 않기로 했다”며 “소수의 투기꾼을 잡자고 다수의 토지 보유자를 규제해서는 안 된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해당 법안은 내년 1월부터 비사업용 토지의 양도세율 중과를 기존 10%에서 20%로 상향하고 장기보유특별공제에서 배제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정부가 지난 3월29일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한 ‘부동산 투기근절 및 재발방지대책’을 반영해 민주당 의원 명의로 청부 발의한 법이다. 비사업용토지란 임야, 농사를 짓지 않는 농지, 잡종지 등을 의미한다.그동안 부동산 업계는 비사업용 토지에 대한 양도세 중과가 내년 1월 예정대로 시행될 것을 가정하고 토지 보유자에게 처분을 권고하는 등 세금 폭탄에 대비해왔다. 정부가 지난 3월 강력한 부동산 투기 대책을 발표하며 비사업용 토지에 대한 양도세율 중과 및 장기보유특별공제 배제가 내년 1월부터 시행될 것이라고 확정적으로 발표했기 때문이다. 한 세무업계 관계자는 “세무사들도 지난달까지만 해도 법 통과를 가정해 비사업용 토지 처분을 권고한 사람이 많았다”며 “토지를 급하게 처분하는 과정에서 손해를 본 사람들도 적지 않다”고 설명했다.최근 보유했던 비사업용토지를 처분한 A씨는 당초 예상됐던 금액보다 적은 금액으로 손해를 보며 급매로 땅을 팔았다. A씨는 2005년 4억원에 구입한 비사업용토지를 계속 보유할 계획이었지만 정부의 부동산 대책에 장기보유특별공제가 폐지한다는 내용이 들어가면서 올해 중 땅을 처분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계산이 나왔기 때문이다.A씨가 땅을 5억원에 처분해 1억원의 양도차익을 거둔다고 가정하면 현재는 15년 초과 장기보유 공제 30%(3000만원)에 연 1회 기본공제 250만원 등 3250만원이 공제돼 과세표준이 6750만원이 된다. 이에 따라 34%(4600만~8800만원 구간)의 세율이 적용되며 지방소득세(양도소득세의 10%)까지 합한 총 납부 세금은 1950만원 수준이다.반면 법 개정 후 똑같이 1억원의 양도차익을 가정하면 장기보유 특별공제 30%가 사라져 과세표준이 9750만원으로 훌쩍 뛴다. 세율 적용 구간도 높아진 데다가 세율이 10%포인트 중과되며 양도차익에 대한 세금은 55%(8800만원~1억5000만원)가 된다. 총 산출 세액은 4260만원으로 불어난다. 법 개정 전후 2309만원의 세금 차이가 생기므로 팔려는 금액보다 2000만원을 낮추더라도 올해 토지를 처분하는 게 유리하다. 하지만 법 개정이 무산되면서 A씨는 기대 수익보다 손해를 보며 땅만 처분하게 됐다.정부가 제대로 된 검토 없이 대책부터 급하게 내놓으면서 시장에 혼란만 야기했다는 비판이 끊이지 않는다. 한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투기를 방지하겠다는 정부의 의지는 이해하지만, 결과적으로 시장에 혼란만 안겨준 셈”이라며 “이렇게 된다면 누가 정부 정책을 신뢰할 수 있겠나”라고 했다. 국회 기재위 관계자 역시 “정부가 대책을 내놓을 때부터 국회에서는 공직자·공공기관 임직원의 부동산 부패 방지 목적과 양도세 중과가 직접적 연관성이 크지 않다는 의견이 나왔다”며 “정부가 사태 해결에 급급해 급조된 대책을 내놓아 정부 정책 신뢰도만 훼손했다”고 꼬집었다.김소현 기자 alpha@hankyung.com
◆경기 일산신도시 역세권 대로변 1층 대형 상가=대단지 아파트 상권 1층 점포 640㎡(전용). 전면 폭 40m로 가시성 우수. 대형마트로 장기임대 성업 중. 안정적인 임대수익 가능. 대지권 지분 314㎡로 투자가치 기대. 보증금 5억원, 월세 2200만원. 융자 30억원, 실투자 20억원, 연 수익률 9.45%. 급매가 55억원. 02-536-9942 서초 키움공인 임광호 (11650-2019-00064)◆경기 부천시 신중동역 역세권 주상복합 약국 상가(사진)=지하철역 인근 대로변 주상복합의 2층 점포 전용 59㎡(계약 118㎡). 바로 옆 병의원 입점 진료 중. 보증금 2억5000만원, 월 650만원에 약국으로 임대 중. 융자 5억원. 서울 접근성 좋고 공원 인근 초등학교 품은 학세권 단지. 인근 재개발 활발해 젊은 도시로 변모 중. 13억원. 010-9329-7189 송도 힐테라스 오한석 (28185-2020-00010)◆경기 안산시 단원구 지식산업센터 대형 은행 점포=반월공단 내 지식산업센터 밀집지역 근생 6층 건물의 1층 코너 점포 전용 426㎡(분양 665㎡). 보증금 11억원, 월 1400만원(부가세 별도)에 은행지점으로 2024년까지 10년간 장기임대 중. 융자 12억원, 실투자 14억5000만원, 연 수익률 10.2% 가능. 안정적인 임대수익 및 향후 가치 상승 기대. 37억5000만원. 010-5305-9797 수지 동문114 이창수 (가3648-02-2333)◆충남 천안시 트리플 역세권 1층 테라스 상가(사진)=KTX·SRT·1호선 역세권 상업지역 금융·업무지구 내 복합건물의 1층 출입구 옆 점포 299㎡. 대지지분(125.6㎡) 많고 가게 앞 데크(약 23㎡)도 소유. 보증금 7000만원, 월세 450만원 5년 계약. 자가 사용 시 협의 가능. 갤러리아백화점, 상공회의소, KDB, 세관, KT&G 인근. 사정상 급매. 융자 시 실투자금 3억원, 연 수익률 12% 가능. 사정상 급매. 041-543-2575 아산 마하에셋 김은영 (44200-2018-00064)◆경기 김포 한강신도시 1층 약국 상가=역세권 상업지 1층 점포 152㎡. 건물 내 내과·소아과 등 5개과 정상 진료 중. 보증금 4억원, 월 900만원에 독점 지정 약국으로 장기임대 영업 중. 융자 11억원, 실투자 11억원 가능. 급매가 26억원. 010-5704-7300 수지 광교미래공인 안진석 (가3648-02-2808)◆충남 서산시 팔봉면 농막(사진)=서산 팔봉산과 구도항 인근 토지 1652㎡. 햇볕이 잘 드는 남향 땅. 농막 1동과 텃밭, 비닐하우스 포함. 도로에 접해 있고 주변에 전원마을 형성. 갯벌체험 가능한 서해바다와 호수가 가까워 주말농장이나 귀농·귀촌 등 세컨드하우스로 적합. 1억1000만원. 041-666-0006 서산 장승백이 정은현 (44210-2018-00029)매물마당 게재문의 : 02-3277-9966 landplu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