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소형 아파트 매입 비중이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아직 덜 올랐다고 인식되는 소형에 매수세가 몰리면서 가격도 크게 오르고 있다.
29일 부동산 정보제공업체 경제만랩이 한국부동산원 규모별 아파트 매매거래량을 분석한 결과 올해 1~7월 서울에서 매매된 아파트 중 전용 40㎡ 이하 비중은 12.3%로 나타났다.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06년 이후 가장 높은 비중이다.
작은 주택형일수록 매입 비중이 늘어나는 추세다. 전용 41~60㎡ 매입 비중은 2018년(1~7월) 29.6%에서 올해 34.7%로 증가했다. 반면 같은 기간 전용 61~85㎡ 매입 비중은 41.0%에서 36.2%로, 전용 86㎡ 이상 매입 비중은 21.9%에서 16.8%로 감소했다.
서울 아파트 가격이 급등한 데다 대출 규제까지 강화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자금 부족으로 아파트 규모를 줄여 매입하는 경향이 늘어나고 있다는 분석이다. 여기에 1~2인 가구가 증가하면서 소형 아파트 수요가 계속 늘어나고 있다.
소형 아파트 가격 오름세도 가파르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서울 노원구 상계동 ‘은빛2단지’ 전용 39㎡는 지난달 4억9500만원에 거래됐다. 지난해 8월 3억1000만원에 거래된 것을 감안하면 1년 만에 59.7% 상승한 셈이다. 도봉구 창동 ‘주공17단지’ 전용 36㎡도 지난해 8월 3억7200만원에서 지난달 5억4600만원으로 매매가격이 46.8% 올랐다.
황한솔 경제만랩 리서치연구원은 “서울 아파트의 수요 대비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상황”이라며 “대출 규제까지 더해지면서 조급해진 실수요자들이 소형 아파트로 관심을 돌리는 추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의 가계대출 관리 기조에 따라 시중은행들이 전세 대출 규제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에 실수요자들의 불안과 불만이 커지고 있습니다.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실수요자를 위한 대출을 규제하지 말아달라"는 청원이 빗발치고 있습니다.부동산 중개 수수료를 지금보다 최대 절반으로 내리는 정부 방안이 최근 규제 심사를 통과했습니다. 이르면 이달 중 시행될 것으로 보입니다. 9억원의 집을 사고팔 때는 810만원이던 복비가 450만원으로, 6억원 전세 계약을 맺을 때 냈던 수수료는 480만원에서 240만원으로 줄어듭니다. 오늘도 부동산 관련 뉴스를 전해드립니다.◆"실수요자 위한 전세 대출 규제하지 말아주세요"첫 번째 뉴스입니다. 정부가 ‘대출 조이기’에 들어가자 실수요자들의 반발이 커지고 있습니다.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지난 6일 ‘실수요자를 위한 대출을 규제하지 말아주세요’라는 글이 올라왔습니다. 이 글에서 청원인은 “가뜩이나 오른 집값에 빌려야 하는 금액이 늘어났는데 갑자기 대출을 막아버리면 어떻게 하느냐”며 “대출규제 때문에 실수요자들이 사지로 내몰리고 있다”고 호소했습니다. 청원인은 “그저 성실하게 돈을 모아 전셋집에 들어가고, 주택을 구입하려는 게 우리의 잘못인가”라며 “제발 실수요자를 구분하고 규제를 해달라”고 토로했습니다. 이 밖에도 ‘전세 대출 규제 제발 생각해주세요’ ‘금융당국 대출규제 철회 요청’ 등 다양한 목소리가 빗발치고 있습니다.정부는 이달 중순께 발표할 가계부채 보완대책에 전세 대출 규제를 포함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앞서 금융당국은 작년 가계대출이 급증하자 시중은행에 올해 가계대출 연간 증가율을 5~6% 이내로 관리하라고 주문했습니다.◆반값 중개 수수료, 이르면 10월 중 시행부동산 중개 수수료를 지금보다 최대 절반으로 인하하는 방안이 최근 규제 심사를 통과해 이르면 이달 중 시행될 전망입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부동산 중개보수 개편안을 담은 ‘공인중개사법 시행규칙’ 개정안이 지난 8일 규제개혁위원회를 통과했습니다. 개정안은 규제개혁위 예비심사에서 ‘중요 규제’로 분류돼 민간 위원이 참여하는 본위원회 심사를 받았고, 정부가 제시한 원안대로 의결됐습니다. 법제처 심사만을 남긴 상황으로 이달 안에 새 중개 수수료율이 부동산 시장에 적용될 전망입니다.개편안에 따르면 주택 매매는 6억원 이상부터, 전월세 거래는 3억원이 넘는 집부터 중개 수수료가 이전보다 저렴해집니다. 개편안은 중개사가 받을 수 있는 최고 수수료율을 정한 것으로, 실제로 소비자가 이 금액을 다 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번 수수료 개편을 두고 중개업계 반발은 계속되고 있습니다.◆부동산 중개시장, 개업도 폐업도 줄었다부동산 중개업소의 개업과 폐업이 동반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공인중개사협회에 따르면 지난 8월 전국적으로 부동산 중개업소 개업은 1075건, 폐업은 815건으로 집계됐습니다. 올해 들어 개업과 폐업 모두 월간 최소치입니다. 연말이 다가올수록 개업과 폐업이 줄어드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를 고려해도 올해는 숫자가 유난히 적다는 게 협회의 설명입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과 정부의 부동산 규제 강화 조치로 전국적으로 거래가 극도로 부진하고, 온라인 중개 플랫폼들이 이미 공격적으로 영업에 뛰어들고 있어 기존 오프라인 중심의 영업을 고수하는 중개사들의 설 자리는 점점 더 좁아질 것이라는 전망입니다.◆LH, 오늘부터 행복주택 4197가구 청약한국토지주택공사 LH가 오늘부터 3분기 행복주택 통합모집에 따른 청약 접수를 시작합니다. 행복주택은 대학생과 청년, 신혼부부 등 젊은 층에 공급되는 임대주택입니다. 입주자격, 소득 및 자산기준을 충족하면 입주가 가능합니다.서울번동3에 168가구 등 수도권 5곳 1124가구와 대전용문 80가구 등 지방 11곳 3073가구입니다. 전국 16개 지구, 총 4197가구가 공급되는 셈입니다. 청약신청은 이날부터 21일까지 LH청약센터와 모바일 앱 ‘LH청약센터’에서 가능합니다. 인터넷 취약계층을 위해 제한적으로 현장접수도 운영합니다. 당첨자 발표는 내년 1월 이후입니다.식후땡 부동산은 한국경제신문 홈페이지와 모바일, 앱에서 '오디오'로 쉽게 들을 수 있습니다.
수도권 빌라(연립·다세대) 경매시장도 뜨겁게 달아올랐다. 9월 낙찰가율은 역대 최고 수준이다. 전국 아파트 낙찰가율 상승세도 여전히 상승세가 지속 중이다.12일 법원경매 전문기업 지지옥션이 발표한 '2021년 9월 경매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9월 수도권 빌라 낙찰가율은 89.7%로 전월(79.7%)보다 10.0%포인트 상승해 역대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전월(84.2%)보다 13.7%포인트 상승한 97.9%를 기록했다. 2008년 3월 이후 최고치다. 서울은 재개발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노후 빌라에 많은 관심이 쏠렸다. 인천은 인천은 83.9%, 경기는 82.7%로 전월 대비 각각 5.5%포인트, 5.3%포인트 뛰었다.지지옥션 관계자는 "수도권 아파트 전셋값과 매맷값이 급등하면서 '내 집 마련' 수요자들이 상대적으로 진입장벽이 낮은 빌라에 눈을 돌린 것"이라고 분석했다.전국 아파트 낙찰가율 상승세도 지속되고 있다. 9월 전국 아파트 낙찰률은 57.8%로 전월 대비 0.8%포인트, 낙찰가율은 107.6%로 같은 기간 0.9%포인트 올랐다. 관련 통계를 집계를 시작한 2001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평균 응찰자 수는 6.8명으로 집계됐다.서울 아파트 낙찰가율은 115.0%로 전월(116.3%)에 비해 1.3%포인트 하락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인천은 0.2%p 하락한 123.7%, 경기도는 0.3%p 상승한 115.4%로 지난 8월과 비슷한 수준의 낙찰가율을 기록했다. 각종 규제와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제한, 기준금리 인상 이슈에도 불구하고 경매시장의 열기는 사그라지지 않는 모습이다.지난달 전국 아파트 낙찰가율 상승을 견인한 곳은 5대 광역시와 8개도 등 비수도권 지역이었다. 5대 광역시 중 낙찰가율이 크게 상승한 곳은 울산과 부산, 광주였다. 울산은 114.0%를 기록해 전월(101.7%) 대비 12.3%포인트 뛰었고, 부산(111.7%)과 광주(104.9%)는 전달에 비해 각각 9.3%포인트, 8.3%포인트 상승했다. 8개 도에서 가장 크게 상승폭을 확대한 곳은 전남(96.7%), 충남(99.8%), 강원(97.6%)으로 전월 대비 각각 8.7%포인트, 6.6%포인트, 4.6%포인트 상승했다. 이들 지역은 비규제지역을 중심으로 많은 응찰자가 몰리면서 낙찰가율이 크게 상승했다.이송렬 한경닷컴 기자 yisr0203@hankyung.com
내년부터 구축 아파트에도 전기차 충전기 설치를 의무화하는 법안 개정이 이뤄진 가운데 대규모 정전 사고가 급증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한국자동차연구원(한자연)이 12일 발표한 '전기차 충전인프라 확대에 따른 공동주택 전력설비 개선 필요성' 보고서를 보면, 정부의 제4차 친환경자동차 기본계획대로 전기차 충전기 설치를 의무화할 경우 전력 사용량을 감당 못해 정전이 발생하는 아파트 단지가 속출할 전망이다.정부는 4차 친환경자동차 기본계획에서 전기차 충전시설 의무설치 비율을 끌어올렸다. 이를 위해 산업부가 입법예고한 친환경자동차법 시행령 일부 개정안에 따르면, 기존에는 신축 아파트에만 부과되던 전기차 충전기 설치 의무가 구축 아파트로도 확대됐다. 신축 아파트는 전기차 충전기를 기존 총 주차면 수의 0.5% 비율에서 5%로 늘려야 하고 구축 아파트 역시 2% 이상에 전기차 충전기를 갖춰야 한다. 한자연은 1990년대 시공된 아파트의 경우 기존 설비로는 전기차 충전기를 감당하지 못할 것으로 내다봤다. 1990년대 아파트의 세대별 전력사용 설계용량은 가구당 1kW였지만, 현재는 전자기기 사용이 늘어나면서 세대당 3~5kW의 전력을 사용해 이미 큰 부하를 겪고 있다는 이유를 들었다.게다가 준공 30년차 이상 노후 아파트도 꾸준히 증가세에 있다. 통계청의 '2020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준공 20년을 넘긴 서울 지역 아파트 세대수는 82만7978가구에 달한다. 2020년 기준 서울 내 전체 아파트 가구 수가 177만2670가구인 점을 고려하면 절반에 가까운 46.7%가 20년 이상 노후 아파트인 셈이다. 준공 30년을 넘긴 아파트도 17.3%(30만7366가구)에 달했다.경기도 역시 1990년대 입주한 분당·평촌·일산 등 1기 신도시가 30년차에 접어들고 있다. 2015년 경기도에서 준공 30년을 넘긴 아파트는 총 5만9990가구(2.4%)였지만 2020년에는 16만5898가구(5.3%)로 3배 가까이 늘었다. 20년 이상 된 아파트도 전체의 34.9%를 차지했다.노후 아파트가 늘면서 여름철 정전 사고도 증가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전기안전공사와 합동으로 아파트에서 발생한 정전 사고를 조사한 결과 지난해 7~8월 133건이던에서 올해 7~8월엔 221건으로 늘었다. 여름철 전력 사용량이 증가하면 변압기가 버티지 못해 정전이 발생하는 처지다.때문에 "(노후 아파트에선) 에어컨도 마음대로 못 쓴다"는 볼멘소리가 흘러나왔다. 전기차 충전기 설치도 의무화되면 이같은 상황은 더 심각해질 수 있단 얘기다.한자연은 "아파트 주차관제시스템을 통해 차량 입고 현황을 분석한 결과 오후 5시 이후 차량 입고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전기차의 주거용 전력 충전패턴은 주택용 전력소비패턴과 유사하다. 저녁 시간대 주택용 전력부하가 가중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아파트 변압기 교체가 쉽지 않다는 점도 문제다. 아파트 변압기 교체는 입주자대표위원회 의결을 거쳐야 한다. 교체 비용은 아파트 관리비로 부과된다. 한국전력이 노후 변압기 교체 지원사업을 시행하고 있지만 아파트 단지에서 비용 일부를 부담해야 한다. 한자연은 "전체 자동차 대비 전기차 비율은 1% 미만"이라며 "변압기 교체 비용은 내연기관 자동차 차주도 부담해야 해 입주민들 사이에서도 합의가 어려울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정부의 공동주택 전력설비 교체·증설 지원정책 초점을 전기차 충전인프라를 수용할 수 있는 전체적인 '능력' 중심으로 전환하고, 필요시 공동주택 거주자 부담을 경감할 수 있는 방안도 고려해야 한다"고 제언했다.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