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중소형(전용면적 60㎡ 초과~ 85㎡ 이하) 아파트 평균 가격이 처음으로 9억원을 넘어섰다.
30일 KB부동산 리브온이 발표한 월간 주택가격동향에 따르면 11월 서울 중소형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9억729만원으로, 10월(8억8986만원) 대비 약 1743만원 올랐다.
전용 60㎡ 이하 소형 아파트 평균은 7억1812만원이었고 △85~102㎡11억3918만원 △102~135㎡ 13억5454만원 △135㎡ 초과 21억777만원 등으로 집계됐다. 3~4인 가족이 가장 많이 찾는 전용 60~85㎡ 중소형 아파트 평균가격이 9억원을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아파트 가격이 9억원을 넘으면 각종 규제 대상이 된다. 서울을 비롯한 투기과열지구에서 집을 살 때 9억원을 초과하는 부분은 담보인정비율(LTV)이 20%만 인정된다. 15억원을 넘으면 대출을 아예 받을 수 없다. 아파트를 분양받을 때도 분양가가 9억원을 넘으면 중도금 집단대출이 불가능하다. 서울 아파트 전체 중위가격은 지난 1월 9억1216만원, 평균가격은 3월 9억1201만원으로 9억원을 이미 넘어섰다.
11월 서울 주택 매매가와 전세가 모두 큰 폭으로 상승했다. 11월 서울 주택 전세가격 상승률은 2.39%로, 2002년 3월(2.96%) 후 18년8개월 만에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다.
전국 집값도 앞 자릿수를 갈아치웠다. 11월 전국 주택(아파트·단독·연립 포함) 평균 매매가격은 4억26만원으로 사상 최초로 4억원을 넘어섰다. 전국 아파트 평균 가격은 4억4060만원, 단독과 연립주택 평균은 각각 4억115만원, 2억621만원이었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사진)이 전세난 해결을 위해 다세대보다는 아파트를 공급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 “아파트가 빵이라면 밤을 새워서라도 만들겠다”고 말했다. 아파트 공급을 단기간에 늘리기는 어렵다는 사실을 인정한 것으로 풀이된다.김 장관은 30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에서 열린 현안질의에 참석해 김교흥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전세대책에서 아파트 공급이 부족한 이유를 묻자 이같이 답했다.다세대·연립(빌라) 중심으로 11만4000가구의 공공임대를 공급하는 ‘11·19 부동산 대책’이 발표된 이후 아파트 물량을 늘려야 한다는 지적이 많았다. 김 장관은 “아파트는 절대적인 공기가 필요한데 지금 와서 아파트 물량이 부족하다고 해도 정부는…(당장 어떻게 할 방법이 없다)”며 “그래서 다세대, 빌라 등을 좋은 품질로 공급하겠다는 것”이라고 했다.이어 김 장관은 “2021년과 2022년 아파트 공급 물량이 줄어드는데, 그 이유는 5년 전에 아파트 인허가 물량이 대폭 감소했고 공공택지도 상당히 많이 취소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아울러 김 장관은 호텔을 활용하는 공공임대를 공개하겠다고 했다. 송석준 국민의힘 의원이 “(호텔 공공임대 공급 방안이) ‘호텔거지’를 양산할 것”이라고 지적하자 김 장관은 “호텔을 리모델링해서 청년 1인 가구에 공급하는 현장을 12월 1일 공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보증금 100만원에 월세는 25만~30만원 정도 될 것”이라며 “현장에 한번 가 보면 청년에게 굉장히 힘이 되는 주택을 정부가 공급하고 있다는 걸 확인할 수 있다”고 했다.“전세대책이 언제쯤 효과를 거둘 것 같냐”는 김은혜 국민의힘 의원의 질문에는 “대책이 신속하게 이뤄지면 내년 봄쯤 시장에 안정이 오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장현주 기자 blacksea@hankyung.com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이 최근 부동산 시장와 관련 "문재인 대통령과 긴밀하게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아파트 공급을 당장할 수 없다는 입장을 빗대 "아파트가 빵이라면 제가 밤을 새워서라도 만들겠다"고도 말했다. 김현미 장관은 30일 현안 질의를 위해 열린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주택 문제에 대해 대통령과 가장 최근 얘기를 나눈 게 언제냐'는 김은혜 국민의힘 의원의 질의에 "정부 부처 간 회의를 통해 긴밀하게 소통하고 있다. (대통령과의 대면 보고는) 몇 달 된 것 같다"고 답했다.김 장관은 "대통령과의 소통은 직접 말씀드릴 수도 있고, 청와대 보좌진을 통해 말씀을 나눌 수도 있다"며 "긴밀하게 논의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전세대책과 관련해 더불어민주당 김교흥 의원이 아파트 공급이 부족한 이유를 묻자 김 장관은 "2021년과 2022년 아파트 공급 물량이 줄어드는데, 그 이유는 5년 전에 아파트 인허가 물량이 대폭 줄었고 공공택지도 상당히 많이 취소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그러면서 김 장관은 "아파트가 빵이라면 제가 밤을 새워서라도 만들겠다"며 "아파트는 절대적인 공기가 필요한데 지금 와서 아파트 물량이 부족하다고 해도 정부는 (공급할 수 없다). 그래서 다세대나 빌라 등을 질 좋은 품질로 공급하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계속되는 전세난과 관련해서는 "내년 봄 즈음에는 시장이 안정될 수 있을 것"이라며 "공공전세는 내달 중으로 매입임대 주택 사업자 간담회 등을 통해 사업 내용을 결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규제지역에서 주택 구입시 신용대출 1억원 초과분에 대해 회수하는 절차가 1주택자에게 과도하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동의하지 않았다. 김 의원이 "신용대출 1억원을 초과한 차주가 1년 이내 규제지역 주택을 사면 대출을 회수하는 정책은 1가구 1주택자에는 예외로 해야 한다"고 말했다.김 장관은 이에 대해 "취지는 이해하지만 지금의 가계부채 특히 신용대출의 급격한 증가가 가져오는 위험을 간과할 수 없는 상태라고 생각한다"고 언급했다. 또 "급격한 신용대출 증가 때문에 가계부채 리스크 심화되는 과정에 있다"며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세계 1위로 가계가 상당한 위기가 될 수 있을 정도로 부채가 늘고 있다"고 반박했다.김하나 한경닷컴 기자 hana@hankyung.com
서민들이 내 집 마련을 위해 다세대·연립주택 등 '빌라'를 매입하고 있다. 서울에서는 지난 9월부터 다세대·연립주택 거래량이 아파트 거래량을 웃돌고 있다. 집값이 너무 올라버린데다 전세난까지 겹치면서 수요자들은 '빌라라도 사자'로 마음이 돌아서고 있다. 더군다나 빌라는 아파트에 비해 규제가 덜 하다보니 투자자들이 몰리면서 '풍선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30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이달 다세대·연립주택 거래량(1809건)이 아파트(1725건)를 앞지르고 있다. 신고기한이 남은 상태지만, 이러한 추세를 유지하게 되면 서울에서는 3개월 연속 빌라 거래량이 아파트를 웃돌게 된다. 9월부터 아파트 거래량 추월…거래량 늘고 집값 상승아파트와 빌라의 거래량 차이는 지난 8월들어 급격히 좁혀지더니 9월에는 빌라가 이를 추월했다. 지난 9월에는 빌라(4012건)가 아파트(3767건) 보다 245건 더 매매됐다. 지난달 서울의 다세대·연립주택 매매 건수는 총 4590건으로, 전달(4012건)과 비교해 14.4%(579건) 늘었다. 아파트 거래량인 4339건도 넘었고, 차이는 251건으로 더 벌어지게 됐다.지난 10월 구별로는 거래량을 살펴보면 외곽지역에서 매매가 많았다. 은평구(482건·10.5%), 강서구(420건·9.2%), 양천구(364건·7.9%), 강북구(360건·7.8%), 강동구(261건·5.7%), 중랑구(235건·5.1%), 송파구(232건·5.1%) 등의 순이었다.다세대·연립주택 매매는 1∼5월 5000건을 밑돌다가 20∼30세대의 '패닉바잉'(공황구매)이 거셌던 7월에는 7287건에 달했다. 2008년 4월(7686건) 이후 12년 3개월만에 최고치에 달했다. 지난 8월 이후에는 4000건대를 유지하고 있지만, 아파트 거래량이 워낙 낮다보니 이를 웃도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다세대·연립주택 매매 증가는 실수요와 투자수요가 함께 증가했기 때문이다. 정부의 부동산 규제가 아파트에 집중되면서 다세대·연립주택에 풍선효과가 나타났다는 얘기다. 실수요자들은 "지금 빌라라도 사놓지 않으면 서울에서 살기가 어려워질 것 같아 불안하다"며 매수에 나서고 있다.투자자들은 다세대·연립주택에서 '갭투자'와 '임대사업자'의 지위를 유지할 수 있다. 정부는 6·17대책에서 정부는 규제지역의 3억원 이상 아파트에 대해 전세자금 대출을 제한했다. 하지만 다세대·연립주택은 적용 대상이 아니었다. 전세를 끼고 사는 '갭투자'가 여전히 유효하다는 얘기다. 주택 임대사업 등록제도의 혜택을 대폭 줄인 7·10대책에서도 다세대주택, 빌라, 원룸, 오피스텔 등에 대해서는 예외를 뒀다. 세제 혜택을 그대로 유지하기로 하면서 세금 부담은 아파트에 비해 여전히 적은 상태다. 경매 시장서도 대세대·연립주택 주목실수요와 투자수요가 함께 몰리며 다세대·연립주택 가격은 오르고 있다. KB국민은행 부동산 조사에서 서울의 연립주택 평균 매매가격은 올해 8월 3억113만원으로 처음으로 3억원을 넘었다. 9월에는 3억300만원, 지난달에는 3억673만원으로 매달 상승하고 있다.11월에도 상승폭이 확대되고 있다. 서울 아파트는 1.54%의 상승률을 기록한 반면, 연립주택은 2.13% 오르면서 아파트를 웃돌았다. 연립주택의 상승률은 전체 주택 상승률(1.66%) 보다도 높은 수준이다. 거래량이 늘고 집값이 오르면서 경매시장에서도 서울 다세대·연립주택은 주목받고 있다. 지지옥션에 따르면 이달 1일부터 26일까지 서울 내 다세대·연립주택은 총 427건이 입찰해 138건이 매각됐다. 낙찰률(매각률)은 32.3%로 전월(24%) 대비 8.3%포인트 증가했다. 매각가율(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도 87.4%에 달하면서 지난달(84.7%) 보다 2.7%포인트 상승했다. 건당 평균 응찰자수 역시 같은기간 2.3명에서 2.7명으로 증가했다.인기 있는 다세대·연립 경매 물건은 3억원 이상 물건이었다. 3억원 이상 물건은 총 55건 입찰해 20건(낙찰률 36.4%)이 매각에 성공했다. 3억원 이상 다세대·연립은 방이 2~3개로 3~4인 가구가 거주할 수 있는 정도다. 1인 가구 보다는 상대적으로 가족 단위의 실수요자들이 경매에서 물건을 찾은 것으로 보인다.김하나 한경닷컴 기자 han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