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망 투자…'복합환승센터'를 주목하라
2016년 12월 동대구역 주변에 큰 변화가 찾아왔다. 신세계백화점, 영화관, 광장 등을 아우르는 동대구복합환승센터가 들어서면서다. 대구도시철도공사에 따르면 도시철도 1호선 동대구역 연간 이용객은 지난해 1355만5557명을 기록했다. 2016년(1015만3528명)보다 33.5% 증가했다. 동대구복합환승센터에 들어선 신세계백화점 누적 방문객은 3300만 명을 넘어섰다. 절반 이상이 대구 밖에서 왔다. 대구 동구에 사는 임모씨(28)는 “예전에는 친구들을 만날 때 멀리 동성로까지 갔는데 지금은 동대구역에서 주로 본다”며 “복합환승센터가 대구의 랜드마크가 됐다”고 말했다

환승 시설에 상업·업무 기능까지

교통망 투자…'복합환승센터'를 주목하라
복합환승센터가 도심에 활력을 더하고 있다. 복합환승센터는 공항, 항만, 철도, 버스, 지하철 등을 한곳에 모아 연계 교통 체계를 구축하려는 취지에서 2009년 도입됐다. 각종 상업시설과 문화시설을 함께 배치한다.

사업은 전국 곳곳에서 추진되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2010년 동대구역, 익산역, 울산역, 광주역, 부천역, 동래역, 대곡역, 남춘천역 등 시범사업지 8곳을 지정했다. 2016년엔 수도권 11곳, 부산·울산권 3곳, 대구권·광주권·대전권 각 2곳, 제주 1곳을 추가로 선정했다. 2017년엔 사당역·병점역·복정역·시흥시청역·도농역·김포공항역·킨텍스역·삼성역 등 수도권 8곳을 새 사업지로 낙점했다.

사업지 선정 뒤 지방자치단체는 사업에 적극 나서고 있다. 시흥시는 소사원시선 월교판곶선 신안산선 등 3개 노선이 지나는 시흥시청역에 2020년까지 복합환승센터를 구축한다. 시흥시 광석동 일원 1만7000㎡에 버스터미널, 상업시설 등을 갖춘 지하 2층, 지상 5층 규모다. 전철역에는 버스·택시 승강장을 마련하고, 대합실에는 무인민원발급기 무인도서대출반납기 등을 설치한다.

서울시는 삼성역을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를 포함한 5개 철도 노선이 지나는 통합역사와 공공·상업시설을 갖춘 복합환승센터(지하 6층, 연면적 16만㎡)로 개발할 계획이다. 환승센터는 코엑스와 현대자동차 글로벌비즈니즈센터(2021년 완공 예정) 등 14개 건물과 지하로 직접 연결한다. 지하도로 위에는 3만㎡ 규모 공원을 조성한다.

사당역엔 지하 9층~지상 26층 규모의 복합환승센터 건설이 추진되고 있다. 환승주차장이 들어설 예정이어서 고질적인 주차난 해결에도 도움을 줄 전망이다.

대곡역 복합환승센터는 대곡역세권 개발과 함께 추진된다. 12만2700㎡ 부지에 주거, 업무, 숙박, 컨벤션시설, 편의시설을 갖춘 환승시설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경기도가 환승시설을, 고양시가 역세권 개발을 나눠 맡았다. 고양시는 복합환승센터, 주거단지 등을 조성해 대곡역을 교통과 물류 중심지로 개발할 계획이다. 고양시 관계자는 “지난해 10월 시작한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예비타당성 조사가 이르면 다음달 완료될 예정”이라며 “2022년 상반기 착공해 2025년 준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옥석 가려서 투자해야

다만 사업성을 갖춘 곳이 많지 않다는 게 전문가 평가다. 시범사업지 8곳 중 5곳은 사실상 사업을 중단했다.

춘천시는 2012년 9월 남춘천역 복합환승센터 건립을 포기하고 국고 지원금 7억5000만원을 반납했다. 인구 27만 명 규모 도시에서 700억원에 달하는 사업비를 유치하기가 쉽지 않았다. 광주시는 광주송정역 복합환승센터 개발 사업을 지난 2월 5년 만에 중단했다. 환승주차장 임대료를 두고 서희건설과 코레일 간 견해차가 커 사업이 좌절됐다. 전북 익산역 복합환승센터 사업은 2014년 민간사업자가 수익성 부족 등의 이유로 사업을 포기했다.

권영종 한국교통연구원 선임연구원은 “복합환승센터 주변에 건설하는 도로나 기반시설 설치 비용을 민간사업자가 다 떠안는 구조여서 수익성을 확보하기가 쉽지 않다”며 “재정 지원을 확대하거나 행정 절차를 간소화해 민간사업자 유인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양길성 기자 vertig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