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집값 전망, 급등에서 조정으로… '변심'하는 전문가
지난달까지만 해도 아파트값이 더 오를 것이란 전망이 득세했다. 비관론을 펴는 이는 극히 드물었다. 이달 들어 변화 움직임이 감지된다. 일부 전문가가 ‘2019년 약세’ ‘서울 조정 임박’을 말하기 시작했다. 이들은 왜 전망을 바꾼 것일까.

내년 전망을 수정한 대표적인 전문가가 채상욱 하나금융투자 애널리스트다. 그는 ‘9·13 대책’이 발표되자 내년 전망을 약세로 바꿨다. 그는 “2019년부터는 다주택 임대등록 전략의 실익이 떨어지므로 수요가 위축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2019년 약세장을 전망하는 이유다. 그는 “부동산 투자심리가 이미 냉각됐다”며 “정부대책의 실효성 없다는 주장에 현혹되지 말라”고 말했다.

그는 다만 대형 평형은 강세를 띨 것으로 예상했다. 그는 “그동안 중소형에 비해 중대형이 너무 안 올랐다”며 “전용면적 110㎡ 초과 주택형 시대가 열릴 시기”라고 전망했다.

김학렬 더리서치그룹 부동산조사연구소장도 서울 거품론을 말하기 시작했다. 그는 “서울 일부 지역에 거품이 이미 형성됐다”며 “곧 서울도 조정시장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사고 싶어도 못 살 정도로 매물까지 사라진 이 시장에서 약세장이 무슨 말이냐고 반문하는 전문가도 있을 것”이라며 “조정의 원인은 정부의 강력한 정책 때문이 아니라 시장의 자정 작용일 가능성이 99%”라고 주장했다.

박원갑 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도 “(9·13 대책)은 수요자에게 민감한 종합부동산세와 양도소득세 강화뿐 아니라 대출 규제, 임대등록 혜택 축소까지 망라한 종합 처방”이라며 “서울지역 ‘집 부자’에게는 이번 대책이 무겁게 느껴질 것”이라고 평가했다. 박 위원은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진 만큼 일희일비하기보다 ‘거인의 어깨’에 올라 시장을 멀리 바라보는 망원경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집값은 2013년 1분기 저점을 찍은 뒤 올해로 5년째 상승세”라며 “국민은행 통계에 따르면 1987년 이후 서울 아파트값은 5년 이상 오른 적이 없다”고 지적했다.

최진석 기자 isk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