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군이 우수한 지역에 새 아파트 공급이 늘면서 대구·광주 아파트값(전용면적 84㎡ 기준)은 올초 대비 3억원 넘게 급등했다. 대구 수성구 범어동 일대 단지. /한경DB
학군이 우수한 지역에 새 아파트 공급이 늘면서 대구·광주 아파트값(전용면적 84㎡ 기준)은 올초 대비 3억원 넘게 급등했다. 대구 수성구 범어동 일대 단지. /한경DB
광주와 대구 아파트값이 서울 못지않은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광주와 대구 시내 인기 주거지역 아파트값이 조용히 급등하면서 10억원(전용면적 84㎡ 기준)을 넘보고 있다. 침체를 거듭하고 있는 다른 광역시·도와 대조적인 모습이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지방이 수급 여건에 따라 제각각 움직이고 있다”며 “지방을 하나로 뭉뚱그려서 보지 말고 개별적으로 들여다보면서 맞춤형 주택정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광주·대구, ‘10억 클럽’ 성큼

16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다음달 입주를 앞둔 대구 수성구 범어동 ‘더하우스범어’ 분양권(전용 84㎡)은 이달 9억7320만원에 실거래됐다. 3.3㎡당 3000만원 선이다. 분양가격(5억4000만원)과 비교하면 웃돈이 4억원 넘게 붙었다. 이마저도 매물은 품귀 상태다.

'서울 뺨치는' 광주·대구 집값 10억원 넘본다
수성구 만촌동 ‘화성파크드림3차’ 전용 84㎡는 이달 9억원에 손바뀜하며 사상 최고가를 썼다. 지난 1월 7억5000만원에 거래된 주택형이다. 지금은 9억2000만원까지 호가한다. 대구 범어동 G공인 관계자는 “경신고 등 좋은 학군을 갖춰 수요가 높은 데 반해 신축 아파트 공급은 턱없이 부족해 아파트값이 급등하고 있다”고 말했다.

광주에서도 최고가 행진이 이어지고 있다. 봉선동 ‘한국아델리움3차’ 전용 84㎡는 지난달 8억500만원에 거래되며 사상 최고가를 썼다. 지난 1월 거래가격(5억9200만원)에서 2억원 넘게 올랐다. 호가는 9억3500만원까지 치솟았다. 1월 4억9500만원에 거래된 봉선동 ‘포스코더샵’(전용 84㎡)은 7월 6억7500만원에 손바뀜했다. 봉선동 J공인 관계자는 “봉선동은 ‘광주의 대치동’으로 불릴 정도로 학군이 뛰어나 고소득 주민들이 주로 찾는다”고 전했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난달 광주 아파트값은 전월 대비 0.29% 오르며 지방 광역시 중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 지난해 7월부터 13개월 연속 상승세다. 지난달 대구 수성구 아파트값은 전년 동월 대비 7.29%나 급등했다. 같은 기간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7.19%)보다 높은 수준이다. 대구 중구(5.93%)도 크게 올랐다.

청약 열기도 뜨겁다. 금융결제원에 따르면 8월 분양한 대구 중구 ‘남산 롯데캐슬 센트럴스카이’는 평균 284.2 대 1의 청약 경쟁률을 기록했다. 357가구 모집에 10만1458명이 청약 통장을 던졌다.

'서울 뺨치는' 광주·대구 집값 10억원 넘본다
과열 양상이 거세다 보니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광주와 대구를 투기과열지구나 조정대상지역으로 지정해달라는 청원까지 나왔다.

양지영 R&C연구소장은 “광주 봉선동과 대구 수성구는 학군이 좋아 수요가 많지만 그동안 새 아파트 공급이 부족했다”며 “지방 대도시에서도 소득 3만달러 시대에 걸맞은 새 아파트가 부족하다 보니 학군이 우수한 지역에 공급된 새 아파트가 폭발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고 설명했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올해 광주 아파트 입주 물량은 6197가구로 지난해(1만1797가구) 대비 절반 수준이다.

◆폭락하는 울산·부산

공급과잉 상태이거나 지역 산업기반이 무너진 광역시 집값은 맥을 못 추고 있다. 지난달 부산 해운대구 아파트값은 전년 동월 대비 3.46% 급락하며 부산에서 가장 크게 떨어졌다. 5월 11억5000만원에 실거래된 해운대구 우동 ‘두산위브더제니스’ 전용 127㎡는 지난달 10억원에 손바뀜하며 1억5000만원 급락했다. 부산시에 따르면 부산시 미분양 주택은 7월 기준 3266가구로, 전년 동월(752가구) 대비 4배가량 급증했다.

울산 부동산 시장은 이미 초토화됐다. 지난달 울산 아파트값은 전년 동월 대비 7.09% 떨어지며 광역시 가운데 가장 큰 폭으로 급락했다. 울산 북구는 같은 기간 10.74% 추락했다. 미분양 물량은 7월 기준 1006가구에 이른다. 김종섭 한국공인중개사협회 경남지부장은 “중개업소 폐업도 속출하고 있다”며 “택지지구 지정을 취소하는 등 부동산 활성화 대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양길성 기자 vertig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