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올해 공동주택 공시지가 상승률이 강남 지역을 중심으로 크게 뛰어 참여정부 시절인 2007년 이후 11년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30일 공시된 전국 공동주택 공시가격을 보면 서울의 상승률이 10.19%를 기록하며 전국 17개 시·도 중 집값이 가장 많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상승률은 5.02%인데, 서울과 세종(7.50%)만 전국 평균을 넘긴 반면 나머지 10곳은 평균보다 낮고 5곳은 아예 작년보다 내려 서울과 세종이 전국의 상승률을 견인한 것이다.
서울 공동주택 공시가격 11년만 최대 상승… 강남3구 '톱3'
서울의 공동주택 공시가격 상승률은 2007년 28.4%를 기록한 이후 11년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서울 집값 상승률은 2015년 2.4%에서 2016년 6.20%, 작년 8.12% 등으로 꾸준히 오른 데 이어 올해에는 10% 선을 넘어선 것이다.

매해 4월 말 발표되는 전국 공동주택 공시가격은 작년의 주택 가격을 반영한다.

정부는 작년 6·19 대책부터 시작해 8·2 부동산 대책에 이어 11월 주거복지 로드맵, 12월 임대등록 활성화 방안 등 집값 대책을 쏟아냈다.

이 대책들의 초점은 서울, 그중에서도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한 강남 지역의 가격 상승세를 꺾는 데 맞춰져 있었으나 올해 서울 공시가격 상승률을 이끈 것은 결국 강남의 고가 주택들이었다.

250개 시·군· 중 서울 송파(16.14%), 강남(13.73%), 서초(12.70%), 경기도 분당(12.52%), 서울 성동(12.19%) 순으로 집값 상승률이 높아 강남 3구가 '톱 3'를 휩쓸었다.

송파구는 재건축 추진 외에도 롯데월드타워와 영동대로 개발, 위례신도시 개발 등 각종 개발사업으로 호재가 많았다.

잠실동 잠실엘스의 전용면적 84.8㎡ 주택은 작년 8억800만원에서 올해에는 10억2천400만원으로 26.7% 오르며 1가구 1주택자 기준 종합부동산세 과세 대상으로 편입됐다.

서초구 반포동 주공1단지 107.47㎡는 16억2천400만원에서 19억7천600만원으로 21.7% 올랐다.

이 외에 서울에서는 강동(10.91%), 양천(10.56%), 영등포(10.45%)도 상승률이 10%를 넘겼고 동작(9.34%)과 용산(9.21%), 강서(8.86%), 마포(8.84%)도 상승률이 만만치 않았다.

경기도에서는 분당 외에 성남시 수정구(11.12%), 하남시(10.71%), 과천시(9.90%) 등지의 집값 상승률이 높았다.

분당의 집값이 많이 오른 것은 판교지역 주택수요가 증가했고 신분당선 연장과 GTX 성남역 개통 등 호재가 많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경기도의 집값 변동률이 3.76%라는 점에서 10% 이상 급등한 이들 지역이 경기도 전체의 상승률을 견인한 것으로 보인다.

같은 경기도에서도 안산(-3.49%), 평택(-1.88%), 오산(-1.83%), 용인 수지(-1.17%), 안산 상록(-0.80%), 용인 처인구(-0.31%) 등 6곳은 작년보다 내렸다.

서울과 경기도에서도 고가주택 위주로 공시가격 상승폭이 높았던 것으로 파악된다.
서울 공동주택 공시가격 11년만 최대 상승… 강남3구 '톱3'
주택 가격별로 상승률을 봤을 때 3억~6억원은 6.91%, 6억~9억원은 12.68%, 9억원 초과는 14.26%를 기록했다.

전국의 9억원 초과 공동주택 14만807호 중 95.8%를 차지하는 13만5천10호가 서울에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공시가격은 한국감정원이 조사하고 검증과 의견청취 등 과정을 거쳐 공시된다.

국토부는 공시가격의 실거래가 반영 비율은 공개하지 않는다.

국토부 관계자는 "올해 공시가격의 실거래가 반영비율은 예년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