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뉴욕, 일본 도쿄 등 선진국 도시들이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치솟는 집값을 잡고 4차 산업에 적합한 첨단 업무시설을 만들어 내고 있다. 이를 위해 변두리가 아니라 수요가 가장 많은 도심을 특구로 지정해 대담하게 규제를 푸는 추세다. 규제를 강화해 도심에서 첨단 오피스와 새 아파트 공급을 막고 있는 서울시와 대조적이란 지적이 나온다. 관련시리즈A3면

"강남 집값 잡을 해법은 뉴욕·도쿄식 도심 개발"
25일 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뉴욕시 주택 인허가 증가율(15.4%)은 미국 평균(4.8%)의 세 배를 웃돌았다. 허드슨 야드, 하이라인 프로젝트 등 도심 곳곳에서 복합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영향이다. 그 결과 2014년 이후 뉴욕시 연간 집값 상승률은 3% 안팎으로 미국 평균(5% 안팎)을 밑돌았다. 최근 4년간 서울 강남권 아파트값이 최고 두 배 가까이로 폭등하면서 수도권 집값 불안을 야기하고 있는 것과 정반대다.

도쿄에선 2014년부터 2020년 올림픽 때까지 준공 예정인 오피스빌딩(연면적 1만㎡ 이상)이 325개에 달한다. 2000년대 초부터 도시재생사업으로 잃어버린 20년을 극복하기 위해 국가전략특구를 활발히 지정한 결과다. 허윤경 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뉴욕과 도쿄의 복합개발은 양질의 주택을 공급하고 새로운 명소를 탄생시켜 부동산시장 안정과 일자리 창출 효과를 낳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승배 피데스개발 대표는 “‘깨진 독에 물 붓는 식’의 획일적 균형 발전이 아니라 글로벌 도시 육성에 역량을 집중해야 국민소득 4만달러 시대를 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진수/선한결/김형규 기자 tru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