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 용산공원조성추진기획단(단장 진현환 도시정책관)은 요즘 심기가 편치 않다. 서울 용산 주한미군기지가 이전하는 자리에 들어설 용산공원 내 건물 콘텐츠 임시선정 결과를 두고 서울시로부터 ‘부처별 나눠먹기’란 지적을 받았기 때문이다. 국토부는 용산공원 내 국립어린이아트센터 등 부처가 제안한 건물 8개를 짓겠다고 지난 4월 말 발표했다.

이에 대해 서울시는 용산공원 내에 부처 관련 건물이 대거 들어서면서 난개발이 예상된다고 반발했다. 담당부서인 용산공원추진단(이하 추진단)은 공원 전체 개발 밑그림을 잘 알지 못해 일어난 해프닝이라고 해명하고 있다.

용산공원이 들어설 곳은 미8군사령부 등이 있는 메인포스트와 남측 사우스포스트다. 총면적은 242만6000㎡로, 서울 여의도 면적(윤중로 제방 안쪽 290만㎡)의 83% 크기다. 추진단에 따르면 공원 전체 바닥면적 98%가량을 숲, 호수, 산책로 등이 어우러진 녹지로 조성한다. 건물이 들어설 공간은 2% 정도다. 미국 뉴욕 맨해튼 센트럴파크 내 녹지 비율(98%)을 벤치마킹했다.

진 단장은 “공원부지에 있는 1200여개 건물 중 대다수를 철거하고 문화재적 가치가 있는 건축물 80여개만 보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앞서 짓겠다던 8개 중 6개는 보존 대상 80여개 중 일부다.

추진단은 이달 심의기구인 용산공원추진위원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확정하려고 했지만 논란이 커지자 취소했다. 대신 31일 용산 LH(한국토지주택공사) 미군기지본부에서 4차 용산공원추진협의회를 열었다. 이는 서울시·용산구와 함께 시민단체·학계 등 관계자 20명으로 구성된 자문기구다.

심의·자문기구에 모두 참여하고 있는 서울시가 ‘부처 나눠먹기’ ‘난개발’ 등을 외곽에서 거론한 것에 대해 국토부는 이해하기 힘들다는 반응이다. 진 단장은 “추진단에도 서울시 직원들이 파견돼 와 있는 만큼 공식적으로 의논할 경로가 있는데…”라며 불쾌한 심경을 내비쳤다.

용산공원 조성 계획은 내년 중 확정 고시될 예정이다. 공사는 미군기지가 경기 평택 이전을 완료하는 대로 착수해 2027년 마칠 계획이다. 공원 외 반환부지인 캠프킴(4만8400㎡) 유엔사령부(5만1753㎡) 수송부(7만8918㎡) 가운데 유엔사령부 부지는 매각 전 감정평가를 하고 있다. 이 세 개 부지는 공개매각을 거쳐 민간업체에 의해 주거·상업·업무시설로 복합개발된다.

이해성 기자 ih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