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 한강변 관리 기본계획 브리핑 >  류훈 서울시 도시계획국장이 29일 서울 중구 서울시청 브리핑룸에서 한강변 관리 기본계획을 브리핑하고 있다. 연합뉴스
< 서울시 한강변 관리 기본계획 브리핑 > 류훈 서울시 도시계획국장이 29일 서울 중구 서울시청 브리핑룸에서 한강변 관리 기본계획을 브리핑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시 "한강 주변 고층건물이 주요 산 경관 가리면 안 돼"

한강변 아파트 높이가 35층으로 제한되고 반포, 한남지구 등에서 건물을 지으려면 북한산, 남산 등 주요 산을 가리지 않아야 한다.

서울시는 29일 한강변 건물 높이를 제한하고 건물이 배후 산을 가리지 않도록 하는 등 한강과 주변 지역을 종합 관리하는 내용을 담은 한강변 관리 기본계획을 내놨다.

시는 망원, 합정, 서강마포, 한남, 반포 등을 주요 산 자연조망 관리지역으로 정하고 이 지역에서 개발사업을 할 때 산이 잘 보이는지 경관 시뮬레이션을 하도록 했다.

선유도 전망대나 반포대교 남단, 한남대교 남단 등 10개 지점을 기준으로 사업자가 시뮬레이션을 해 오면 시에서 심의를 거쳐 결정한다.

가령, 망원지구 개발사업시에는 선유도 전망대에서 북한산, 안산이 잘 보이는지 점검해야 한다.

반포지구의 경우 반포대교 북단 서측에서 관악산과 현충원을 가리지 않는지 살펴봐야 한다.

한남 3구역 재개발조합은 이미 남산 7부 능선이 보이도록 높이를 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도심과 여의도, 용산, 잠실 일부 등 광역중심에는 51층 이상 초고층 주상복합을 지을 수 있다.

그러나 한강변 주거용 아파트 높이는 35층 이하로 제한된다.

이는 '2030 도시기본계획'에 정한 높이 관리 원칙을 그대로 적용한 것이다.

서울시는 도심에는 고층 건물을, 한강 주변이나 산 경관과 관련된 지역에는 저층 건물을 혼합 배치해서 자연과 어우러지는 다양하고 균형된 스카이라인을 조성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한강변 전역을 중점경관관리구역으로 지정하고 일정 규모 이상 건물은 경관심의를 받도록 한다.

심의에서 건물 높이를 낮추도록 할 경우 대신 특별건축구역으로 지정, 건물 배치나 디자인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해준다.

그렇지 않을 경우 한강변에 천편일률적인 병풍형 아파트가 들어설 수밖에 없기 때문이라고 서울시는 설명했다.

한강변 관리 기본계획은 한강과 주변 0.5∼1.0㎞ 범위(면적 82㎢, 서울시 총면적의 13.5%)가 대상이고 자연성, 토지이용, 접근성, 도시경관 4대 부문에서 12개 관리 원칙을 핵심으로 한다.

서울시는 도시 경관 측면에서 자연과 도시가 조화로운 한강을 만들고, 어디서나 한강의 자연과 도시경관을 쉽게 조망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자연성 측면에서는 생태 복원과 시민이용이 조화되는 데 역점을 둬 한강숲 104만 7천㎡를 조성하고 호안 22.4㎞를 자연형으로 전환, 복원한다.

토지이용 측면에서는 강서∼난지, 합정∼당산, 반포∼한남, 영동·잠실∼자양 등 7개 수변활동권역을 특화 육성한다.

국공유지 등을 활용해 한강변에 수변 공공용지 70여곳(140만㎡)을 신규로 확보해서 가족여가와 문화시설을 유치한다.

압구정 등 정자 3곳과 마포나루터 등 한강변 나루터를 복원하며 한강변 전체를 역사문화둘레길로 연결한다.

이를 위해 역사탐방코스 5곳을 새로 조성한다.

당안리 발전소를 공원화해서 한강공원과 녹지로 연계하는 방안도 포함됐다.

접근성 부문에서는 버스 접근성을 강화하고 어느 지역에서나 한강까지 걸어서 10분 내외로 갈 수 있는 균등한 보행접근 여건을 조성한다.

반포한강공원에는 올림픽대로 위로 덮개공원을 조성, 세빛섬과 한강공원으로 접근성을 강화하고 다른 강변도로의 지하화를 장기과제로 검토한다.

이와 관련, 반포, 이촌 등에 버스접근 나들목 4곳을 신설하고 걸어서 접근하기 어려운 지역에 토끼굴 등 나들목 24곳을 새로 만든다.

광진교를 보행전용교로 전환하는 방안도 검토된다.

여의도∼잠실간 수륙양용 버스 연계와 합정∼여의도∼선유도, 반포∼이촌∼노들섬을 수상교통으로 연결하는 방안도 고려된다.

이와함께 한강의 자연과 서울의 도시 경관을 쉽게 조망할 수 있도록 세빛섬 등 조망우수지역 13곳을 문화와 휴식이 복합된 공간으로 조성한다.

시는 의견수렴과 시민설명회, 시의회 보고 등을 거쳐 연내 계획 수립을 완료할 예정이다.

(서울연합뉴스) 최윤정 기자 merciel@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