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 전국의 아파트값 상승폭이 도시 근로자 소득 상승폭에 비해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용산, 노원, 도봉구 아파트값 상승률은 도시근로자 소득 상승률의 2배가 넘는 등 서울, 수도권 집값이 소득보다 많이 오른 반면 지방 아파트값은 소득보다 상승폭이 낮았다.

부동산정보업체 닥터아파트는 2003년부터 2008년까지 통계청이 집계한 도시근로자 가구(2인 이상)의 월평균 소득과 아파트 가격을 분석한 결과 이 기간에 전국 아파트값 상승률이 소득 상승률을 앞질렀다고 4일 밝혔다.

지난 2008년 도시근로자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389만5천원으로 2003년의 294만원에 비해 32.5% 상승한 반면 전국 아파트값은 2003년 3.3㎡당 622만원에서 2008년 893만원으로 43.6% 올랐다.

지역별로는 서울의 아파트값이 2003년 3.3㎡당 1천115만원에서 2008년 1천705만원으로 52.9% 올랐고, 경기도(50.6%)와 인천광역시(48.1%)도 집값 오름폭이 소득 상승폭보다 컸다.

특히 서울 용산구(84.8%), 노원구(79.9%), 도봉구(79.8%) 등 3곳은 아파트값 상승률이 소득 상승률의 배 이상이었다.

하지만 지방 5대 광역시(11.8%)와 중소도시(15.1%)는 아파트값보다 소득이 더 많이 올랐다.

5대 광역시의 경우 울산(56%)만 소득보다 집값이 많이 올랐고, 나머지 부산(10.2%), 대구(8.2%), 광주광역시(11.5%), 대전(5.6%)은 집값 상승률이 소득 상승률에 못미쳤다.

지방 중소도시는 경남(27.1%), 경북(27.6%), 강원도(12.8%), 전남(5%), 전북(23.1%), 충남(13.1%), 충북(24.3%), 제주(18.4%) 등 전역이 소득에 비해 집값 상승폭이 낮았다.

닥터아파트 이영진 리서치연구소장은 "글로벌 경기침체로 기업들이 연봉을 동결하거나 삭감하고 있는 반면 아파트값은 최근 다시 오르고 있어 소득 대비 아파트값 격차는 더 벌어질 것"이라며 "집값과 소득 격차가 벌어질수록 수도권내 도시근로자들의 내 집 마련은 더욱 어려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서미숙 기자 sm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