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년대 들어 역대 정권의 집권 3년차에는 집값이 전반적으로 안정됐지만 4년차엔 크게 뛰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 상황에 따라 이같은 현상이 나타났지만 역대 정권들이 한결같이 부동산 투기 방지를 주장했던 만큼 일종의 `레임덕' 현상이 시장 불안에 한 몫 한것 아니냐는분석도 나오고 있다. 24일 부동산정보제공업체 부동산뱅크에 따르면 90년대 정권을 잡은 김영삼, 김대중 전 대통령의 재임기간 집값 변동률을 분석한 결과, 공교롭게도 집권 3년차엔 주택시장이 안정되고 4년차에는 큰 폭으로 뛰었다. 김영삼 정권의 집권 3년차인 95년 서울 집값이 2.5% 오르는데 그쳤지만 이듬해인 96년에는 12.2%나 올랐다. 부동산뱅크는 91년부터 분당, 일산, 평촌 등 신도시에서의 아파트 공급이 일제히 이뤄지면서 입주 시점이었던 95년에 집값이 안정됐다고 분석했다. 김대중 정권도 집권 3년차인 2000년에는 서울 집값이 2.1% 오르며 보합세를 유지했지만 집권 4년차인 2001년에는 무려 19%나 폭등했다. 2000년에는 외환위기 여파로 부동산 시장이 침체였던 반면 2001년에는 외환위기직후 공급이 크게 위축됐던 탓에 입주 물량이 급감하면서 집값 급등으로 이어졌다. 이같은 패턴은 일단 노무현 정권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다. 집권 3년차인 올해 서울의 집값은 일부 재건축단지의 급등 영향으로 다소 흔들리기는 했지만 현재까지 평균 2.7% 오르며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 주택거래신고제, 종합부동산세, 양도세 중과세, 개발이익환수제 등 참여정부의 각종 집값 안정대책이 시장에서 먹혀들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하지만 집권 4년차인 내년에 과거 정권처럼 집값이 급등할 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다소 엇갈리고 있다. 각종 집값 안정대책이 법제화되면서 아파트의 투자 매력이 많이 사라져 안정 기조가 유지될 것이라는 분석이 있는 반면 내년에 경기 회복이 본격화되고 입주 물량도 줄기 때문에 집값이 상당폭 오를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부동산뱅크 양해근 리서치팀장은 "현재는 집값이 안정돼 있지만 강남과 분당,용인, 과천 등을 중심으로 집값이 뛸 소지가 많다"면서 "안정 기조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재건축 단지의 급등을 막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이정진기자 transil@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