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의 가계대출 축소 및 금리인상 움직임이 아파트 분양시장을 급랭시킬 조짐을 보이고 있다. 금리가 높아지고 대출한도가 줄어들면서 주택건설업체들은 '중도금 무이자제'를 속속 포기하고 있다. 그 결과 가수요자들의 입지가 크게 좁아지면서 비인기지역에선 대규모 미분양사태까지 우려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중도금 무이자제'를 이용해 이미 분양을 마친 업체들은 금리인상에 따른 자금부담 증가에 전전긍긍하고 있다. 더욱이 입주시점에는 입주자들의 원금상환 부담으로 인한 '신용대란'마저 우려되고 있다. ◆'중도금 무이자'에서 '이자 후불제'로=우리은행 등 시중은행에 따르면 중도금 무이자대출용으로 사용되는 은행권의 집단주택담보대출 융자한도는 최근 분양가의 50∼60%선으로 줄어들었다. 상반기까지만 해도 이 대출의 융자한도는 70∼80%선을 유지했었다. 금리도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다. 상반기 6.3%대였던 금리는 6.5%대에 육박하고 있다. 우리은행의 김홍관 차장은 "자기자본비율 산정시 위험가중치 증가,부채비율 2백50%이상인 고객에 대한 가산금리 적용 등으로 금리는 더 올라갈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했다. 이에따라 대우건설 벽산건설 등 건설업체들은 앞다퉈 중도금 무이자 대신 이자 후불제를 선택하고 있다. 건설업체들은 대개 이자비용을 분양가에 포함시키고 있다. 중도금 무이자를 계속하면 건설업체들로서는 분양가를 인상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자 후불제로는 가수요자를 끌어오는데 한계가 있다. 당장 분양가는 낮아지겠지만 입주 때 내야 하는 이자에 대한 부담이 만만치 않아서다. 대우건설 금융팀의 신상호 대리는 "가수요자들이 신규 분양시장을 대거 떠나면서 수도권 외곽의 비인기지역에선 대규모 미분양 사태가 우려된다"고 말했다. ◆가계 신용대란 우려=중도금 무이자제가 적용된 주거시설의 입주시 신용대란이 우려된다. 중도금 무이자제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집중적으로 적용됐다. 이때 중도금 무이자 대출규모는 총분양가의 80% 안팎이었다. 이 돈은 입주시 개인의 주택담보대출로 전환해야 한다. 그러나 은행권은 하반기 들어 주택담보대출 비율을 시세의 80%에서 50∼60%대로 대폭 축소했다. 결국 20∼30%의 원리금을 입주시 일시에 상환해야 한다는 계산이 나온다. 한라건설의 성기대 부장은 "올해 상반기까지 분양된 주거시설의 입주가 이뤄지는 1∼2년 뒤에 프리미엄이 거의 붙지 않은 지역에선 신용대란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에따라 중도금 무이자제를 많이 적용한 업체마다 비상이 걸렸다. D건설 등 일부 업체들은 계약자보호를 위한 비상대책회의를 가질 예정이다. 시행·시공업체들의 자금압박도 예상된다. 중도금 무이자 대출의 금리인상으로 이자비용이 예상 외로 증가하고 있어서다. 더 피앤디의 임현욱 상무는 "특히 주상복합과 오피스텔을 많이 공급한 업체들이나 영세업체들의 타격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조성근·김진수 기자 trut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