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시장을 안정시킬 수 있는 실질적인 조치가 나왔다.특히 분양권 전매 제한이 분양가 인상억제와 집값 안정에 상당한 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예상된다" 주택시장 안정대책에 대한 부동산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반응이다. 집값 상승의 근본원인은 수급불균형이지만 집값 상승에 날개를 달아준 게 지난 98년의 분양권 전매 허용 조치라고 판단하고 있기 때문이다. 단타매매가 유행하면서 전문적인 투기꾼들은 물론 일반서민들도 너도 나도 전매차익을 누리기 위해 아파트 청약창구로 달려들어 시장을 과열시켜 놓았던 것이다. 일부에선 "너무 찬물을 끼얹는 것이 아니냐"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반면 정부정책을 불신하는 측에선 이번 대책이 공급을 적극적으로 늘리는 것보다 가수요를 위축시키는 쪽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집값을 안정시키는 데는 큰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불법전매가 성행하지 않을까 의구심을 나타냈다. ◇분양가 상승 제동=이르면 6월부터 중도금을 2회 이상 납부한 뒤 분양권을 내다팔 수 있게 된다. 2회 납부 시점은 대개 계약 후 8개월이 지나서다. 분양대금을 40% 이상 납부한 상태가 된다. 이런 점을 감안하면 단타매매를 하기엔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리고 자금부담이 크다. 게다가 2차 중도금 납부 시점은 분양권을 전매하기가 가장 애매한 시기다. 중도금 마련이 어려운 이들이 매물을 내놓는 단계여서 분양권값이 하락하는 경향을 보인다. 때문에 동시분양에는 어느 정도 자금력을 갖춘 실수요자나 장기투자자가 참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내집마련정보사 김영진 사장은 "그동안 프리미엄을 노리고 단기투자에 나섰던 이들이 전체 청약자의 70∼80%는 될 것"이라며 "이들이 빠지면 청약경쟁률이 낮아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던 분양가가 안정되는 효과도 덤으로 기대된다. '묻지마 투자'가 줄어들면서 강북 비인기주거지역이나 1∼2동짜리 미니단지들은 또다시 미분양을 걱정해야 하는 상황이 벌어질 수도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기존 집값 안정=분양권 전매제한은 기존 집값 안정에도 기여할 전망이다. 주택건설업체들은 청약열기를 이용해 분양가를 무차별적으로 올려왔다. 분양가를 올려도 살 사람이 몰리니 그럴 수밖에 없었다.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로 분양가 상승이 집값상승으로 이어지는 고리가 차단될 것으로 기대했다. ◇오피스텔·주상복합아파트에도 영향=오피스텔·주상복합아파트의 공급방식이 공개추첨으로 변경되면 서울외곽 수도권 등의 분양이 어려워질 것으로 부동산전문가들은 예상했다. 닥터아파트 곽창석 이사는 "수익성이 있는 강남 등 핵심 지역은 별 영향을 받지 않겠지만 경쟁력이 떨어지는 다른 지역에선 미분양이 속출할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떴다방 수도권 이동 예상=떴다방들의 탈(脫)서울이 점쳐지고 있다. 아직 분양권전매제한 등의 제약이 없는 곳으로 이동할 것이란 예상이다. 특히 서울의 아파트값 상승 분위기가 수도권 외곽으로 확산되는 추세여서 수도권에서도 이들의 '먹잇감'이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일부 떴다방은 분양권의 음성거래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 전매제한조치가 나오더라도 매매수요는 있게 마련이다. ◇무주택세대주는 인기주거지역 공략하라=부동산 전문가들은 만 35세 이상의 5년 이상 무주택세대주의 경우 강남 등 인기주거지역을 공략하라고 권했다. 이들에겐 이르면 오는 4월 3차 동시분양부터 일반공급물량의 50%가 우선적으로 배정된다. 청약경쟁률이 상대적으로 낮을 수밖에 없다. 중도금을 내는 데 부담이 없는 수준이라면 높은 프리미엄이 붙을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을 공략하는 것이 낫다. 이외의 사람들은 재개발지분 토지 등 다른 상품에 투자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했다. 청약가능 물량이 50%나 줄어드는 데다 3월부터는 청약통장 1순위 가입자가 폭발적으로 늘기 때문이다. 서울 이외의 수도권 분양아파트로 눈을 돌리는 것도 방법이다. 전매제한 등의 제약이 아직 없는 데다 주 5일 근무제,그린벨트 해제 등으로 수도권 아파트의 매력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택지지구에서 분양되는 아파트라면 더욱 좋다. 조성근 기자 trut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