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공동주택의 평균수명이 선진국에 비해 턱없이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산업연구원 방경식 연구위원은 18일 연구원이 '공동주택관리의 합리화 방안'을 주제로 개최한 세미나에서 우리나라 공동주택의 평균수명이 17년에 불과, 미국(103년)이나 프랑스(86년), 독일(79년) 등 선진국에 턱없이 못미치는 수준이라고 밝혔다. 주택 유형별로는 연립주택의 평균 수명이 15년으로 가장 짧았으며 아파트가 19년, 단독주택이 23년이었다. 방 연구위원은 주택공사의 조사결과를 인용, "주택 400만호를 20년만 사용하고 철거할 경우 94조원의 손실이 생기며 이는 가구당 2천350만원의 손실을 입는 결과 "라며 "특히 인구밀도 상승, 교통체증 등 계산할 수 없는 손실까지 생각하면 실제 손실 규모는 더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방 연구위원은 주택이 조기에 노후화되는 원인으로 관리에 대한 입주자의 무관심과 전문적 위탁관리업체의 부족, 노후.불량주택 판단기준의 불투명, 재건축 열풍등을 꼽았다. 방 연구위원은 "특히 지난해 경찰청이 전국 8천864개 아파트 단지를 대상으로 비리 및 부조리 조사를 실시한 결과 22.5%인 1천996개 단지가 적발됐고 5천838명이구속 및 입건됐으며 이로인한 입주자 손실이 17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며 공동주택 관리에 허점이 많다고 지적했다. 또 관리비도 단지에 따라 최고 2배 이상까지 차이가 나는 경우도 있어 투명하고 전문적인 위탁관리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방 연구위원은 주장했다. 한편 지난 80년 10%에 불과했던 공동주택은 매년 급속한 증가세를 보여 지난해말 현재 전체 주택의 59.3%를 차지했으며 특히 인천(72.9%), 광주(62.7%), 대전(66.1%), 대구(65.1%) 등 대도시 지역의 공동주택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연합뉴스) 류지복기자 jbryo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