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건설의 워크아웃 중단결정 소식에 건설업계는 충격과 착잡함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동아건설은 국민들에게는 부실덩어리로 알려져 있지만 업계에선 최고수준의 기술력과 인력을 보유해 따라잡아야 할 대상이었던 탓이다.

"대규모 토목공사를 제대로 수행할 수 있는 국내업체는 현대 동아 대우 정도"(SK건설 진영현 상무)라는 게 업계의 평가다.

하지만 채권단의 동아건설 워크아웃 중단결정에 대해 시장에선 대체로 환영하는 분위기다.

우리 경제의 신뢰회복을 위해선 이번 기회에 모든 기업의 진퇴여부가 시장논리에 따라 결정돼야 한다는 의견이다.

사실 동아건설은 국가경제에 많은 주름을 만들어왔다.

막대한 자금을 지원받고도 기대했던 만큼의 성과를 얻지 못하고 노사갈등과 경영권다툼이라는 내분사태를 빚었다.

''대마불사''라는 잘못된 믿음에 취해 있었던 탓이다.

어쨌거나 55년동안 한국건설산업의 주역이었던 동아건설은 이제 변두리로 밀려나게 됐다.

동아건설에 대한 평가가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좀더 올바른 구조조정을 위해 개선돼야 할 점은 많다는 의견이 건설업계에서 나오고 있다.

우선 채권단의 도덕적해이가 문제로 꼽히고 있다.

동아건설은 직원수를 40% 줄이고 자산을 팔아 지난해 1조원이 넘는 빚을 갚는 등 나름대로 경영성과를 거뒀다.

그런데 은행에 공적자금이 지원되면서 갑작스레 퇴출결정을 내렸다.

퇴출로 생길 손실을 국민의 혈세로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공적자금을 방패삼아 은행이 책임을 회피한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투명한 기준 제시도 필요하다는 의견도 많다.

동아건설 직원들은 "운이 나빠 희생양이 됐다"는 격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뼈를 깎는 노력으로 원가를 절감해 올 상반기 67억원의 영업이익을 냈기 때문에 퇴출은 부당하다는 항변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쫓기듯 구조조정을 하지말고 성장잠재력에 대한 신중한 판단이 절실히 요구된다는 점이다.

국민들은 채무자의 살점을 도려내려는 셰익스피어 희곡 속의 고리대금업자 샤일록같은 금융기관을 바라지 않는다.

백광엽 건설부동산부 기자 kecor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