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수도권 8개지구에서 지정된 3백만평의 택지개발예정지구는 5개
신도시이후 최대 물량으로 서울 수색, 용인 동백지구 등 아파트가 팔릴만한
지역이 다수 포함돼 있다는 게 특징이다.

주택수요를 흡수할 만한 지역에 대규모 공공택지를 공급함으로써 지난해
하반기부터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집값을 안정시켜 보겠다는 정부의 의지로
풀이된다.

또 건설교통부가 택지의 지속적인 대량 공급 방침을 거듭 밝히고 있어
앞으로 대규모 주거단지 개발의 신호탄으로 받아 들여지고 있다.

이는 공공택지의 양적인 부족과 질적 저하가 최근 수도권 일대에서 일고
있는 집값 상승세를 부채질했다는 상황인식에 따른 것이다.

한마디로 최근 수년간 수도권에서 팔릴만한 아파트을 지을 수 있는
대단지용 택지가 공급되지 않았다는 따가운 질책을 받아들인 셈이다.

건교부는 최근 일고 있는 집값 불안심리가 5개 신도시이후 공공택지
공급규모를 축소시켜온데 따른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특히 94년이후에는 택지개발예정지구 지정 실적이 매년 1백만평 안팎에
그칠 정도로 물량 확보가 부진, 업계로부터 택지가 턱없이 부족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건교부는 대규모 공공택지개발계획을 통해 무주택 청약대기자들에게
"수년내 내집을 마련할 수 있다"는 기회를 보장함으로써 최근 일고 있는
집값 불안심리를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로 건교부는 올해 수도권에서 택지개발예정지구로 지정키로 한
4백30만평을 훨씬 넘어서는 물량을 확보할 계획이다.

내년까지는 현재 확보돼 있는 물량으로 버틸 수 있지만 이대로 방관할
경우 98년이후에는 공공택지마저 고갈되는 상황을 맞이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특히 대량 공급계획중에는 분당 일산 규모의 대규모 택지도 포함될
전망이다.

소규모 택지로는 수요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다는 현실에 따른
것이다.

아파트 수요자들이 몰릴 만한 택지를 공급하는 길만이 수도권 집값을
안정시킬 수 있다는 판단이다.

대신 앞으로 개발되는 대규모 택지는 기존 주거단지와는 달리 쾌적한
환경의 전원형으로 개발, 대단지 건설에 따른 부작용을 해소해 나간다는
방침도 세워놓고 있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2월 28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