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비수기에 급매물부동산을 노려라"

경기침체가 장기간 지속되는데다 계절적으로 부동산이 바닥세를 보이고
있어 실수요자의 입장에서는 이번 겨울이 부동산을 가장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는 호기인 셈이다.

시세보다 20-30% 저렴한 급매물건들은 중개업소마다 10여건 쌓여 있고
천리안 하이텔 나우누리 등 PC통신의 급매물장터에는 100-200건에 이르는
등 풍부한 물량이 대기하고 있어 자금여력과 이용목적에 적합한 부동산을
쉽게 선택할 수 있다.

아파트의 경우 다른 부동산상품에 비해 거래가 비교적 활발한 편이어서
시세차익이 10% 미만으로 급매물이 나오고 있으나 임야 농지의 경우 건축
및 거래규제가 많은데다 수요가 적어 시세의 절반가격에 나온 물건들도 있다.

그러나 급매물부동산은 대금을 일시불로 지급하고 매매가 금방 이뤄져
법적 안전장치가 수월해질 우려가 있다.

가압류 가처분 등의 꼬리표가 붙어 있는 물건은 싸더라도 피하는게 좋다.

또 계약전 토지 및 건축물관리대장 토지대장 등을 떼어 권리관계를 반드시
확인, 소유권이전에 문제가 없는지도 파악해야 한다.

특히 다가구 임야 등은 특성에 따른 체크포인트의 차이점도 인식하고
꼼꼼히 살펴보는 것도 중요하다.

<>아파트

주거지로서의 가치가 앞으로 어떻게 변화될지 주목해야 한다.

서울지역의 경우 지하철이 건설돼 교통여건이 개선되는 지역이 많은데
이들 지역 가운데 신흥상권이 가까우면서 배후에 녹지공간이 확보된
아파트단지가 각광받을 것으로 보인다.

또 건물의 외관 및 내부구조물의 상태, 난방 및 주차시설 등은 본인이
직접 현장을 방문해 확인하는게 좋다.

<>단독주택.다가구

다가구는 주변에 주차시설이 부족한 경우가 많으므로 해당주택의 주차시설,
접촉도로의 주차여건을 확인해야 한다.

건물이 다소 노후한 단독주택은 나중에 증개축할 가능성이 크므로 대지의
모양이 반듯하게 갖춰져 있는지 옆집과의 대지경계는 어떤 상태인지 도로
여건은 어떤지 살펴봐야 한다.

건물이 낡은 단독주택은 땅값만 계산하여 거래가격이 결정되므로 계약서상
평당가를 기재해 거래하면 나중에 실측후 대지면적에 오차가 생길 경우
차액에 대한 반환을 청구할 수 있다.

<>다세대.빌라

영세건축업자가 지어 분양하는 경우가 많아 사전에 점검해야할 사항이
많다.

먼저 준공검사가 났는지 소유권이전등기가 가능한지를 등기소에서 토지
등기부등본을 떼어 알아봐야 한다.

또 이들 주택은 분양가격의 제한을 받지 않아 가격이 천자만별이므로 인근
시세와 비교, 적정가격에 구입해야 한다.

특히 입지나 설계에 따라 선전내역과 실제면적이 다를 수 있으므로
확인해야 한다.

<>대지.전답

거래제한이나 건축규제가 많이 받는 대지와 농지는 매입절차와 이용에
대한 엄격한 점검이 좋은 물건을 고르는 체크포인트다.

해당토지의 지목과 용도지역구분을 확인하고 대지의 방향과 고저, 급배수를
살펴본다.

농지매매에서는 관할관청에 매도.매수인 공동으로 농지매매증명서를 신청,
땅을 사고도 농지매매증명이 없어 소유권이전등기가 되지 않는 것을 막아야
한다.

<>빌딩

빌딩의 경우 덩치가 큰데다가 가격차이가 심해 주변공시지가와 땅값
(시세)을 파악, 가격이 적정한지를 알아본후 임대료를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 살펴 선투자금액을 최소화해야 한다.

특히 빌딩은 주변의 도시계획을 확인, 향후 자산가치 및 이용가치
효용성을 파악해 장기적으로 투자해야 한다.

<>전원주택

일단 차량진입이 쉬워야 하며 주택위치가 주변보다 조금 높아 전망이 좋은
곳이 좋다.

마을 한가운데 있거나 외진 곳은 피해야 하며 기본적 생필품구입이
가능해야 한다.

땅모양이 길거나 모나지 않아야 하며 배수가 잘되는지도 확인해야 한다.

주변에 목장이나 공장 등 공해유발시설이 있으면 좋지 않다.

<>임야

고속도로와 국도의 주변지역, 공단주변과 간척사업지역, 항만건설지역,
공항건설지역, 해안주변지역, 호수나 저수지주변지역 등의 임야가 개발
가능성이 높다.

가급적 진입도로가 가능하고 지하수가 개발되어 있는 남향인 곳이
유리하다.

600평 이상의 임야는 이용계획서를 제출, 관할 시장 군수 구청장으로부터
매매증명을 받아야 한다는 것도 잊지말아야 한다.

< 김태철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12월 10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