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中관료 4불가 통보' 보도에 "전부 거짓"
"여름 1차 한미NCG→한미일 정상회의 예상…한미일 미사일 경보정보 연동체계, 올해 완성 목표"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기자들과 만나 해당 보도에 대해 "존재하지도 않고, 있었던 대화도 아니다"라며 이같이 일축했다.
이 관계자는 "중국과 북한 문제를 계속 협의할 수 있어도, 중국이 우리에게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문제나 안보 판단 사항에 대해 무슨 조건을 내걸고 그게 돼야만 대화가 재개된다고 이야기하거나 못 박은 적이 없다"고 설명했다.
앞서 국내 한 언론은 복수의 고위 외교 소식통을 인용, 지난달 22일 류진쑹 중국 외교부 아주사 사장(아시아 담당 국장)이 윤석열 정부에 한-중 관계와 관련한 중국 정부의 '4불가' 방침을 통보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기사에 인용된 '4불가'는 ▲(대만 문제 등) 중국의 '핵심 이익'을 건드리면 한-중 협력 불가 ▲ 한국이 친미·친일 일변도 외교 정책으로 나아갈 경우 협력 불가 ▲ 현재와 같은 한-중 관계 긴장 지속 시 고위급 교류(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방한) 불가 ▲ 악화한 정세 아래 한국의 대북 주도권 행사 불가 등으로 소개됐다.
한편, 이 관계자는 북한 군사정찰위성 재발사 예상 시점에 대해 "북한이 위성 발사를 재개하려 할 것"이라면서도 "그 진전이 원활히 이뤄지고 있다고 판단할만한 징후는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윤석열 정부 비핵화 로드맵인 '담대한 구상'과 관련해서는 "북한 호응 없이도 우리가 추진하는 건 핵위협 억제와 핵개발 단념"이라며 "담대한 구상이 발표된 지난해 8월부터 이미 우리 계획과 원칙에 따라 이행되고 있다는 점을 이해해달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북한이 핵·미사일을 포기할 수 없다고 하면 비핵화를 전제로 한 대북 경협 프로그램에 관한 '담대한 구상'은 임기 내에 진행할 수 없는 것"이라며 "그렇다고 해서 '담대한 구상'이 중단되거나 폐기되는 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한미 핵협의그룹(NCG) 회의 시점에 대해서는 "지금 계획대로 잘 된다면 여름 중에 먼저 1차 한미 NCG가 개최되고 그 이후 한미일 정상 간 만남이 성사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며 "한미일 미사일 경보정보 연동체계는 올해 안에 완성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
기사 스크랩
-
공유
-
프린트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