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명계 요구 일부분 수용 모양새…권한 범위 등 논란 지속 전망도
민주, 외부 인사 수장 '전권형 혁신위' 가닥…이르면 내주 출범(종합)
더불어민주당이 당 혁신위를 외부 인사에 맡기고 쇄신과 관련한 전권(全權)을 위임하기로 가닥을 잡았다.

4일 복수의 당 관계자에 따르면 민주당은 이르면 다음 주 중 혁신위를 띄우는 것을 목표로 이번 주 안에 외부 인사로 위원장 인선을 마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당의 한 관계자는 "이재명 대표 의지가 워낙 강하다 보니 외부 인사 영입에 속도를 내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논란이 돼 온 혁신위 콘셉트는 모든 권한을 위임받는 '전권형'이 유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민주당은 지난달 14일 당 쇄신을 주제로 한 의원총회에서 전당대회 투명성과 민주성을 강화하는 정치혁신 방안을 준비하기 위해 당 차원 혁신기구를 만들겠다고 결의한 바 있다.

'2021 전당대회 돈봉투 의혹'과 탈당한 김남국 의원의 '거액 가상자산 보유 논란' 등 잇단 악재로 내년 총선을 앞두고 위기감이 고조되면서 당 쇄신 목소리가 분출됐기 때문이다.

그러나 혁신위 운을 띄우긴 했지만, 기구 성격과 위원장 인선 등을 놓고 논란이 계속되면서 좀처럼 진척이 없었다.

비명(비이재명)계는 지도부가 당 쇄신과 관련한 전권을 혁신기구에 위임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친명(친이재명)계는 선출직 지도부의 고유 권한은 유지돼야 한다는 입장을 피력하는 등 계파 간 대립 조짐이 나타나기도 했다.

이런 상황에서 이 대표 등 당 지도부가 '전권형 혁신위'로 비명계 요구를 일정 부분 수용하는 모양새가 됐다는 해석이 나온다.

당내에서는 지난 2015년 당시 문재인 당 대표가 재보선 참패 후 사퇴 압박이 커지자 김상곤 전 경기교육감이 이끈 혁신위에 전권을 위임한 사례가 '모범 사례'로 거론되기도 했다.

다만, 전권을 쥐고 혁신을 밀어붙일 강력한 리더십과 인지도 등을 겸비한 외부 인사를 최종 낙점하느라 이 대표가 막판 고심을 거듭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또, 내년 총선 공천 룰이 이미 사실상 확정된 상황에서 지도부가 혁신위에 어떤 권한을 위임할지에 대한 논란은 지속될 전망이다.

당의 한 관계자는 "위임하는 권한 범위는 지도부가 정무적 판단을 내려야 할 사안"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