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50대에 3만원 범칙금…해군 "바로 알고 대응" 자전거로 제주해군기지(민군복합형관광미항)를 무단 침입한 50대 관광객이 경찰에 붙잡혔다. 22일 해군7기동전단과 서귀포경찰서에 따르면 지난 20일 오후 8시께 50대 관광객 A씨가 자전거를 몰고 서귀포시 강정동 제주해군기지 정문을 통해 내부로 진입했다. 기지 정문 위병소 근무자 1명이 A씨를 제지했지만, A씨는 자전거를 타고 빠른 속도로 차량 차단봉과 정문 사이 뚫린 공간을 지나 기지로 들어간 것으로 조사됐다. 해군은 위병소 근무자의 보고에 따라 폐쇄회로(CC) TV로 A씨 위치를 파악, 최단 거리에 있는 부대원을 통해 침입 5분 만에 A씨를 붙잡았다. 해군과 경찰은 A씨가 신원이 확실하고 자전거 여행을 한다는 진술과 제주 행적이 일치해 대공 혐의점은 없는 것으로 파악했다. A씨는 경찰 조사에서 "자전거로 올레길 여행을 하던 중 내비게이션 안내를 보고 관광지인 줄 알고 들어갔던 곳이 해군기지였다"고 진술했다. A씨는 혈중알코올농도가 0.03% 이상의 음주 상태로 자전거를 몰았던 것으로 조사됐다. 경찰은 술을 마시고 자전거를 몬 A씨에게 도로교통법 위반에 따른 범칙금 3만원을 부과했다. 또 A씨를 군사기지 및 군사시설보호법 위반 혐의로 입건해 추가 조사하고 있다. 해군 관계자는 "침입 사실을 몰랐던 것이 아니라 민간인이 들어온 사실을 바로 파악해 조치했다"며 "제압을 잘못하면 민간인이 다칠 수 있기 때문에 제지하는 데 시간이 약간 걸린 것일 뿐"이라고 말했다. 제주해군기지에는 2020년 3월 7일에도 민간인 2명이 철조망을 절단하고 침입했다. 당시 해군은 민간인 침입 1시간 40여분 뒤에야 이들의 신병을 확보해 경계 대세가
경찰, 50대 관광객에 3만원 범칙금·군사시설 관련 법 위반 조사 자전거로 제주해군기지(민군복합형관광미항)를 무단 침입한 50대 관광객이 경찰에 붙잡혔다. 22일 해군7기동전단과 서귀포경찰서에 따르면 지난 20일 오후 8시께 50대 관광객 A씨가 자전거를 몰고 서귀포시 강정동 제주해군기지 정문을 통해 내부로 진입했다. 기지 정문 위병소 근무자 1명이 A씨를 제지했지만, A씨는 자전거를 타고 빠른 속도로 차량 차단 봉과 정문 사이 뚫린 공간을 지나 기지로 진입한 것으로 조사됐다. 해군은 위병소 근무자의 보고에 따라 폐쇄회로(CC) TV로 A씨 위치를 파악, 최단 거리에 있는 부대원을 통해 침입 5분만에 A씨를 붙잡았다. 해군과 경찰은 A씨가 신원이 확실하고 자전거 여행을 한다는 진술과 제주 행적이 일치해 대공 혐의점은 없는 것으로 파악했다. A씨는 경찰 조사에서 "자전거로 올레길 여행을 하던 중 네비게이션 안내를 보고 관광지인 줄 알고 들어갔던 곳이 해군기지였다"고 진술했다. A씨는 혈중알코올농도가 0.03% 이상의 음주 상태로 자전거를 몰았던 것으로 조사됐다. 경찰은 술을 마시고 자전거를 몬 A씨에게 도로교통법 위반에 따른 범칙금 3만원을 부과했다. 또 A씨를 군사기지 및 군사시설보호법 위반 혐의로 입건해 추가 조사하고 있다. 제주해군기지에는 2020년 3월 7일에도 민간인 2명이 철조망을 절단하고 침입했다. 당시 해군은 민간인 침입 1시간 40여분 뒤에야 이들의 신병을 확보해 경계 대세가 허술하다는 논란을 빚었다. /연합뉴스
북한이 22일 함경남도 함흥 일대에서 순항미사일 여러 발을 발사했다. 현재 진행 중인 한·미 연합 군사연습(프리덤실드·FS)에 반발해 탐지가 어려운 순항미사일로 도발에 나선 것이라는 분석이다.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군은 이날 오전 10시15분께부터 함흥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발사한 순항미사일 수 발을 포착했다. 한·미 정보당국은 ‘북한판 토마호크(KN-27)’로 불리는 개량형 장거리순항미사일이었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정밀 분석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북한은 2021년 9월 신형 장거리순항미사일 시험 발사에 성공했다고 밝힌 적이 있다. 당시 북한은 “8자형 비행 궤도를 따라 7580초(약 2시간), 1500㎞를 비행했다”고 주장했다. 미국의 토마호크, 한국의 현무-3C 등 순항미사일과 비슷한 무기체계다. 순항미사일은 발사 직후부터 수백m 이하 저고도로 비행할 수 있어 우리 군의 육·해상 레이더로 탐지하기 쉽지 않다.북한의 미사일 발사는 19일 단거리탄도미사일(SRBM)을 쏜 뒤 사흘 만이다. 23일까지 예정돼 있는 프리덤실드에 반발해 도발을 계속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20일부터 한·미 해군은 FS의 일환으로 경북 포항 일대에서 연합 상륙훈련(쌍룡훈련)을 진행 중이다. 쌍룡훈련에는 ‘작은 항공모함’으로 불리는 미 해군의 강습상륙함 마킨아일랜드함(4만2000t급)을 비롯해 우리 해군의 대형 수송함(LPH) 독도함, 마라도함 등 한·미 함정 10여 척이 참가했다. 합참 관계자는 “진행 중인 연합 실기동훈련을 강도 높게 펼칠 것”이라고 밝혔다.김동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