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공군 F-35A·F-15K·KF-16·F-16·F-4E, 美 A-10 공격기 참가공대공·공대지 미사일, 공대지폭탄 실사격 한미 공군이 서해 해상에서 연합 실사격훈련을 펼쳤다. 공군은 미 7공군 제51전투비행단(이하 미 51전비)과 이달 20∼24일 서해 해상사격장에서 공대공 실사격과 공대지 폭격 훈련을 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훈련은 '자유의 방패'(프리덤실드·FS) 연습과 연계한 연합야외기동훈련 '전사의 방패'(워리어실드·WS)의 하나로 공군 공중전투사령부가 주관했다. 훈련에는 우리 공군 F-35A, F-15K, KF-16, F-16, F-4E 전투기와 미 공군의 A-10 공격기가 참가했다. 공대공·공대지미사일, 공대지폭탄으로 실사격을 하며 핵심 표적에 대한 연합 공군의 정밀타격능력을 확인하고 한국형 3축체계의 '킬체인' 능력을 확인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고 공군은 설명했다. 킬체인은 유사시 적의 핵·미사일 표적을 선제 타격하는 전력이다. 공군 F-35A는 훈련에서 AIM-9X, AIM-120 등 공대공미사일을 쏘고 GBU-31 합동직격탄(JDAM)을 투하해 표적을 명중·파괴했다. F-15K는 AIM-120 공대공미사일, AGM-84 장거리 공대지미사일, GBU-31 공대지폭탄으로 표적을 타격했다. KF-16은 GBU-31·56 공대지폭탄을, F-4E는 AIM-7 공대공미사일을 각각 실사격했다. 미 A-10은 AGM-65 공대지미사일을 발사하고 GBU-31·38 공대지폭탄 등을 투하했다. F-35A 조종간을 잡은 최환혁 소령은 "이번 실무장 훈련으로 실전적 타격 능력을 한층 발전시킬 수 있었다"며 "유사시 적이 도발하면 일발필중의 정밀타격 능력으로 가차 없이 응징하겠다"고 말했다. 훈련을 계획한 공중전투사령부 정광욱 연습훈련과장(중령)은 "이번 훈련은 한미 공군의 무장운용능력을 강화하고 최상의 전투역량을 확립하기
발사대 기지 밖으로 전개됐다 복귀…원격 장비 반입으로 가능해져2017년 배치 이후 처음…한미 "사드 방어범위 조정 폭넓은 기회 제공" 경북 성주에 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가 2017년 배치된 이래 처음으로 기지 밖에서 발사대 전개훈련이 진행됐다. 주한미군은 전반기 '자유의 방패'(프리덤실드·FS) 한미연합연습과 연계해 사드 원격발사대 전개 훈련을 첫 시행했다고 한미가 24일 밝혔다. 사드 발사대를 기지 밖으로 가지고 나와 훈련한 것으로, 지난해 10월 원격발사 장비가 반입되면서 이런 훈련이 가능해진 것으로 알려졌다. 그 전까지는 발사대가 교전통제소와 유선으로만 연결됐다. 훈련이 언제 어디서 이뤄졌는지는 공개되지 않았다. 다만 미 국방부의 국방시각정보공개시스템에 공개된 사진을 보면 훈련 일자가 '3월 19일'로 표기돼 있다. 소성리에서 활동하는 사드 반대 단체들에 따르면 성주 사드 기지의 발사대가 지난 15일 반출됐다가 23일 돌아왔다. 원격발사대 운용으로 사드의 방어 범위가 넓어지는 효과가 생길 것으로 기대된다. 한미는 공동보도문에서 "사드 체계의 작전·운용 정상화는 사드 부대에 대한 지속적인 작전지원을 보장함으로써 주한미군 준비태세 향상에 기여했다"며 "원격발사대 훈련을 통해 사드체계의 방어범위를 조정할 수 있는 폭넓은 기회를 제공했다"고 밝혔다. 실제 미국이 괌에서 운영하는 원격발사대는 사드 기지에서 약 70㎞ 떨어진 섬에 설치돼 있다. 신종우 한국국방안보포럼 사무국장은 "새로운 레이더를 들여오지 않고도 발사대만 더 들여오면 다양한 곳에서 원격발사를 할 수 있는 것"이라며 "사드의 방어 범위가 더 확장된 것으로 볼 수 있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