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과 연계된 해커 조직들이 지난 한 해 동안 약 16억5000만달러(약 2조900억원) 규모의 암호화폐(가상화폐)를 훔쳤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는 작년 한 해 전세계에서 발생한 전체 가상화폐 해킹 규모의 절반에 가까운 액수다.
체이널리시스의 '2023 가상화폐 범죄 보고서' 표지. 미국의 블록체인 분석업체 '체이널리시스'는 1일(현지 시각) ‘2023 가상화폐 범죄 보고서’를 발간하고 전세계에서 작년에 총 38억 달러(약 4조6600억 원) 상당의 가상화폐가 도난당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2021년 33억 달러보다 5억 달러 늘어난 것이다.
채이널리시스는 “특히 3·10월에 큰 폭의 급증세를 보였는데, (최대 규모를 기록한) 10월에는 총 32건의 해킹 사건이 발생해 7억7570만 달러 상당의 가상화폐가 도난당했다”고 했다.
작년 가상화폐 해킹은 특히 라자루스 등 북한 정부와 연계 해커들이 주도했다. 북한 해커들이 훔친 16억5000만 달러는 작년 전 세계 가상화폐 절도 규모의 43.4%에 달한다. 이는 1년 전인 2021년의 4억2880만 달러(약 5000억 원)보다 3배 가까이 급증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 7년간 북한이 절취한 가상화폐 규모는 총 32억290만 달러(약 3조9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이널리시스는 “북한의 2020년 총수출 규모가 1억4200만 달러에 불과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가상화폐 해킹은 북한경제에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북한은 이렇게 빼돌린 돈을 대량살상무기(WMD) 개발에 쏟아붓고 있다. 앤 뉴버거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사이버·신흥 기술 담당 부보좌관은 작년 7월 “북한은 사이버 기술을 이용해 미사일 프로그램에 드는 돈의 3분의 1을 벌고 있다고 추정한다”고 말었다. 북한에 대한 각종 제재에도 불구하고 해킹을 통해 북한이 여전히 북핵 프로그램을 계속 가동할 수 있어 한·미 당국은 북한의 해킹 증가세를 우려하고 있다.
채이널리시스는 가상화폐 해커들이 주로 블록체인 기반 분산형 금융상품(디파i)의 거래 구조의 약점을 파악해 범행에 이용했다고 밝혔다. 작년 해킹 규모의 82%가 이러한 취약점을 이용했다는 설명이다.
오는 2025년 1월 발효되는 바젤은행감독위원회(Basel Committee on Banking Supervision, BCBS)의 규제안에 따라 일반 대중의 가상자산 수용이 가속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국내 가상자산(암호화폐) 거래소 빗썸 산하 빗썸경제연구소는 3일 '가상자산 관련 은행 건전성 규제 발표, 시장에 미칠 영향은?'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지난해 12월 발표된 바젤은행감독위원회(Basel Committee on Banking Supervision, BCBS)의 '은행의 가상자산 익스포저에 관한 건전성 규제안(Prudential treatment of cryptoasset exposures)'을 분석하고 그 영향을 예측했다. 보고서는 해당 규제안이 범세계적으로 도입될 경우 향후 세계 은행들의 가상자산 투자는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에 집중될 가능성이 크고, 가상자산 시장에 유입될 수 있는 은행 자금의 최대 규모는 2030년 기준 180조원이라고 전망했다. 이는 2023년 1월 기준 가상자산 시가총액의 13.9%에 해당하는 규모다. 해당 규제안은 세계 은행 규제인 바젤III에 맞춰 가상자산을 위험도에 따라 분류하고 차등적인 규제를 적용했다. 규제안에 따르면 2023년 1월 기준 시총 10위 내 가상자산 중에서는 비트코인과 이더리움만이 그룹 2a로 분류되며, 이에 따라 은행의 가상자산 투자 선호가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에 집중될 가능성이 클 것으로 전망했다. 이들에 대한 은행의 자금 유입은 2030년 기준 최대 1463억 달러(한화 약 180조원)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더불어 은행이 가상자산에 투자할 수 있는 범위의 불확실성이 해소되면서 추가 자금이 유입될 가능성이 커지고, 다양한 가상자산 관련 서비스를 출시할 수 있는 기회가 열릴 것이라고 분석했다. 오유리 빗썸경제연구소 정책연구팀장은 "2025년 1월 발효되는 이번 규제안에 따라 미국을 시작으로 세계 각국 은행에 유사한 규제가 도입될 것이다"라고 말하며, "향후 가상자산을 활용한 다양한 은행 서비스가 출시될 가능성이 커진 만큼, 일반 대중의 가상자산 수용이 가속화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최근 가상자산(암호화폐)의 급등세와 관련해 소수의 '고래'들이 시장을 주도했다는 분석이 나왔다.3일 크립토퀀트의 Dan Lim 기고자는 "최근 상승에서는 비트코인(BTC) 총 거래횟수가 2021년 상승장 만큼이나 크게 상승했다. 하지만 활성화 주소수는 거의 변화가 없으므로, 소수의 고래(들)이 시장을 움직였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이어 "최근 상승이 이번 하락장에서 가장 강하고 길었다는 점은 큰 의미가 있다"면서도 "고래들은 주로 시장 참여자들의 예상과 다르게 행동한다는 점과 경기침체의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여전히 조심 할 필요가 있는 시점"이라고 해석했다. 정효림 블루밍비트 기자 flgd7142@bloomingbit.io
미술품 경매회사 케이옥션은 아트테크 자회사 '아트폼스'를 통해 미술품 투자자를 위한 아트 에그리게이터 서비스를 2023년 상반기 중 론칭할 예정이라고 3일 밝혔다.데일리한국의 보도에 따르면 아트 에그리게이터 서비스는 미술품 1차 시장, 2차 시장, NFT(대체불가능토큰), 조각증권 및 증권형토큰발행(STO) 시장에서 이뤄질 예정이다.해당 서비스는 미술 작품과 관련해 분산된 정보를 한곳으로 모아 다양한 플랫폼에서 거래되고 있는 관련 상품들의 가치와 평가에 대한 다양한 정보 및 보증을 제공할 예정이다.나아가 아트폼스는 작가 매니지먼트를 전담하는 케이옥션의 또 다른 자회사인 아르떼케이(Arte K)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전문적인 미술시장 종합 데이터베이스도 구축할 방침이다.도현순 케이옥션 대표이사는 "국내 미술시장은 미술품 물납제 시행, 조각증권, STO 허용 등으로 인해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아트 에그리게이터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가 신뢰성 있는 정보를 보다 손쉽고 빠르게 접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효림 블루밍비트 기자 flgd7142@bloomingbit.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