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친윤계 의원들이 3·8 전당대회 당 대표 후보 등록 첫날 안철수 의원을 향해 “가짜 윤심팔이”라며 일제히 공세에 나섰다. 최근 지지층 대상 여론조사에서 안 의원이 김기현 의원을 추월한 결과가 잇따라 발표되자 본격적인 견제에 나선 것으로 해석된다. 친윤계 의원들은 김 의원을 공개 지지하고 있다.친윤계 핵심으로 꼽히는 이철규 의원이 포문을 열었다. 이 의원은 2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동지들을 향해 ‘윤핵관’이니 ‘윤심팔이’니 비난하면서 윤심이 필요해지니 스스로 친윤이니 진윤이니 하면서 ‘가짜 윤심팔이’를 하는 모습이 볼썽사납다”며 “최근 대통령의 의중이 자신에게 있다며 윤심을 파는가 하면, 김·장 연대의 균열을 운운하며 당심을 어지럽히는 모습이 금도를 넘었다”고 안 의원을 직격했다. 이 의원은 안 의원이 과거 윤석열 대통령과 각을 세운 것을 거론하며 “자신이 진윤이라 하는 것은 가짜 상품으로 상표를 도용하는 것과 다름없다”며 “스스로 반윤 행태를 보이면서 당심을 사기 위해 ‘윤·안 연대’니 ‘김·장 균열’이니 하는 것은 당원들을 기망하는 행위”라고 덧붙였다.친윤계 박수영 의원도 지원 사격에 나섰다. 박 의원은 이날 CBS 라디오에 출연해 안 의원이 대통령직인수위원장을 맡았을 때 ‘24시간 잠적 사태’를 거론하며 “공직을 맡은 사람이 24시간 가출하고 잠적한다는 것에 대해 (윤 대통령이) 굉장히 분개했다”며 “나경원 전 의원과 똑같은 상황이었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개각을 할 때 장관직이나 총리직을 맡아달라고 했는데 안 의원이 그것도 단칼에 거절했다”며 “그 실망감으로 대통령은 안 의원과 한 번도 식사하거나 차를 마신 적이 없다”고 덧붙였다.김 의원도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안 의원을 향해 “갑자기 ‘윤심 호소인’이 등장한 것 같은 느낌이 든다”며 “(안 의원은) 윤 대통령과는 반대쪽 입장에 있는 분”이라고 표현했다. 대통령실은 이날 안철수 캠프 선거대책위원장을 맡고 있는 김영우 전 의원을 대통령 직속 국민통합위원회 위원직에서 해촉했다. 방송에 출연해 윤심 등에 대해 발언한 것이 매우 부적절하다고 판단했다고 국민통합위는 밝혔다.안 의원은 ‘윤심팔이’라는 비판에 대해 “윤심팔이가 아니고 오히려 윤 대통령에게 힘을 보태는 ‘윤힘’ 후보가 되겠다는 것”이라고 했고, 윤 대통령으로부터 장관직을 제안받은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전혀 없었다. 다른 지위의 사람이 지나가는 말처럼 물어본 적은 있었다”고 답했다. 국민의당 출신으로 최고위원 후보로 출마한 문병호 전 의원은 “집단 린치의 불길한 기운이 전당대회장 주변을 또다시 감돌기 시작하고 있다”고 비판했다.친윤계가 일사불란하게 안 의원을 공격하기 시작한 이날 친윤계 핵심인 장제원 의원도 안 의원 측을 에둘러 겨냥했다. 그는 페이스북에 “차기 당 지도부에서는 어떠한 임명직 당직도 맡지 않겠다”며 일단 몸을 낮췄다. 장 의원은 그러면서도 “일부 후보 측에서 ‘장제원 사무총장설’을 퍼뜨리며 정치적 음해를 가하고 있다”고 주장했다.고재연 기자 yeon@hankyung.com
‘이준석계’의 움직임이 국민의힘 3·8 전당대회의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이준석 전 대표 행보에 따라 비윤(비윤석열)계 표심이 요동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천하람 전남 순천갑 당협위원장은 2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국민의힘 당대표 선거에 출마한다”고 밝혔다. 천 위원장은 이 전 대표 시절 꾸려진 국민의힘 혁신위원회에서 혁신위원을 지냈다. 최고위원에는 이 전 대표와 가까운 허은아 의원과 김용태 전 청년최고위원이 도전장을 냈다. 이 전 대표는 두 사람에 대한 후원회장을 맡기로 했다. 청년 최고위원에는 이기인 경기도의원이 출마한다. 이 전 대표 측은 “이 의원에 대한 후원회장을 맡는 안도 검토 중”이라고 했다.이 전 대표는 정치개혁과 정책 제언 등을 담은 책을 이달 출간한다. 책 출간 후 전국을 돌며 독자와의 만남을 갖기로 했다. 이 과정에서 자신과 가까운 인사의 지지를 호소할 가능성도 거론된다. 이 전 대표 재임 시절 입당한 책임당원 규모는 15만 명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이 전 대표가 공개 활동을 재개하자 당 안팎에선 비윤계 표심에 주목하고 있다. 김기현·안철수 의원 양강 구도가 흔들릴지 여부가 최대 관심사다. 한 여권 관계자는 “나경원 전 의원과 유승민 전 의원의 불출마로 안 의원에게 쏠려 있던 비윤계 표가 천 위원장으로 분산되지 않겠느냐”고 내다봤다.정치권에서는 오는 8~9일 치러질 예비경선에서 천 위원장이 본선 진출자 4명 안에 포함될지 여부가 이준석계의 경쟁력을 가늠하는 지표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양길성 기자 vertigo@hankyung.com
이번 국민의힘 당 대표 자리에는 안철수 의원이 앉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지난달 30일부터 2일 오전까지 발표된 국민의힘 당 대표 적합도 여론조사 5개 중 안 의원과 김기현 의원의 가상 양자대결 결과는 모두 안 의원의 승리였다. NBS 조사 결과 지난달 30일부터 2일까지 국민의힘 지지층 363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당 대표 적합도 다자 대결에서 안철수 의원은 34%를 기록했다. 지난달 31일부터 2월 1일까지 국민의힘 지지층 428명을 대상으로 리얼미터가 진행한 조사에서도 안 의원은 43.3%, 김 의원은 36.0%의 비율을 가져갔다. 양자 간 가상 대결에서 안 의원은 48.9%, 김 의원은 44.4%로 오차범위 내에서 앞섰다. 한국갤럽이 세계일보 의뢰로 지난달 26~27일 국민의힘 지지층 410명을 대상으로 당 대표 적합도를 조사해 지난 1일 발표한 결과에서는 가상 양자 대결에서 안 의원이 60.5%를 기록해 37.1%의 김 의원을 23.4%p 앞섰다. 지난달 28일부터 30일까지 국민의힘 지지층 504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국민리서치그룹‧에이스리서치-뉴시스 여론조사에서는 다자 구도에서 김 의원이 36.2%, 안 의원이 35.9%로 오차범위 내에서 앞질렀다. 반대로 양자 대결에서는 안 의원이 47.5%로, 44.0%의 김 의원을 오차 내에서 앞섰다.지난달 27일부터 28일까지 이틀간 국민의힘 지지층 440명을 대상으로 했던 알앤써치-아시아투데이 여론조사에서 안 의원은 39.8%을 얻어 김 의원의 36.5%보다 더 많은 표를 얻었다. 양자 대결에서 안 의원 46.6%, 김 의원 41.2%였다.사진 : 안철수 의원 인스타그램 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