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떠다니는 군사기지' 승조원 6천명·함재기 90대·이지스함 등 대동"확장억제 실행력 행동으로 보여줘"…항모 6개월 만에 한반도 전개 미국 전략자산인 핵 추진 항공모함 니미츠호(CVN-68)가 제주 남방 공해상에서 한미 연합해상훈련을 한 뒤 28일 부산에 입항한다. 국방부는 니미츠호를 포함한 미 제11항모강습단이 한미동맹 70주년을 기념해 한미 우호 협력 증진과 연합방위 태세 강화를 위해 오는 28일 부산작전기지로 입항한다고 27일 밝혔다. 이번에 입항하는 미 제11항모강습단은 니미츠호와 타이콘데로가급 이지스 순양함 벙커힐함(CG-52), 알레이버크급 이지스 구축함 웨인 E. 메이어함(DDG-108) 및 디케이터함(DDG-73)으로 구성됐다. 항모강습단은 부산 입항에 앞서 이날 제주 남방 공해상에서 우리 해군의 이지스 구축함 세종대왕함(DDG-991)과 한국형 구축함 최영함(DDH-981)과 함께 훈련한다. 이는 한미 연합연습 '자유의 방패'(프리덤실드·FS)에서 시작한 연합 실기동훈련(FTX)인 '전사의 방패'(워리어실드·WS) 일환으로 진행하는 훈련이며 항모 호송훈련, 방공전 등 연합 해상 훈련 형태로 펼쳐진다. 북한 도발에 대응하고 추가 도발을 강력히 경고하는 메시지를 발신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 항공모함의 방한은 지난해 9월 22일 로널드 레이건호(CVN-76)를 포함한 미 제5항모강습단의 부산작전기지 입항 이후 6개월 만이다. 니미츠호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태평양함대사령관이자 제10대 미국 해군참모총장이었던 체스터 니미츠 제독의 이름을 땄다. 미국 니미츠급 항모의 1번함으로 1975년 취역했다. 승조원 6천 명가량 태우고 함재기 90대를 적재할 수 있어서 웬만한 국가의 전체 공군과 맞먹는 항공 전력을 자랑한다.
동해상으로 발사…니미츠 항모 오늘 공해서 한미연합훈련 뒤 내일 부산 입항'핵어뢰' 폭발실험 나흘만에 또 도발…'쌍룡훈련' 맞물려 추가 도발 우려 북한이 미국 핵 추진 항공모함이 한반도로 출동한 27일 한미 연합상륙훈련이 진행 중인 동해상으로 단거리탄도미사일(SRBM)을 발사했다.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북한이 오전 7시 47분께부터 8시께까지 황해북도 중화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발사한 SRBM 2발을 포착했다고 발표했다. 이들 미사일은 각각 370여 ㎞ 비행 후 동해상에 탄착했다. 북한이 표적으로 자주 활용하는 함경북도 길주 앞바다 알섬 방향으로 날아간 것으로 전해졌다. 미사일 기종은 비행거리 등을 고려할 때 핵탄두 탑재가 가능한 것으로 평가되는 '북한판 이스칸데르'(KN-23)일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미사일을 발사한 중화는 평양의 남쪽에 인접한 곳으로, 작년 말에도 탄도미사일 발사 장소로 활용된 적이 있다. 합참은 "세부제원과 추가적인 활동에 대해서도 한미 정보당국이 종합적으로 정밀분석하고 있다"고 밝혔다. '추가 활동'의 구체 내용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통상적인 미사일 발사와 다른 활동이 포착됐을 수 있어 북한이 추후 공개할지 주목된다. 이번 탄도미사일 발사는 지난 21∼23일 수중드론 형태의 핵어뢰로 평가되는 '핵무인수중공격정'을 발사해 폭발시험을 한 지 나흘만이다. 탄도미사일로는 지난 19일 '모의 핵탄두 공중폭발' 실험이라며 '북한판 이스칸데르' SRBM 1발을 쏜 지 8일 만의 도발이다. 합참은 북한의 연이은 탄도미사일 발사는 한반도는 물론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정을 해치는 중대한 도발 행위이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명백히 위반한 것이라고 강력히
국가정보원은 양자암호통신 장비 국가·공공기관 도입을 위해 '보안 기능 검증제도'를 운영한다고 27일 밝혔다. 국정원은 양자암호통신 장비를 양자키분배장비(QKD), 양자키관리장비(QKMS), 양자통신암호화장비(QENC) 세 가지로 분류했으며 총 152개의 보안 기준을 담았다. 시험기관으로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과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을 지정했다. 이 가운데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양자키분배장비(QKD)의 핵심 보안요소인 양자특성 시험을 전담하기로 했다. 양자암호통신장비 보안 기능 검증제도는 다음 달 3일부터 시행한다. 자세한 내용은 국가정보원·국가사이버안보센터 홈페이지에서 확인하면 된다. 국정원 관계자는 "보안 기능 검증제도로 양자암호통신장비가 국가·공공기관 등 공공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길이 마련됐다"면서 "앞으로 정부 차원에서 관련 제품의 국내·외 시장 진출 활성화를 위해 표준화도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