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승객 검사 취지로 통지했으나 한국인 등 외국인만 검사 中 "차별조치에 대등 원칙으로 반응"…한중 방역갈등 지속
중국 당국이 1일 한국발 입국자에 대한 코로나19 검사를 예고대로 시행하면서 대부분 한국인인 '외국 국적자'에 대해서만 검사를 했다.
한중 항공 노선 상황에 정통한 복수의 소식통에 따르면 중국 방역 당국은 이날 옌지, 난징, 항저우, 광저우, 웨이하이, 우한 등으로 들어온 한국발 여객기에 탑승한 승객 중 중국인을 제외하고 외국인에 대해서만 PCR(유전자증폭) 검사 또는 신속항원 검사를 실시했다.
지난달 31일 중국 민항국은 한국 항공사와 외교 당국에 '2월 1일부터 한국발 중국행 직항 항공편에 탑승한 사람에 대해 입국 후 코로나19 검사를 하겠다'고 통보해 국적 불문의 전수 검사를 실시할 것으로 보였으나 자국민은 대상에서 제외한 것이다.
중국 당국이 옌지를 통해 입국한 중국 국적 승객 3명에 대해 예외적으로 PCR 검사를 실시한 것으로 파악됐지만, 이는 중국이 1월 8일 전수 PCR검사 폐지 후 변이 모니터링을 위해 실시해오던 무작위 검사의 일환인 것으로 보인다.
입국자에 대한 전수 검사를 폐지한 중국이 한국발 입국자만 특정해 검사하기로 한 것은 한국이 중국발 입국자에 대해 검사를 실시하는 것에 상응한 맞대응으로 풀이됐다.
특히 중국 당국이 한국발 입국자 중 자국민을 검사 대상에서 제외한 것은 이번 조치가 방역 강화 목적이 아닌 한국에 대한 보복성 조치임을 한층 더 분명히 드러낸 것으로 풀이된다.
현재 한국은 중국발 입국자에 대해 국적 불문하고 검사를 의무화하고 있다.
그럼에도 중국 정부는 '대등한 조치'라고 주장했다.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일 정례 브리핑에서 한국발 입국자 중 외국인만 검사한 데 대한 연합뉴스의 질의에 "우리는 각국과 함께 중국인과 외국인의 왕래를 최대한 편리하게 만들려 하지만 개별 국가가 중국 국민에 대한 차별적 조치를 취한 것에 대해 우리는 부득이 대등의 원칙에 따라 반응할 수 밖에 없다"고 답했다.
중국 당국은 공항에서 한국인 등 외국인에 대해 코로나 검사를 한 뒤 별도 대기 없이 곧바로 귀가토록 했으며, 검사 비용은 청구하지 않았다고 소식통들은 전했다.
양성으로 나타난 입국자에 대한 격리 장소와 기간 등 지침은 지역별로 통일되지 않은 가운데, 우한과 난징의 경우 '자가 격리' 방침인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달부터 방역 문제를 놓고 한중이 잇달아 상대국에 대해 '문턱'을 높이는 조치를 취하는 동안 상대국에 대한 국민감정이 악화하고, 외교 당국 간의 '장외 설전'도 이어지는 양상이다.
앞서 한국 정부는 중국 내 코로나19 대규모 확산 상황 등을 고려해 지난달 2일부터 중국 내 공관에서 외교·공무, 필수적 기업 운영, 인도적 사유 등의 목적을 제외한 한국행 단기 비자 발급을 하지 않기로 하는 한편, 중국발 입국자에 대해 입국 전 코로나 검사 음성 결과를 요구하고, 입국 후 PCR 검사를 하기로 했다.
그러자 중국 정부는 한국인의 중국행 단기비자 발급을 중단한다고 지난달 10일 발표하고 시행했다.
이어 다음날 중국은 자국을 경유해 제3국에 가는 외국인에게 경유 도시 안에서 3일 또는 6일간 체류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에서 한국을 배제하는 결정을 발표했다.
이후 한국 정부는 중국인에 대한 비자 제한 조치를 2월 28일까지로 연장키로 최근 결정했고, 그에 맞서 중국은 한국발 입국자(중국인 제외)에 대한 입국 직후 코로나 검사라는 추가 조치를 내놓았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다시 늘었다. 설 연휴가 끝나고 진단 검사 수가 급증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26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확진자는 3만5096명을 기록했다. 전날(1만9538명)보다 1만5558명 늘었다. 설 연휴가 끝난 뒤 진단 검사 건수가 급증한 영향이다. 전날 선별진료소 PCR 검사 건수는 15만2007건으로, 직전일(2만8161건)의 5.4배 수준이다.신규 확진자 수는 1주일 전인 지난 19일(2만9806명)보다도 5290명 많다. 그러나 2주일 전인 지난 12일(4만3938명)보다는 8842명 줄어 감소세는 유지됐다.이날 신규 확진자 중 해외유입 사례는 34명으로 전날(29명)보다 5명 많다. 이 가운데 22명(64.7%)이 중국발 입국자다.지역별 확진자 수(해외유입 포함)는 경기 9314명, 서울 6815명, 부산 2697명, 경남 2379명, 인천 2228명, 경북 1505명, 충남 1447명, 대구 1416명, 전남 1171명, 전북 1078명, 대전 1019명, 충북 952명, 광주 896명, 울산 820명, 강원 779명, 제주 291명, 세종 286명, 검역 3명등 이다.전날 사망자는 26명으로 직전일(25명)보다 1명 많았다. 누적 사망자는 3만3296명으로 누적 치명률은 0.11%다.진영기 한경닷컴 기자 young71@hankyung.com
중국서 출발한 입국자를 대상으로 한 코로나19 음성확인서 제시가 의무화된 첫날부터 중국발 입국자 8명 중 1명꼴로 국내 도착 후 확진 판정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6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전날 하루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입국한 1천247명의 중국발 입국자 가운데 단기체류 외국인 278명이 공항검사센터에서 코로나19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받았으며 이중 35명이 양성 결과를 받았다. 양성률은 12.6%다.입국 전 검사가 의무화되기 전인 지난 4일 양성률 31.4%에 비해 크게 줄어든 비율이지만 여전히 중국발 코로나19 환자의 유입은 이어지는 모습이다.입국 전 검사 후 실제 입국까지 최장 48~50간가량 시간이 있기 때문에 그 사이 증상이 발현되며 양성 결과가 나오는 이들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홍정익 중앙방역대책본부 방역지원단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입국 전 검사 당시 잠복기에 있다가 이후에 양성으로 전환됐을 수도 있다"며 "중국에 환자가 많다면 그만큼 잠복기 환자가 많은 것이고, 입국 후 양성이 나오는 사람들도 많을 것"이라고 말했다.홍 단장은 이어 "검사법 자체에도 과학적 한계가 있다. 그 외에 인적인 부분으로 검사과정에서 오류가 있을 수 있는데 이는 중국 방역당국에서 해결해야 할 부분"이라며 "이 부분에 걱정이 있다고 하면 중국과 협의해 개선을 요구할 수 있다"고 밝혔다.전날 중국발 입국자 중 음성확인서를 누락했거나 허위 확인서가 적발된 경우는 없다고 당국은 덧붙였다.우리 정부는 지난 2일부터 중국의 코로나19 확산세가 국내에 미칠 영향을 우려해 모든 중국발 입국자에 대해 도착 후 PCR 검사를 의무화했다. 이어 5일부터는 출발 48시간 전 PCR 검사 또는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에서 음성을 받아야 입국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방역조치가 강화된 지난 2일 이후 인천공항을 통한 중국발 입국자 수는 총 5천360명이며, 공항에서 검사를 받은 단기체류 외국인의 누적 양성률은 23.1%(1천199명 중 277명 양성)다.입국 후 1일 이내 거주지 보건소에서 검사를 받는 내국인과 장기체류 외국인의 확진 통계는 아직 따로 나오지 않았다.질병청은 5일 양성률이 전날보다 줄어든 것에 대해 "입국 전 검사로 양성자의 입국을 사전 차단한 효과"라며 "중국 현지의 감염확산 상황과 한국의 방역 강화조치 이후 단기체류 외국인이 예정된 일정을 취소한 효과 등이 복합적으로 나타난 결과"라고 분석했다.이어 "향후에도 이러한 추세가 유지되는지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감시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
중국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방역 규제를 대폭 완화했다는 소식이 전해진 가운데 8일 국내 화장품주가 일제히 강세를 나타내고 있다.이날 오전 9시38분 현재 코스메카코리아는 전일 대비 1240원(14.24%) 뛴 9950원에 거래되고 있다. 같은 시각 실리콘투(8.85%), 컬러레이(5.86%), 바른손(2.67%), 내츄럴엔도텍(2.61%), 오상자이엘(2.45%), 잉글우드랩(2.42%), 현대바이오(1.86%)., 오가닉티코스메틱(1.59%) 등도 오르고 있다.앞서 전일 중국은 고강도 제로 코로나 정책의 일환인 '상시적 전수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폐지했다. 중국 국무원은 이날 10가지 '방역 추가 최적화 조치에 대한 통지'를 발표하고 "행정 구역을 기준으로 한 전원 PCR 검사를 하지 않고 PCR 검사 범위를 더욱 좁히고 빈도를 줄일 것"이라고 밝혔다. 그간 중국은 감염자를 저인망식으로 걸러내기 위해서 특정 도시나 구 주민 전체에 대해 1∼3일에 한 번씩 상시로 PCR 검사를 받도록 했는데 이를 사실상 없앤 것이다. 아울러 코로나19 무증상 또는 경증 감염자는 시설격리 대신 재택치료를 허용하기로 했다.신민경 한경닷컴 기자 radi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