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24일 서해수호의 날을 맞아 순국 용사 55명의 이름을 일일이 호명하며 울먹였다.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국립대전현충원에서 열린 '제8회 서해수호의 날' 기념식에서 '서해수호 용사 55인'의 이름을 한 명 한 명 불렀다.현직 대통령이 서해수호 55인 용사들의 이름을 직접 일일이 호명하는 '롤콜(roll-call)' 방식의 추모를 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단상에 오른 윤 대통령은 "누군가를 잊지 못해 부르는 것은 영원히 기억하겠다는 다짐"이라며 "꿈을 향해 달리고, 가족과 함께 웃는 행복한 하루를 보내도록 국가와 국민을 지켜내는 것이 자신의 꿈이었던 바다 사나이 55분의 영웅의 이름을 부르겠다"며 호명을 시작했다.그는 용사 55명을 호명하기 전 울먹이며 잠시 말을 잇지 못하기도 했다. 이어 고(故) 윤영하 소령을 시작으로 한상국 상사, 조천형 상사, 황도현 중사, 서후원 중사 등 55명의 이름을 5분여간 차례로 불렀다.윤 대통령은 "조국을 위해 희생하고 헌신한 분들을 기억하고 예우하지 않는다면, 국가라고 할 수 없다. 국가의 미래도 없다"며 "서해를 지키는 임무와 사명을 완수한 용사들. 대한민국은 55분의 용사를 영원히 기억하겠다"고 말했다.이후 기념사에서 "북한의 무모한 도발은 반드시 대가를 치르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우리 해군과 해병대 장병들은 연평해전, 대청해전, 연평도 포격전 등 수많은 북한의 무력 도발로부터 북방한계선(NLL)과 우리의 영토를 피로써 지켜냈다"며 이같이 말했다.또 '천안함 46용사' 중 한 명인 고 민평기 상사의 모친 윤청자 여사가 기증한 '3·26 기관총', 참수리
윤석열 대통령은 24일 제8회 서해수호의 날을 맞아 '서해수호 용사'들이 안치된 국립대전현충원을 찾아 참배했다. 이날 참배에는 김건희 여사도 동행했다.대통령실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윤 대통령이 이날 오전 제2연평해전·연평도 포격전 묘역, 천안함 피격 실종자 탐색구조 도중 순직한 한주호 준위 묘소 등을 유가족·참전 장병들과 함께 참배하고 위로를 전했다고 밝혔다.조천형 상사(제2연평해전 전사자)의 모친인 임헌순씨, 서정우 하사(연평도 포격전) 모친 김오복씨, 민평기 상사(천안함 피격) 모친 윤청자씨, 정종률 상사(천안함 피격) 아들 정주한씨, 한주호 준위 배우자 김말순씨, 최원일 전 천안함 함장도 함께했다.특히 윤청자씨는 2020년 '제5회 서해수호의 날'에 참석한 문재인 당시 대통령에게 다가가 "이게(천안함 폭침) 북한의 소행인지, 누구의 소행인지 말씀 좀 해달라"고 기습 질문을 해 주목받은바 있다. 당시 문 대통령은 "북한 소행이라는 것이 정부의 입장"이라며 "정부의 공식 입장에 조금도 변함이 없다"고 답했다.최수진 한경닷컴 기자 naive@hankyung.com